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51 | 252 | 253 | 254 | 25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랜스 암스트롱
 
"얘야, 오늘은 앞으로 남은 네 인생의 첫날이란다."
 
이 말은 나의 어머니의 좌우명이었다.
1996년 나는 각광받는 사이클 선수였고
스물다섯의 나이에 이미 큰 돈을 벌고 있었다.
암이 내 몸을 덮친 건 바로 그 때였다.
나는 암에 걸리기 전에는 큰 어려움을 몰랐다.
불행이 뭔지도 몰랐다.
가장 좋아하는 사이클을 다시 탈 수 있을지 모르는 상황
일년반의 치료와 회복
또 다른 종양이 생길지도 모르는 두려움
꼬리에 꼬리를 부는 심각한 후유증과의 싸움 .
그러나 어머니는 내게 한달 전 아니 어제 일에도 연연하지 말고
마음을 가다듬고 지금부터 해야 할 일을 깨달을 수 있게 해 주셨다.
 
건강한 사람들은
아침에 눈을 뜨는 일이 얼마나 고마운 축복인지 알지 못한다.
요즘 나는 아침에 눈을 뜰 때마다
다시 내 눈 앞에 놓여있는 하루에 대한
흥분을 가눌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비발~* > 일본어투 용어 와 일제잔재 용어[펌]

일제에 의한 왜곡 또는 부적절한 용어 사용 예


□ 이씨조선
  ㅇ 일본 교과서의 이씨조선 서술
    - “조선반도에서는 이성계가 14세기 말 고려를 무너뜨리고 이씨조선을 건국하였다”라고 서술
  ㅇ 조선총독부 자료에 의한 서술
    - 서울 유래에 관한 서술에서 “이조시대의 경성”이라고 서술(조선총독부 2-5편)
  ㅇ 우리 학자 등의 견해
    - “이씨조선”은 일제가 한국을 격하시키기 위해 사용한 부적절한 용어이므로, “조선왕조”라고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이만열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 일제가 한국을 격하시키기 위해 우리의 황실가를 왕가로 바꾸어 일본 황실 밑에 소속시킴으로써 그때부터 “조선”이라는 정식 용어가 “이조”로 바뀌었다고 주장(박성래 한국외대 과학사 교수)
    - “고려가 왕씨고려”가 아니듯이 “조선왕조를 이씨조선”으로 부르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견해(한글학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ㅇ 이렇듯 “이씨조선”이라는 용어는 더 이상 사용되어서는 안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선왕조” 또는 “조선시대” 등으로 사용해야 할 것임.

□ 반도(半島)
  ㅇ 일부학자의 주장에 의하면 “한반도”라는 용어가 일제에 의해 왜곡되어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주장.
  ㅇ ‘반도’라는 용어 자체가 일제가 영어 ‘폐닌슐라’(peninsula)를 번역하여 사용하면서 “일본은 완전한 섬인데 반해 한국은 절반의 섬이라는 격하의 의미”로 반도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는 것.
  ㅇ 반도에 해당하는 우리말은 “곶”(내민 곳, 예:장산곶)으로 적절한 용어 사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봄.
□ 이조백자
  ㅇ 이조백자의 ”이조”라는 표현은 일제시대 때 조선을 격하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용어로서 이를 삭제하거나 “조선백자”로 칭해야 한다는 주장
  ㅇ 문화재청은 국보 제107호인 “이조백자철사포도문호”의 명칭을 “백자철사포도문호”로 변경하기 위해 문화재위원회(동산문화재분과)에 심의 상정 중에 있음(8.12. 심의 예정)

□ 남대문․동대문
  ㅇ 우리나라의 전형적 목조건축물을 대표하는 문화재로서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국보․보물 1호인 “숭례문”과 “흥인문”의 명칭을 일제가 우리 문화를 폄하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단순히 방향을 지칭하는 “남대문․동대문”으로 사용토록 하였음
  ㅇ 정부는 지난 ‘96년도 일제지정문화재의 재평가 작업을 거쳐 “남대문․동대문”을 “숭례문․흥인문”으로 공식 명칭을 변경하였으나 현재까지도 일반적으로는 “남대문․동대문”으로 부르고 있는 실정
  ※ 대조적인 사례로, 창경원은 창경궁으로 명칭변경(‘84년)이 이루어진 이후 국민들은 일반적으로 창경궁으로 부르고 있음.

