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이제 본격적으로 뮤지컬 영화가 나오는 걸까? 작년에 유승룡, 염정화가 출연했던 <<인생을 아름다워>>가 나오더니 올해는 <<영웅>>이 영화로 나왔다.
알겠지만, 이 작품은 뮤지컬 원작을 영화화 했다. 그동안 마음에만 있고 부담스런 공연료 때문에 보지 못한 관객들에겐 반가운 작품이 아닐까 한다. (나는 게을러서 개봉관에서 할 때도 보지 못했고 그나마 지난 추석 연휴 끝자락에 tv에서 다운받아 봤다.ㅠ)
사실 영화의 메카인 미국의 허리웃도 뮤지컬 영화는 그리 즐겨 만들지는 않는 것 같다. 그래도 (오래 전부터) 잊을만하면 한번씩 만들어 왔다. 왜 영화 감독들은 뮤지컬 영화 만드는 것에 인색할까? 지금까지는 별로 생각해 보지 않았는데 이번에 이 영화를 보니 새삼 이해할 것도 같았다. 영화는 감독을 위한 예술 아닌가. 그런데 이미 잘 알려진 뮤지컬 작품을 영화화하니 특별히 감독이 할 일이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그냥 카메라 앵글 정도 잡는 게 고작일텐데 그런 거야 촬영 감독의 몫 아닌가? 그런데비해 연극이나 뮤지컬은 배우의 예술이다. 그런데 이 영화에서조차 배우가 빛난다. 감독으로선 좀 김빠지는 작업 아닐까?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나의 주관적인 생각이니 실제와는 다를 수도 있다.)
개그맨으로 시작해서 간간히 드라마에 출연했다 뮤지컬 <<영웅>>에서 제대로 낚인 정성화는 이제 완전히 안중근의 페르소나를 자처한듯도 하다. 대체 이 배우 외에 누가 안중근을 맡을 수 있을까. 그래서일까, 정성화는 아직 이미지 변신을 할 생각이 없는가 보다. 이 작품외에 다른 작품엔 일체 나오지 않고 있지 않은가. 훗날 그가 이 역을 맡지 않거나 더 이상 공연되지 않는다면 모를까 그는 온전히 안중근으로 살고 싶은 것 같기도 하다. 그리고 영화는 뜻과 정성을 다해 노래를 부를 때 얼굴이 벌개지도록 심줄까지 놓치지 않고 보여준다. 영화가 하는 일은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또 그런 점에서 정성화는 대체 불가능한 배우다. 편집 또한 훌륭하다.(영화는 역시 편집의 묘미 아닌가.)
작품을 떠받드는 조연 배우들의 연기와 노래도 정말 볼만하다. 암울한 우리나라 근대사를 다룬만큼 자칫 슬픈 이야기가 될 수도 있을텐데 시종 유머를 잃지 않고 있어 의외로 즐겁게 볼 수 있어 좋았다. 특히 안중근의 어머니 역을 맡은 나문희 배우의 연기를 눈여볼만하다. 그다지 비중이 큰 건 아니지만 영화가 거의 종반무렵에 아들이 입을 수의를 만들면서 음정이고 박자고 무시한 오직 한 곡의 노래만을 부르는데 그게 참 작지않은 울림으로 다가왔다. 그 장면을 보고 있는데 눈에서 무슨 액체가 떨어지더니 기어코 얼굴을 적신다. 그러면서 노래를 잘 못 부르고도 뮤지컬 배우가 될 수도 있는 거구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줬다. 실제로 나문희 배우가 그렇게 노래를 썪 잘 부르는 배우는 아닌 걸로 알고 있다. ㅋ
예전에 뮤지컬은 그렇게 환영 받는 장르는 아니었다. 하지만 지난 2000년을 넘어오면서 뮤지컬은 명실공히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장르가 되었다. 그러는 동안 얼마나 많은 크고 작은 뮤지컬 작품이 만들어졌는지 알 수가 없다. 미국 같은 경우 7,80년전에 <<쉘부르의 우산>>이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같은 뮤지컬 작품이 영화로 만들어졌다. 우리나라는 늦어도 한참 늦었다. 자기 분야만 고집하지 말고 이제라도 뮤지컬 영화에 관심을 갖고 모쪼록 뮤지컬과 영화가 잘 소통하고 협업했으면 좋겠다.
또한 아직도 고국에 묻히지 못하고 이국을 떠돌고 있는 안중근 의사의 고국에서 안식할 날을 고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