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책이 내게 말을 걸어왔다 - 어느 책방에 머물러 있던 청춘의 글씨들
윤성근 엮음 / 큐리어스(Qrious)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헌책방을 순례한다. 지금은 절판이 되었거나 찾기 힘든 책들을 헌책방에서 발견하고 읽는 재미가 더할 수 없는 즐거움일 것이다. 예전에는 헌책방이 몰려있는 곳도 있었고 동네마다 서점이 있어 언제나 주변에서 가볍게 서점에 들려 책을 들춰보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한 역할을 굳이 하고 있다면 북카페라고 할 수 있는데 누구도 인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헌책방은 명맥을 겨우 겨우 유지하고 있고 서점도 마찬가지다. 있던 서점도 없어지니 실정이니 새롭게 생긴다는 것은 꿈도 꾸지 못할 일이다.

 

주변에 책을 읽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헌책방에 자주 간다는 이야기를 한다. 반면에 나는 헌책방을 가지 않는다. 어떤 책이 있는지 확인하고 책을 구경하기 위해 서점을 가는데 어딘지 모르게 헌책방은 가서 꼭 사야만 할 것 같은 느낌이 들고 작은 공간에서 책을 들쳐 보는 것이 부담스럽기도 하다. 이 책의 저자가 운영하는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도 저자의 첫 책을 읽고 가야겠다고 했음에도 아직까지 근처도 가 보지 못했다.

 

하다보니, 윤성근씨가 쓴 책을 전부 읽었는데 어딘지 모르게 부채감이 있다. 간다고 하고 아직까지 약속을 지키지 못한. 책을 읽다보니 두 가지에 대해 생각은 해 봤다. 하나는 출판사를 차려 내 책을 펴 내고 좋은 책을 만드는 것에 대해서. 이 생각은 내 능력이 절대로 되지 않을 듯 해서 아주 잠시 생각하고 말았다. 가끔, 나에게 출판사를 만들지 그러냐는 이야기를 하던데, 최근에 주변분들중에서 출판사를 차린 분들이 있는데 그저 그들이 대단하다는 생각만 할 뿐이다. 그중에 책을 펴 내자고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기는 하다만..

 

두 번째는 북카페를 차리는 것이다. 이것은 언제가 한 번 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북카페 내에 있는 책은 전부 내가 읽은 책으로만 구성한다. 시간이 늦어지면 늦어질 수록 절판되고 없는 책이 생길텐데 그러면 헌책방을 돌아다니면서 구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정도의 크기로 만들어 내가 거기서 강연도 하는 정도로 말이다. 북카페를 통해 돈을 번다기 보다는 운영만 되면 될 정도로 하고 돈은 부가상품이나 내가 하는 다른 일을 통해 충당하면 될 듯 하다. 가능할 지는 모르겠다. 아님, 주변 분들의 도움을 받으며 운영하거나. 여하튼, 특색있는 북카페 하나를 만드는 것이다.

 

책을 읽는 방법도 여러가지인데 그 중에 많은 사람들이 추천하는 것 중에 하나가 책에 메모를 하며 읽는 것이다. 읽다가 중요한 부분에 밑줄을 친다거나 떠오른 생각이 있으면 펜을 들어 책에 적어 놓으면 다음에 다시 책을 읽을 때 도움이 되고 메모한 것만 읽어도 자신의 생각이 떠올라 좋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나 같은 경우 도서관에서 빌려보다 보니 책은 완전히 새 책으로 본다. 내 책이라 하더라도 집에 있는 책을 보면 하나같이 완전히 새 책이다. 그렇기에 주변 사람들에게 줄 때도 부담없이 줄 수 있다.

 

진정으로 책을 제대로 읽는 분들은 나처럼 깨끗하게 읽는 스타일보다는 책에 메모를 하고 중요한 부분은 포스트 잇을 끼워넣고 책 하나를 통해 빼 먹을 수 있는 모든 것은 다 빼 먹도록 노력을 한다. 한 번 읽은 책은 책을 펼쳐보지 않고 쭈우욱 들쳐보기만 해도 저절로 머리속에 다시 떠오른다. 이 정도면 책 한 권에서 내가 원하는 것은 다 얻었다고 볼 수 있다. 나는 도저히 그렇게까지는 못 읽고 완전 새것으로 책읽고 이렇게 리뷰를 쓰는 것이 전부지만.

