-
-
그리스인 이야기 1 - 민주주의가 태동하는 순간의 산고 ㅣ 그리스인 이야기 1
시오노 나나미 지음, 이경덕 옮김 / 살림 / 2017년 4월
평점 :
그리스인 이야기는 3부작으로 이루어져 있다. 1부작은 고대의 그리스를 있게 만든 1차 페르시아 전쟁과 2차 페르시아 전쟁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우리는 그리스에 대해서 민주주의, 델로스 동맹, 펠레폰네소스 동맬 정도만 알고 있다. 그들이 페르시아의 침략을 막아낸 것에만 집중하지 이러한 일이 어떻게 가능하게 되었는가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을 두고 있지 않다.
이 책은 고대 그리스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음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 가운데 초반부에 속해 있는 로마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부제를 떠 올리게 만드는 책이다. 우리가 역사 책으로 배워 왔던 고대 그리스의 정치 체제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자신들의 정치 체제를 가장 먼저 이루어낸 스파르타가 아니라 비교적 후발주자인 아테네가 그리스의 패권국이 되었다는 점이다. 이 차이는 어디에서 나타난 것일까? 창업자의 선견지명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닐까?
우리는 흔히 창업자란 가장 먼저 시작한 사람 정도로만 생각한다. 그렇지만 창업이라는 것은 일을 시작하는 사람 정도로만 생각하지만 그 일이나 시스템을 시대에 맞게 개조하는 것도 창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개조가 거의 개혁 수준의 변화라면 이 또한 창업이라고 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스파르타와 아테네의 차이는 바로 여기에 있다. 시대가 변화하면서 바뀌지 않는 스파르타와 시대에 맞춰서 새로운 창업자들이 나타나서 국가 체제를 거의 개혁에 준하는 수준으로 바꾸는 것의 유무가 스파르타와 아테네의 차이를 만들었다.
솔론, 페이시스트라토스, 클레이스테네스, 테미스토클레스를 거치는 시대에 대해서 기록하고 있는 1권은 이 사실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각 사람들이 창업자라고 불려도 무방한 사람들이 연달아 일어나고 선견지명을 가지고 공동체를 마땅히 나아가야할 방향으로 이끌어간 아테네는 그런 점에서 본다면 축복받은 도시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그들이 이러한 일을 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 준 전임자들의 시스템 개조의 덕이다. 법을 종교의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창업자의 유훈을 절대적인 가치로 만들어 버린 스파르타가 시대의 흐름에 뒤쳐질 수밖에 없었던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고대 아테네의 정치체제에 대한 여러가지 의견들이 있겠기에 나는 여기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으려고 한다.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이러한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존재하느냐 부재하느냐에 대해서 말하면서 우리 사회를 돌아보고 싶을 뿐이다. 한때 이건희 회장이 주장했던 마누라 빼고 다 바꿔라는 말이 있었다. 변화하지 않으면 도태된다는는 강박관념이 우리 사회를 사로잡았다. 그런데 말은 그렇게 하지만 그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시스템이 부재했다. 삼성은 여전히 그 자리에 있어고, 한국 사회도 여전히 그 자리에 있었다. 말은 변화를 외치지지만 그 변화를 이끌어 내고 정착시킬 수 있는 시스템은 부재했기에 강박관념에 사로잡혔지만 바뀐 것은 없다. 바뀐 것이라곤 기존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열가지 편법이다. 말은 아테네를 지향하지만 행동은 스파르타를 지향했던 것이 우리 사회의 모습이다. 그러니 변화가 있을리가 없다. 오히려 뒷걸음질치고 있다고 느끼게 만드는 일들만 수도없이 발생했을 뿐이다.
이 사회가 정말로 변화하고 싶다면, 그리고 시대의 흐름에 자신을 적용시키고 싶다면 변화를 위해 애쓰는 이들을 격리시키고 추방하는 습성부터 버려야 할 것이다. 변화하지 않으면 안된다. 창업은 변화라는 아이러니한 말이 이 시대의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할 말이다. 얼마나 우리 사회가 변화를 향해 나갈지, 그리고 그 변화를 시스템으로 만들어낼 지 두고 봐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