□ 효창원(孝昌園)
   ㅇ 효창원은 조선 정조의 장자 문효세자의 묘소자리로 이후 경내에 순조의 후궁 숙의박씨 등을 안장한 곳이었으나 1984년 청일전쟁 발발직전 일본이 우리나라를 침범하여 효창원에 군대를 주둔
   ㅇ 일제는 1924년 효창원의 일부를 효창공원으로 하고, 1945년 3월에 문효세자 이하 다른 묘소들을 경기도 서삼릉으로 천장함으로써 효창원은 사실상 종말을 고하게 된 것임.
   ㅇ 조국 광복과 더불어 백범선생과 이봉창․윤봉길․백정기 등 3의사의 유해와 임정의 이동녕․조성환 선생 등의 유해가 안장됨으로써 민족성지로서 효창원은 “효창공원이 아닌 원래의 효창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사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우리부는 내년부터 5년에 걸친 중장기 사업으로 이를 추진해 나갈 계획으로 있음.

□ 납골당(納骨堂)
   ㅇ 당초 “납골당”이라는 용어는 일본의 묘지매장에관한법(1948년 제정)에서 사용하기 시작
   ㅇ 우리나라는 1961년 제정된 매장및묘지등에관한법률(1961년 제정, 현재는 장사등에관한법률로 변경)에서 일본이 사용하고 있는 “납골당”의 용어를 그대로 사용
   ㅇ “납골당” 용어는 일본식 색채와 함께 주민에게 혐오감을 주는 부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어 “추모관” 또는 “추모의 집” 등으로 명칭을 변경해 나갈 필요

□ 보부상(褓負商)
  ㅇ 정신문화연구원과 국사편찬위원회는 “부보상(負褓商)”이 바른 표현으로 “보부상(褓負商)”은 일제의 색채가 가미된 표현이라는 지적.
  ㅇ 부보상은 부상(負商:남, 등에 지고 다니는 상인)과 보상(褓商:여, 머리에 이고 다니는 상인)의 합성어로서 태조 이성계가 하사한 명칭으로 부보상으로 불려지다가, 일제가 “남존여비의 관념이 깃들여 있다”라는 명분으로 이를 보부상으로 기록하기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도 보부상으로 사용되고 있음
  ㅇ 보부상의 명칭도 역사적 고증과 연구를 거쳐 적절한 용어 변경 문제를 검토해 나갈 필요가 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금이라 해서 다 반짝이는 것이 아니며

헤메는 자가 다 길을 잃은 것은 아니다.

오래되었어도 강한 것은 시들지 않고

깊은 뿌리에는 서리가 닿지 못 한다.

타버린 재에서 불길이 일 것이며,

어두운 그림자에서 빛이 솟구칠 것이다.

부러진 칼날은 온전히 될 것이며

왕관을 잃는 자 다시 왕이 되리

                                                                      -J. R. R 톨킨-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태우스 2004-08-04 12: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사람이 혹시 반지의 제왕 쓴 사람 맞지요?? 멋진 말을 했군요.

▶◀소굼 2004-08-04 1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톨킨이 한 말이었군요. all is not gold that glitters. :)

tnr830 2004-08-04 17: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갑니다

stella.K 2004-08-04 2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이런 시가 좋더라구요. 그렇치 않아도 <반지의 제왕>에 나온 말이래요.^^
 

"예배극은 하나님의 말씀을 교인들에게 전하고, 하나님을 향한 교인들의 마음과 기원을 하나님에게 중제"하기 때문에 두 편의 관중을 갖고 있다. 연극은 배우와 관중들이 이뤄나가는 예술이지만 예배극은 배우와 관중들로서만 이루어질 수 없고 하나님의 임재(臨在)해야만 공연될 수 있다. 때문에 예배극에 등장하는 배우들은 관중들만 의식하고 연기하는 것이 아니라 신(神)까지도 의식하고 연기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연극 무대구분에 의한 행동선(行動線)은 여기에 적합하지 않다.