 

헌책은 누군가 이미 읽었다는 뜻이다. 가끔 읽지도 않고 그 즉시 헌책방에 파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 모 회사에서 중고 서점을 대형화해서 곳곳에 만들고 있는데 그 곳에 있는 책들중에는 읽지도 않고 파는 책들도 있다. 더구나, 분명히, 중고서점임에도 아무 책이나 막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분명히 다 읽은 책을 사고 파는 장소인데 너무 오래되거나 상태가 안 좋다고 받지를 않는다는 것은 중고서점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않고 돈만 벌겠다는 의미로 읽힌다. 실제로 그 중고서점을 가면 볼 책이 너무 없어 실망할 때가 많다. 

 

사람들은 글 쓰기를 어려워하지만 누구나 글은 쓴다. 지금처럼 SNS가 발달한 환경에서는 다들 단문이라도 수 많은 글을 남긴다. 예전에는 책에 자신의 생각을 적는 경우가 많았다. '헌책이 내게 말을 걸어왔다'는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에 있던 책중에 메모를 발견하고 인상깊었던 내용을 발췌해서 알려주는 내용인데 예전에 대학교에서 화장실에 쓴 낙서를 모아 시집식으로 펴 낸 책이 떠올랐다. 단문이든 장문이든 시대상황을 담고 있었고 위트가 넘치는 재기발랄한 글도 있었다.

 

책을 읽으면서 느낀 것 중에 하나가 나도 20대에 글을 좀 많이 쓸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쓰고 있는 글들은 대부분 이성적이다. 감성보다는 이성에 많이 치우쳐져 있는데 20대에는 아무리 이성이 넘쳐난다고 해도 근본적으로 감성이라는 감정이 풍부한 때라 쓴 글에서 숨기려 해도 숨길 수 없는 감성이 묻어나올 것이다. 그 때에 쓴 글은 두고 두고 내 찬란한 감성이 넘쳐나서 오글거리고 쑥스러워도 시간이 갈수록 다시는 찾을 수 없는 감성이 있었을 것이라는 회상에 젖었다.

 

책의 겉표지에 쓴 메모들이 대다수를 이루는데 쓴 글을 읽어보면 거의 대부분 20대의 친구들이 - 이제는 나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 더 많을 수 있지만 - 자신의 고뇌와 우정, 사랑등에 대해 길지 않게 짧지만 함축적인 단어로 남겼다. 누가 볼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 일기가 가장 내면 깊은 곳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처럼 책에 쓴 글들도 누군가에게 보여줄 것이라는 의식없이 썼기 때문에 더욱 진솔한 감정이 묻어나온다.

 

책에 메모를 한 사람들은 아주 평범한 사람들이지만 그들이 써 놓은 글을 읽다보면 어떤 글은 울림을 주거나 명문장이라는 느낌마저 준다. 억지로 글을 쓰기 위해 쓴 글들이 아니라 속에서 자연스럽게 우러나온 느낌과 생각을 쓴 글이라 누구도 따라오지 못할 진실이 담겨져 있다. 또한, 글을 쓴 시대상황도 저절로 행간에 읽힌다. 그 당시가 아니면 절대로 알 수 없는 느낌뿐만 아니라 그 시대를 공유한 사람만 수긍할 수 있는 감정은 동시대를 함께 겪은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연대감내지 동질감이다.

 

지금까지 깨끗한 상태를 그대로 보전하며 읽던 내 습관이 변하지는 않겠지만 이 책을 읽다보니 향후에 누군가에게 책을 줄 때는 간단한 감상이나 메모라도 하고 주면 좋겠다는 판단이 들었다. 솔직히, 약간 귀찮아서 책을 선물할 때 그냥 주는 편인데 나중에 시간이 지나면 누군가에게 선물할 때 남긴 간단한 메모가 역사가 되고 추억이 되어 우연히 다시 만날 때 그 메모를 통해 서로 다시 한 번 공유할 수 있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더 즐겁게 회상할 수 있을 듯 하다.

 

 

 

 

저자의 다른 책(사진클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