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 세상을 바꾸다 - 저항의 시, 저항의 노래
유종순 지음 / 목선재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춘기 시절 좋아하는 라디오 음악 프로그램 2, 3개는 있었다. 하지만 성인이 되고 언제부턴가 모르게 라디오와 멀어졌다. 멀어지려고 해서 멀어진 건지 아니면 멀어질만한 이유가 있어서 멀어진 것인지 그걸 잘 모르겠다. 그러면서 난 노래를 듣지 않고, 부르지 않게 된 것 같다. 

 

모르긴 해도 정권이 바뀌고 소위 문민 정부가 들어서면서 음악의 판도가 바뀌었다고 생각한다. 그전까지는 팝송을 듣던 가요를 듣던 가사가 영롱하고 좋은 게 많았는데 그걸 '변질'이라고 해야할지 '다양성'이라고 해야할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대중 음악은 대체로 경쾌와 경박을 왔다갔다 했던 것 같고 나는 그것에 적응하지 못한 채 도태되어 갔던 것 같다. 

 

가사도 이성에 호소하기 보단 감정에 충실한 게 대부분이다. 김건모가 가요계의 판도를 확 바꿔놓은 건 사실이지만 가사를 들어보면 순정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삼각관계나 권태에 관한 것으로 채워 놓았다. 그나마 김건모는 좀 낫다. 요즘 노래는 더 들어줄 수가 없다. 

 

이대로 노래와 멀어지라면 멀어지라지. 별 관심도 없었다. 시대가 그렇다면 어쩔 수 없는 일이지 내가 무슨 수로 시대를 거스를 수 있겠는가. 그러다 문득 이 책을 접하게 됐다. 좀 성급한 결론인지도 모르겠지만, 이 책을 읽으니 그래도 내가 음악을 좋아했던 시절 주요한 음악은 거의 다 듣고 자랐구나 싶다. 물론 저항의 시, 저항의 노래가 저자가 다룬 35곡뿐이랴마는 서너 곡은 직접 들어봐야 알 것도 같고, 아무튼 거의 대부분은 사춘기 시절 라디오만 틀면 이틀의 한 번 꼴로 들을 수 있는 노래들이다.

 

그 시절 중고등학교를 다닌 사람이라면 팝송을 들으며 영어 공부에도 열을 올렸을 텐데 나는 뭐 그때나 지금이나 공부와는 그다지 친하지 않았던지라 노래 하나 하나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왜 이런 노래가 사람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밖에 없었는지 알지 못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니 그 시절 멋모르고 흥얼거렸던 팝송이 이떤 의미가 있으며 이떤 사회적 배경에서 탄생된 것인지 알게되니 흥미로웠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이 팝송만을 다루고 있지는 않다. 제 3 세계 음악까지 비교적 넓게 다루고 있다. 하지만 미국 팝의 역사는 곧 저항의 역사이기도 하니 제1부에서 <미국을 바꾼 노래>라는 쳅터를 따로 할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책 전반은 역시 미국의 팝의 그늘을 벗어나지 않고 있는 듯 하다. 그도 그럴 것이, 음악이 세계적으로 알려지려면 미국을 통과해야만 가능했으니 그럴 수 밖에.

 

조금 아쉬운 것이 있다면 저자가 우리나라의 저항 가요로 유일하게 양희은의 <아침 이슬> 한 곡만을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그것 말고도 우리나라에 저항 가요가 제법 있는데 그냥 대표적으로 이런 곡이 있다는 정도로만 다루고 지나간 듯 하다.   

 

사실 이 책은 제목만큼 과연 억압에 대한 저항의 노래가 사회를 어떻게 얼마나 바꾸어 놓았는지 잘 가늠하기는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그냥 그 노래에 대한 간략한 소개나 탄생 배경만 다룰 뿐이다. 요즘 흔히 하는 말로 얕은 꿀팁 정도라고나 할까? 하지만 언제나 어떤 모양으로든 저항의 노래는 있어 왔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서는 확인할 수 있을 것 같다. 

