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표 ETF
ETF 중에서도 개인 투자자에게는 대표 주가지수 ETF를 권하곤 합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현실적인 수익률을 목표로 삼고 안정적인 투자를 하는 게 바람직하기 때문인데요, 이를 위해서는 분산투자의 원칙을 지켜야 합니다.
대표 주가지수 ETF는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는 상품입니다. 지수를 구성하고 있는 대표 회사 주식을 조금씩 사들여 주가의 상승과하락을 똑같이 따라가는 방식이기 때문이지요. 주가지수를 사 모은다는 개념으로 검근하면 쉬울 것입니다. - P114
해외 주식시장의 성과를 누리는 방법
국내에서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방법은 4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해외 주식을 직접투자하는 것입니다. 증권사 HTS로 해외 주식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간접투자로서 해외 주식형 펀드에 투자하는 겁니다.
세번째와 네 번째는 ETF로 해외 주가지수에 투자하는 방법인데, 국내 자산운용사가 해외 주가지수를 추종하여 상장한 ETF(국내 ETF)에 투자할 수도있고 외국 자산운용사가 해외 주가지수를 추종하여 상장한 ETF(해외 상장ETF)에 투자할 수도 있습니다. - P118
해외 주가지수 ETF 투자 시 고려할 점
국내에 상장된 해외 주가지수 ETF라 하더라도 해당 국가에 대한 이해가있어야 합니다. 그 국가의 경제, 정치, 사회 제도, 문화 등을 파악하고 현재의경제 상황과 전망까지 고려하여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묻지마 투자는 금물입니다.
물가를 감안한 경제성장률이 높을수록 주가 전망은 밝습니다. 다시 말해 GDP성장률 -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높을수록 주가상승률이 높을 것이라예측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가 수준과 금리도 살펴보아야 합니다. 주가 수준은 보통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로 판단하는데, 일반적으로앞으로 6~12개월 이후의 예상 PER을 사용합니다.
해외 지수 ETF는 장기 투자만이 능사가 아닙니다. 일희일비하면서 단기매매를 해서는 안 되지만 관심 없이 방치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상승 추세일 때는 장기 보유하고, 하락 추세일 때는 현금화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해외지수 ETF는 집중투자하기보다는 국내 주가지수 ETF 등과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투자하는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 P120
섹터 · 테마 스타일 ETF 투자 전략
ETF를 통해 해당 섹터 · 테마 스타일에 대한 분산투자와 집중투자가 동시에 가능합니다. 국내주식형 ETF의 경우 최소 10종목 이상이 PDF에 포함됩니다. 자동적으로 분산투자를 할 수 있으면서, 그 안에 같은 섹터·테마 스타일 종목이 있으니 집중투자도 이루어지는 셈입니다.
섹터 테마 스타일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거래량이 많지 않아 매매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거래가 적은 이유는 상장된 기간이 짧아서 아직투자자에게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섹터 테마 ·스타일 지수 ETF에투자하는 것보다는 업종 대표 우량주에 투자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투자자가 많습니다. 이런 ETF에 투자할 때는 거래량을 먼저 확인하는게 좋습니다. 거래가 지나치게 적으면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가격으로 매매하기가 어렵고 불리한 가격으로 거래가 체결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섹터·테마 ·스타일 ETF를 보조 투자 수단으로 이용하는 전략이유효할 수 있습니다. 일정한 비율로 시장 대표지수 ETF에 투자하면서 추가수익을 목표로 섹터·테마 스타일 ETF 투자를 병행하는 것이죠. 단순히 섹터 테마 스타일 ETF에만 집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 P128
ETF를 통한 채권 투자
소액 개인 투자자가 채권에 투자하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습니다. 그러던 중 채권형 ETF가 생긴 후부터는 개인 투자자도 채권 투자를 시도할 수있게 되었습니다.
채권 ETF는 10만 원으로도 국채, 회사채 등 각종 채권을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상품입니다. 만기가 되지 않아도 언제든지 매도하현금화할 수 있죠. 이자 수익이 균등하게 반영되므로 언제 매수하거나 대도하더라도 이자 지급일과 상관없이 수익이 발생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채권 ETF로는 ‘KODEX 단기채권, ‘KODEX 종합채권(AA-이상)액티브‘, ‘KBSTAR 단기통안채, ‘KOSEF 단기자금‘ 등이 있습니다. ‘TIGER미국채10년선물은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 P142
실물자산 ETF
투자상품, 통화, 부동산 ETF는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고 외국 통화도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실물자산이 아닌 선물에 투자하기에 배당금이 없습니다. 또한 투자 자금의 일부만 선물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현금이나 안전자산에 넣어두는 형식으로, 대부분 환헤지가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별도로환리스크에 대비하지 않아도 됩니다.
국내 상장된 실물자산 관련 ETF로는 KODEX WTI원유선물(H), KODEX 은선물(H), TIGER 원유선물Enhanced(H), TIGER 농산물선물Enhanced(H), TIGER 구리실물, TIGER 금은선물(H), KODEX 3대농산물선물(H), KODEX 구리선물(H), KBSTAR 팔라듐선물(H), KODEX WTI원유선물인버스(H), KODEX 콩선물(H), TIGER 금속선물(H), KBSTAR 팔라듐선물인버스(H)가 있습니다. - P1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