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외로(?) 몰입도가 좋다.

새삼 우리나라에서 아이를 키운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가를 생각하게 만든다.

조선족을 포함한 다문화 가정의 엄마들은 물론이고,

하다못해 능력있는 워킹맘도 그렇고.

물론 이들이 충분한 사회의 보호를 받는다면 무엇이 문제란 말인가?

 

한매는 조선족이지만 불법체류자고,

지선은 능력있는 여자지만 이혼과 함께 아이 양육권을 빼앗길 위기에 있고,

사회적으로도 위태위태하다.

이런 소위 사회에서 정상적인 궤도에서 벗어난 여자들은 역시

사회의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다.

아기 유괴 영화는 그저 이야기를 풀어가기 위한 장치일 뿐이고 영화는 그것을

통해 바로 이점을 고발하고 있는 것이다.

 

한매가 불법체류자로서 병든 자신의 아기의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입원비를

감당하지 못해 병원에서 쫓겨났을 때 그 배후엔 그 병원 소아과 의사이자

지선의 남편이 있었다. 그리고 역시 병든 자신의 아기를 입원시키기 위해

한매의 아기를 강제로 퇴원시킨 것이다.

문득 이 부분을 봤을 때 얼마 전 읽은 김제동의 헌법 독후감 에세이가 생각이 났다.

헌법에 이런 비슷한 조항이 있지 않을까?

인간답게 살기 위한 조항 말이다.

하다못해 모자보건법이니 인권 조례로라도 함부로 보호자의 동의없이

강제퇴원을 못하는 조항 같은 거 말이다. 그게 아무리 벌법이민자라도.

그럴 때 뭔가 위탁 병원으로 후송하는 노력이 필요하지 않았을까?

물론 극적 효과를 위해 그런 걸 배제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아무튼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는 말은

그냥 있는 말이 아니다.

그 역할을 한매 역의 공효진은 조금도 부족함이 없이 잘 소화해 냈다.

또한 여자를 일컫어 그렇게 표현한 건(물론 결코 유쾌한 건 아니지만)

그말 뜻이 가부장의 그림자가 있다는 걸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여자 스스로는 한을 품지 않는다. 

다 여자를 배려하지 못하는 이 사회의 태곳적 가부장 때문이지.

 

지선 역의 엄지원과 공효진의 연기 대결이 볼만하다.

둘 다 팽팽하지만 개인적으론 공효진을 조금 더 좋아하는 관계로

조금 더 우월한 연기력을 펼쳤다고 하면 차별이라고 하려나?ㅎ

영화가 나름 오랫동안 여러 생각들을 하게 만든다.

좋은 영화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포스터에서 공효진 왜 저렇게 점이 많은지 모르겠다. 완전 점순이네.ㅠ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yo 2018-10-11 15: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좀 뜬금없는 이야기지만, 스텔라님과 저는 왜 친구가 아닌거죠?
저는 친구등록이 돼 있어서 스텔라님 글이 북플에 뜨는데, 스텔라님은 제가 글 쓰는지 아닌지 어떻게 알고 찾아와서 댓글을 다시나요.....

stella.K 2018-10-11 16:45   좋아요 0 | URL
앗, 미안합니다.
알라딘 서재에 들어가면
누가 최근에 글을 올렸는지, 알잖아요.
좋아요 5개 이상은 메인에 뜨고.
그래서 아는 거죠.ㅎ
그도 그렇지만 타이밍을 놓쳤어요.
지금쯤 친구등록을 하고 싶기는 한데
하면 스요님이 친구등록을 안했단 말야?
분노의 포도 알갱이를 마구마구 저한테 분사할까 봐
수시로 들어가서 뭐 새로운 글 올라온 것 없나
확인하곤 했죠.
제가 이래뵈도 스요님한테 관심이 많습니다.ㅎㅎ

syo 2018-10-11 16:59   좋아요 0 | URL
그러니까 요지는, 저랑 밀땅하신 거네요 지금? ㅋㅋㅋㅋㅋㅋㅋ

stella.K 2018-10-11 17:04   좋아요 0 | URL
ㅎㅎㅎ 정답입니다! ㅋㅋㅋㅋㅋㅋ

세상틈에 2018-10-11 19: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영화 공효진이 나왔었군요. 팬인데 왜 몰랐으까.ㅎ 헌법의 취지에 맞게만 법이 만들어지면 얼마나 좋을까요. 하지만 현실은... 한번 볼까봐요.^^

stella.K 2018-10-12 18:18   좋아요 0 | URL
공효진 좋아하시는군요. 그럼 후회 안하실 걸요?
저 두 사람도 좋았지만 조연으로 나왔던 김선영이란 배우도
전 좋더군요. 확실히 조연 역할을 톡톡히 잘해요.^^

비로그인 2018-10-11 20: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영화 찍으면서 일부러 얼굴에 점을 많이 찍는 메이크업을 했다고 하더라고요, 공효진이... 고생스런 삶을 산 게 보이도록. (제 얼굴은 더한데요 ㅠㅠ)
여러 가지로 후벼파며 고발하는 영화였던 게 기억나요... 세세한 부분에서 구체적이기도 하고. 예를 들어, 영화 속에서 엄지원이 홍보행사에서 몰래 하이힐 벗고 서 있는 장면이 있는데, 저는 그 장면이 너무 자연스러웠는데(구두 신고 오래 있음 진짜 발 아프잖아요), 남자 스텝들이 그 장면을 이해를 못하고, 너무 과한 설정이라고 했다더라고요. 그런 식으로 세세한 디테일이 정말 여자들은 다 알고 남자들은 모르는 게 많았던 것 같아요.

stella.K 2018-10-12 18:16   좋아요 0 | URL
그랬을 겁니다. 솔직히 영화에선 별로 못 느꼈거든요.
저도 얼굴 잡티가 말도 못해요.ㅠㅋㅋ

저도 여자 출연자들 가끔 구두를 벗고 뭘하는 것 보면
자연스럽고 좋던데. 남자들이 그러는군요.ㅠ

페크pek0501 2018-10-12 12: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문화생활을 하기 위해 예약해 놓은 게 있어요. 내일 무용 공연을 보러 갑니다. 발레.
저보다 다리가 얼마나 높이 올라가는지 지켜보고 올 거예요. 홍보 사진을 보니 공중에 몸이 뜨던데 기대됩니다.

stella.K 2018-10-12 18:13   좋아요 0 | URL
와우, 부럽습니다.
발레를 배우시더니 완전 꽂히셨나 봅니다.
저는 작년인가, 재작년에 째즈 발레 공연을 본적이 있었는데
정말 멋있더군요. 잠시도 쉬지않고 몸을 움직여주는데
사람의 몸이 어떻게 저렇게 움직이지? 놀랍더군요.
암튼 좋은 시간 되길 바랍니다.^^

노란가방 2018-10-13 0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엄지원이 이렇게 연기를 잘 했었나 싶었던 영화였죠

stella.K 2018-10-13 16:10   좋아요 0 | URL
그렇죠? 저도 평균은 하는 배우라고 생각하지만
이 영화에선 선방했더군요. 좋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