 

대중음악은 독창성과 시대를 앞서가는 것도 나쁜 건 아니겠지만 이렇게 시대를 반영하고 억압에 저항할 줄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사랑에 대한 권태와 짜증만 부르는 노래에 대해서도 저항할 줄도 알아야 한다. 즉 말하자면  케이팝도 좋다지만 좀 의미심장한 노래도 나와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또한 이 책은 포괄적으로 세계적인 저항 시와 노래를 다루었지만 우리나라에도 그런 노래는 꽤 많을 거라고 보는데 이걸 알리는 것도 필요해 보인다. 여담이긴 하지만 우리나라 저항 가요의 대표곡은 그렇게 <아침 이슬>를 떠올려도 무방하기는 하겠으나 알고 보면 우리나라 저항 가요는 그 역사가 생각 보다 꽤 깊다고 생각한다. 적어도 일제시대 전후는 되지 않을까? 그에 대한 대표곡이 <빈대떡 신사>라고 생각한다. 물론 아직 이 노래를 고찰해 보지는 않았지만 작사가는 모르긴 해도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신사 노릇하는 일본을 건달에 비유해 그러한 자는 매를 맞아야 한다며 빈대떡 먹으러 들어 온 신사에 비유한 것 같기도 하다는 생각든다. 또한 그 노래는 얼마나 해학적이기까지 한가?  

 

어쨌든 이 책은 우리가 알고있는 음악에 대해 꿀팁을 전해준다. 가끔 음악에 대해 아는 척 하고 싶을 때가 있지 않은가? 그렇다면 이 책을 권한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생각하는발 2015-12-03 16: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항 노래를 단 한 곡 뽑다니... 제목과는 상반되네요.. ㅎㅎ

stella.K 2015-12-03 16:06   좋아요 0 | URL
아뇨, 우리나라 곡이 하나라는 거죠. 그점이 좀 아쉬워요.

yureka01 2015-12-03 16: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밥 말리라는 자메이카 가수가 있어요..
이 분이 실제 노래로 내전을 막은 적이 있죠.^^..

one love~

stella.K 2015-12-03 17:48   좋아요 0 | URL
아, 그런가요? 밥 말리도 이 책에서 다뤘더라구요.
그러고 보니 위아 더 월드 같은 노래도 기아에서 많이 구했죠.
노래의 기능은 이런 것이어야 하는데
요즘 노래는 영...ㅠ

니르바나 2015-12-03 17: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텔라님, 안녕하세요.^^

잘 쓰셨어요.
제목도 잘 뽑으시고요.
이 달의 리뷰 후보로 선정되기를 기대해봅니다.

stella.K 2015-12-03 17:52   좋아요 0 | URL
ㅎㅎ 제가 이달의 리뷰로 뽑히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런데 이렇게 쓴 거 가지고는 어림도 없을 걸요?
설혹 된다고 하더라도 저 돌 맞을 거예요.
그래도 저의 글을 좋아라 하시는 니르바나님 계시니까
그것으로 만족합니다.^^

기억의집 2015-12-03 18: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한동안 안 듣다가 요즘 들어요 애들이 들으니깐 같이 듣게 되더라구요. 저도 랩이나 힙합에 부정적인 시각이 있었는데, 애들하고 들으면서 싹 사라졌어요. 음...근데 빈대떡 신사는 좀 아닌 것 같은데....(말끝 흐림).....

stella.K 2015-12-04 13:38   좋아요 0 | URL
ㅎㅎ 왜요, 양복입은 신사는 일본 사람을 가리키잖아요.
빈대떡 집은 들어갈 땐 폼을 내고 들어가지만 나올 땐 돈이 없어
쩔쩔매다 동망치다 붙잡혀서 매를 맞는다잖아요.
그게 언젠가 일본X들 망할 거라는 걸 은유적으로 표현한 거라고 보는뎅...
아님 말구요.ㅋ

제가 지금도 유일하게 듣는 음악 프로가 <세상의 모든 음악>이죠.
주로 제3세계 음악이잖아요.
거기서 자주 소개된 음악을 이책에서 다루고 있기도 한데
그게 알고 보면 저항 음악이었구나. 역시 음악은 저항의 속성을 띄고
있어야 하는구나 싶어요.^^

cyrus 2015-12-03 21: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양희은의 <아침 이슬>이 많이 사랑받은 저항가요라는 평가를 인정할 수 있는데, 저항 스피릿이 철철 넘치는 노래를 부른 가수로는 한대수가 캡이죠. 한대수 거르고 양희은이라니. 저자가 대중음악 평론을 했다던데 그의 안목이 아쉽군요.

stella.K 2015-12-04 13:41   좋아요 0 | URL
네 말을 들으니 그도 맞겠다 싶네.
하지만 한대수 음악은 나도 그다지 많이 접하지 못했어.
아마도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진 35곡만을 추리다보니 누락되지 않았나 싶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