하르트만의 예배극 <예언자와 목수>를 보면 연기자들이 신과 인간을 동시에 관중으로 생각하고 연기를 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단과 설교대는 교회력에 의해 꾸며진다. 제단에 촛불이 켜지고 오르간 전주곡이 끝나면 요나를 제외한 모든 배우들이 교회당 뒤에서 교인석 사이를 통과하여 제단 앞에 선다. 그들은 제단을 향하여 절을 한다. 그리고 제단 위로 올라가고 선원들은 십자가와 같은 마스트를 들고 있다.- Olov Hatman

재단을 향하여 절을 하고 시작한다고, 무대지시문에서 밝힌 것은, 하르트만은 예배극이 신이라고 하는 또 하나의 관중이 지켜보고 있다는 전제하에서 진행되어야 것을 증명하고 있다. 전통적인 서구 근대극에서 등을 보일 수도 있다. 제단이나 설교대는 관중들 앞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연기자들이 이 제단을 향하여 말해야 할 때는 교인들 쪽으로 등을 돌리지 않을 수가 없다.

요나는 니느웨에 가서 40일 동안 심판이 오리라고 외쳤다. 그러나 니느웨에 심판이 오지 않았다. 그때 요나는 "어부가 바구니에 고기를 집어넣듯, 당신은 나를 구렁텅이에 넣었소. 그리고 죽음 속에서 나를 건져내어 모래 사장에 상륙시켰고 그래, 나는 당신이 말씀하신 대로 심판의 날을 예언하였소. 이젠 이런 기도밖에 남지 않았소. 나를 와서 데려가시오. 사람들이 와서 내 얼굴에 침을 뱉을 거요. 그렇다면 그것은 나에게 뱉는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의 하나님에게 침 뱉은 거나 마찬가지지 않아요?(니느웨 사람들 제단 위로 올라온다.) 빨리요, 주님. 그들이 오고 있어요.(요나, 관중들에게 돌아선다.) 당신 지팡이와 돌멩이가 이디 있어? 나를 죽여, 그리고 나를 비웃어 줘."(인용구)라고 말한다.

요나는 신을 상대로 말을 할 때는 제단을 햗ㅇ하여 대사를 한다. 하르트만은 "기독교의 모든 교파의 예배의식을 한 가지로 통일시킬 수가 없고, 또 같은 교파 내에서도 나라의 풍습과 지역의 성격에 따라 저마다 예배 의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예배극도 한 가지  형태로 획일화시킬 수는 없지만 신을 관중으로 극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은 꼭 전재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예배극은 각 교파와 나라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시킬 수 있지만 그 다양한 형식 속에서 그것이 연극인 동시에 예배라고 하는 가장 숭고한 매체이기 때문에 조심스럽고 엄숙하게 준비되어야 하고 전통적으로 갖고 있던 의식 속에서 새로워지려고 노력해야 된다.

일반 극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출 수법이나 연기력을 참고할 수는 있어도 그것을 그대로 예배극에 적용한다면 그것은 예배극이 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름 :  모니카 벨루치 (Monica Bellucci)   
출생 :  1968년 9월 30일
신체 :  키: 176cm
데뷔 :  1988년 이탈리아 밀란에서 모델로 데뷔
헐리우드 데뷔작 :  1992년 '드라큐라'
특이사항 :  '라빠르망', '도베르만'에 함께 출연한 배우 뱅상 까셀과 결혼
출연작 :  '라 빠르망', '돌이킬 수 없는',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
            '돌이킬수없는' 
            '늑대의후예들'

출처블로그 : 인연이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04-08-01 21: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관능적이다란 말은 이 배우를 두고 하는 말은 아닐지...

하루살이 2004-08-02 08: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라빠르망을 보면 순수한 아름다움 또한 느낄수 있죠! 그때 배우가 누군지 찾는라 혼났었는데...어느새...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51 | 252 | 253 | 254 | 25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