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바고 문화사
안대회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요약 。。。。。。。    

 

     담배가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왔을 때는 그 약효가 주목을 받았다. 가래를 가라앉히고, 소화를 돕고, 속을 안정시켜준다는 식의 담배의 효능에 대한 믿음이 그 확산에 큰 기여를 했다. 비교적 근래에 들어온 이 새로운 작물은 곧 전국으로 퍼져 단숨에 제일 가는 기호품이 되어버렸다.

 

     우리가 잘 아는 인물들 중에 정조는 이름난 골초로, 심지어 책문을 통해 담배의 유익에 대해 써 내라는 질문(으로 위장된 옹호론)을 하기도 했고, 정조의 심기를 잘 살폈던 정약용 역시 담배 없이는 못 사는 인물이었다고 한다. , 오늘날 담배에 빠져 사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골초라는 단어는 청나라의 장군 용골대가 이름난 애연가라는 데서 온 말이라는 설명도 재미있다.

 

     책은 이 외에도 담배가 조선시대 우리나라에서 차지했던 경제적인 가치, 담배를 두고 벌어지는 찬반양론, 문학과 예술작품에 등장하는 담배의 모습들 등 담배와 관련된 근대 한국의 문화사적, 미시사적 연구를 집대성했다.

 

 

2. 감상평 。。。。。。。  

 

     최근 담배에 부과하는 세금을 올려서 말이 많다. 개인적으로는 담배를 피지 않고, 오히려 담배 냄새가 굉장히 불쾌하게 느껴지는 사람으로서 딱히 불편하게 느껴지는 건 없다. 그리고 어차피 담배라는 게 생필품보다는 기호품에 - 그것도 일부에게는 굉장히 불쾌감을 주는 - 속하는 거니까. 비싸서 못 필 것 같으면 이참에 건강을 생각해서 끊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 싶은 쪽이다.

 

     언젠가 종로에 나갔다가 큼지막하게 금연구역이라고 쓰여 있는 기둥 앞에서 줄지어 담배 연기를 피워대는 무개념 공무원들을 보며, 담배라는 게 사람의 공중도덕심을 약화시키는 뭔가 특별한 성분이 있는 건 아닌가 하는 객쩍은 생각까지도 했었다. 그런데 이런 식의 인식은 담배를 피지 않는 사람들이라면 자주 떠오르곤 했나보다. 이미 조선시대에도 담배의 약효(?)에 대한 주장 못지않게 그 해악에 관한 각종 주장들도 제기되어 왔었던 것을 보면 말이다.

 

 

     일상 속의 소소해 보이는 소재들을 통해 한 시대를 읽어가는 방식은 확실히 재미가 있다. (그리고 저자는 이런 부분에 상당한 재능을 보여준다) 기존의 편년체적 서술로는 정조의 담배사랑을 다룰 이유도, 여유도 없었겠지만, 담배라는 소재를 가지고 이렇게 옆으로 접근해 들어가면 기존에는 보이지 않았던 역사 속 풍경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정공법과는 또 다른 공략방식이고, 여기에 그 공격로가 자신의 관심이 있는 분야라면 더욱 재미있을 터(아쉽게도 내 경우에 담배는 아니었지만).

 

     문화 컨텐츠라는 것도 결국 이렇게 조금씩 더 쌓여가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관상을 소재로 영화가 만들어질 수 있다면, 담배를 소재로는 또 안 될 것도 없지 싶다. 병자호란 이후 중원의 정치적 혼란기와 맞물려 가난했던 조선이 경제적으로 살아남기 위해 담배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는 사실은 이제까지 어디에서도 읽어보지 못한 재미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일제강점기 담배가 가지고 있던 또 다른 의미 역시 상당히 흥미롭다. 그 자체로도 흥미롭지만, 또 다른 건축물들을 장식하고 쌓아올리기에도 유용할 듯한 일종의 학문적 벽돌, 혹은 장식물이 될 듯.

 

 

     전반적으로 책은 단단하게 잘 만들어졌지만, 편집상의 실수도 보인다. 218쪽의 대화는 잘못 들여쓰기 된 부분이 여러 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