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맑음
요즘엔 맑은 날씨가 제법 이어지고 있다. 봄가뭄이 들려나...?
누가 그런 말을한다. 자연재해 중 가장 무서운 건 홍수라고. 하다못해 화재가 나도 타다남은 흔적이라도 있지 않냐고. 하지만 홍수는 모든 것을 싸그리 없애버리기 때문에 흔적도 남지 않으니 무섭다고. 가뭄으로 고통 당하는 곳엔 씨알도 안 먹히는 소리겠지?
뭐가 됐던 자연재해는 무섭다. 지진도 진저리나게 무섭고.
참, 하늘에도 강이 흐른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얼마 전, 미국이 홍수로 쑥대밭이 됐는데 그게 바로 하늘의 강이 넓어진 탓이란다. 몇 개월에 나눠서 내려야 할 비가 단 몇 시간만에 한꺼번에 쏟아진 것. 해결책은 역시 해수면의 상승을 최대한 끌어내라는 것이고, 어서 탄소중립을 이루는 것이란다.
1. 가뜩이나 결정장애인 나는 요즘 마트에 가면 정신이 혼미해질 지경이다.
살림하는 사람들 요즘 같은 고물가에 마트에 가서 물건을 들었다 놨다를 반복한다는데 나 같은 사람은 오죽할까. 지난 번엔 자주 가는 마트 상설코너에 모처럼 옥수수빵이 등판했다. 이게 또 아무데서나 파는 게 아니라 예전 같으면 즐거운 마음으로 샀을 것이다. 그런데 웬걸. A4 용지 반절만하거나 그 보다 약간 큰가 싶은 게 5천원에 파는 걸 보고 헛웃음이 나왔다. 그도 그럴 것이, 작년 이맘 때만해도 3천 5백원에 사 먹었으니. 크기도 하고. 살까말까 망설이고 있으니 쥔장이 자기도 양심이 있는지 딱 한 번 권하고 만다.
그런데 그런 말은 왜 튀어 나왔을까? 가격에 비해 터무니 없이 작으니,
"이거 다시 찌면 좀 커지지 않나요?" 하고 물었다.
그러자 그런 일을 없단다. 예전에 냉장고 보관했던 거 다시 찌면 부피가 좀 늘어났던 기억이 있어. 하긴, 그건 굳지도 않고 말랑말랑 했다. 더 늘어날 것도 없다. 역시 우문에 즉답이다. 먹다 죽은 귀신은 떼깔도 좋다는데 그래, 그냥 먹고 죽자란 생각으로 눈 딱 감고 두덩이를 샀다.
그걸 사 갔고 집에 돌아 왔는데 울엄니 왤케 비싸냐면서도 다음 날 세덩이 남은 걸 싹쓰리 해 오셨다. 더 있었으면 더 샀을 것이다. 그런 것으로 보아 아직 그거 먹고 죽을 건 아닌 것 같았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29857/0/cover150/895469991x_3.jpg)
2. 오늘 K1 본부 밤 10시에 <다큐 인사이트>에 작년에 <하얼빈>을 쓴 김훈 작가가 나와서 3.1절을 맞아 안중근을 조명할 모냥인가 보다.
예전엔 애정하는 작가여서 신간이 나오면 거의 사 보곤했는데 언제부턴가 그냥 눈픽만 하고 있다. '공무도하'도 몇년째 모셔두고 읽지 못하고 있다.아, 그래도 '흑산'은 읽었구나.
애정이 식은 건 아닌데 왤케 못 읽고 있는지 모르겠다.
안중근을 다룬 뮤지컬 영화도 못 보고 있고, ㅠ
방송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