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정요 (양장) - 리더십의 영원한 고전 글항아리 동양고전 시리즈 1
오긍 지음, 김원중 옮김 / 글항아리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1. 요약 。。。。。。。     

 

 

    폭정을 저지르고 있던 수나라를 멸망시키고 새롭게 세워진 당나라의 일등공신은 초대황제인 고종이 아니라 그의 아들이었던 이세민, 태종이었다. 그는 ‘정관’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는데, 이전 세대의 황제들과는 달리 ‘정관의 치세’라는 명칭이 생길 정도로 유능한 정치력을 보여주었다. (만년에 고구려 정복하겠다고 헛힘만 빼지 않았더라도 그의 치세는 더욱 빛났으리라)

 

    이 책은 그런 태종과 신하들이 남긴 통치의 모범에 관한 기록이다. 태종이 내린 지시사항, 신하들과의 토론, 현신(賢臣)들이 올린 각종 상소들 등이 주제별로 정리되어 실려 있다.

 

 

2. 감상평 。。。。。。。  

 

    고대로부터 제왕의 통치에 교과서처럼 사용되었던 책 가운데 하나다. 대부분 전제군주의 통치 같은 건 폐지된 요즘은 ‘리더십’에 관한 고전 정도로 인식되어 읽히는 것 같다. 원문의 구성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이 책은 각 주제별로 정리되어 있어 읽기에 편했고, 가능하면 이해하기 쉬운 말로 풀어 번역되어 있어서 따분한 감은 없었다.

 

    많은 부분이 백성의 어려움을 살피고, 사치나 방종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좋은 신하들을 선발해 그들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는 식의 기본적인 정도(正道)에 대한 관점들을 담고 있다. 사람들이 몰라서 안 하는 게 아니라, 힘들고 때로 귀찮기 때문에 못하는 것들 말이다. 여러 신하들은 늘 고대의 성현들과 역사를 인용하며 바른 군주의 길에 대해 끊임없이 떠든다. 그 시대엔 황제 노릇 하는 것도 결코 쉽지는 않았을 것 같다.

 

 

    책을 읽어가면서 특별히 와 닿는 포인트는 역시 인재에 대한 태종의 사랑과 좋은 인물을 얻기 위해 늘 목말라 했던 그의 열정이다. 마치 삼국시대 조조를 보는 듯 하달까. 뿐만 아니라 그는 그렇게 모은 인재들의 건의를 적극적으로 수용한다. 때로 자신의 잘못을 지적하는 날카로운 상소문을 보면서도 태종은 분노하기 보다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도리어 상을 내린다. 자신이 모든 걸 안다고 생각하고 독단적으로 일을 해 나가지 않으니 아랫사람들도 신이 나서 자신의 역량을 발휘해 왕을 도우려 한다. 뭐 이런 느낌.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태종이 모든 의견을 받아들인 것만은 아니다. 예컨대 어떤 신하가 거짓으로 아첨하는지 혹은 어진 신하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거짓으로 화를 내 보라는 한 신하의 건의에, 군주로서 신하들에게 정직하지 못하면서 어떻게 그들의 정직을 바라겠느냐며 단숨에 물리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이런 통치자라면 과연 진심으로 따를만 하지 않은가.

 

 

    자연히 오늘의 리더들의 모습을 떠올리게 된다. 국가 재정을 파탄으로 몰아넣으면서 사리사욕을 채우기 바쁜 대통령과 자리보전이 전부인 정부의 고위공무원들, 국민의 삶 따위는 관심 없고 어떻게든 권력을 더 잡을까만 고민하는 잉여 국회의원들. 이런 사람들을 리더라고 뽑아 놓으니 나라꼴이 제대로 돌아갈 리 없다. 법집행을 해야 할 경찰과 검찰은 권력자의 눈치 보기 바쁘고(물론 모두가 그런 건 아니겠지만), 국민을 지켜야 할 군대를 비롯한 각종 권력기관들은 도리어 국민을 감시하고, 통제하고, 나아가 위협하면서도 뭐가 잘못되었냐는 식의 적반하장이다.

 

    물론 대통령 하나 제대로 뽑는다고 해서 단숨에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건 아니겠지만, (기득권자들의 온 힘을 다한 저항을 뚫고 나가기란 좀처럼 쉬운 일이 아니니까) 그래도 좋은 리더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천양지차가 아닐까. 우리에게도 태종과 같은 소통할 수 있는 리더가 절실하게 필요한 때가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