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줄거리 。。。。。。。   

 

     살인, 강간, 폭행, 납치 등 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나쁜 짓을 하다 친한 동생까지 죽이고 결국 잡혀 사형 선고를 받은 흉악범 스도. 2심 재판에서까지 사형을 선고받은 그는 상고를 진행 중인 상태에서 한 잡지사에 편지를 보낸다. 기자인 후지는 그의 사건을 배당받아 스도를 직접 만나러 갔고, 면회 도중 스도는 알려지지 않은 세 건의 살인 사건을 추가로 밝히면서 이 모든 일들에 자신과 함께한, 자신과 일종의 지시관계에 있었던 선생이란 자의 행태를 고발한다.

 

     기삿거리가 되지 않을 거라는 만류에도 불구하고 사건을 홀로 조사하기 시작한 후지. 그의 기사가 실린 잡지가 사회에 엄청난 충격을 몰고 오면서 경찰도 더 이상 엉덩이를 뒤로 뺄 수만은 없게 되었고, 마침내 선생도 체포된다. 어쨌든 나쁜 놈은 벌을 받았지만, 좀처럼 찜찜한 기분이 가시지 않는 건, 덕분에 감형을 받은 스도와 후지 자신의 엉킨 가정문제 때문이었을까.

 

사이코패스 일당 스도와 선생​

 

2. 감상평 。。。。。。。   

 

     시작부터 과도한 폭력적 장면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영화 전체의 분위기를 무겁고 어둡게 만든다.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는 이 영화는 끝날 때까지 다양한 방식, 이를테면 회상이나 스도의 발언을 영상으로 재구성 하는 식으로 그가 저질렀던 악행들을 딱히 극적인 효과를 넣지 않은 채 사실적으로 그려낸다. 폭력 그 자체에서 아름다움을 찾겠다는 사이코패스적인 생각이 아니라면 영화 속 폭력에는 뭔가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게 내 지론이지만, 글쎄 단순히 예산부족과 카메라워크의 역량 부족 말고는 필연적인 이유를 찾기 어렵지 않았나 싶다.

 

     영화는 어떻게 보면 단순히 한 기자의 집요한 노력으로 감춰졌던 사건들이 드러나고, 자칫 계속 악행을 저지를 뻔 했던 사이코패스를 잡아넣게 되었다는 식의 언론전사 이야기처럼 보인다. 하지만 감독은 여기에 치매에 걸린 시어머니와 그녀를 혼자 집에서 돌보며 어려움을 겪는 기자의 아내, 그리고 이런 막막한 가정문제로부터 의식적으로 시선을 돌려 사건에 매달리는 기자의 모습을 집어넣음으로써 드라마를 좀 더 복잡하게 만들어 낸다.

 

 

이 녀석이 주인공인 기자 후지

 

 

     이런 측면은 선생이 결국 수감되고 나서 그를 면회하러 간 후지에게 선생이 한 말 - ‘내가 죽기를 가장 바라는 사람은 바로 너라는 -에서도 언뜻 암시되는 것 같기도 하다. 영화를 이렇게 본다면 자신의 가장 가까운 사람들(가족)과의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도 못하면서 그에 대한 분노를 사회 정의라는 이름으로 화풀이하고 있는 소심한 사내의 이야기로 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왠지 두 번째 메시지를 주()로 제시하기에는 뭔가 아쉽다. 그렇다고 제대로 된 사회고발 작품이라고 하기에도 좀.. 전체적으로 약간 어정쩡한 느낌이랄까. 영상미라든지 하는 부분이 뛰어난 것도 아니면서 말이지. 장르도, 영상도, 주제도 애매했던 영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