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는 고양이처럼 - 아웃케이스 없음
미란다 줄라이 감독, 데이빗 워쇼프스키 외 출연 / 아트서비스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1. 줄거리 。。。。。。。  

 

   소피와 제이슨은 4년간 동거해 온 커플이다. 길고양이 한 마리를 발견한 그들은 동물병원으로 데려갔고, 거기에서 고양이의 수명이 약 반 년 정도 남았다는 말을 듣게 된다. 한 달 후 치료가 끝나면 집에 데려가서 키우기로 하지만, 잘만 돌봐주면 5년 정도까지 살 수 있다는 말을 들은 그들은 감자기 엄청난 책임감을 느끼게 되었고, 남은 한 달 동안 자신들이 해 보고 싶은 일을 해 보기로 결심한다.

     일을 그만두고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나무심기 캠페인(이지만 실은 나무 묘목 방문판매원)을 하기로 한 제이슨은 한 노인의 집에 매일처럼 방문하며 조금씩 마음을 열기 시작하고, 매일 한 가지씩의 춤을 동영상으로 촬영해 올리기로 결심했던 소피는 우연히 만난 중년의 사내와 바람을 피기 시작한다.

2. 감상평 。。。。。。。

 

    이 제멋대로의, 그리고 거의 감독 혼자만의 생각을 강압적으로 그려내는 영화의 키워드는 ‘불안’이 아닐까 싶다. 4년 동안 동거를 하고 있지만 아직 결혼까지는 생각하지 않고 있는 그들의 상황은 미묘한 여지를 남겨 두었고, 그들의 불안정한 일 역시 미래를 걱정하게 만들 수밖에.. 길고양이 한 마리를 입양해 책임져야 할지도 모른다는 상황은 그 자체보다는 일종의 방아쇠의 역할을 했다.

     주인공 커플들이 처해 있는 상황은 오늘날 대다수의 젊은이들이 마주하고 있는 현실과 비슷하다. 기성세대가 만들어 놓은 사회 구조와 계층, 극심한 양극화, 끊임없는 경쟁 속에서 탈락하는 수많은 사람들은 재기할 수 있는 기회를 잃어버리는 상황에서 모험과 도전은 남의 일이 되어 버린다. 미래를 계획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데 뭘 또 이래라 저래라 하는 인사들은 넘쳐난다. 내가 위로해 주겠다고, 여기에 길이 있다고 말이다.

    ​하지만 영화 속 감독의 제안은 썩 설득력이 있지도, 매력적이지도 않다. 감독은 또 하나의 익숙한 해답 - 그냥 네 마음속에 있는 걸 하라 -을 할 뿐이니까. 그래서 나온 결과는 바람과 그에 따른 관계의 파괴일 뿐. 미국에서 60년 대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라며 자연으로 나갔다가 결국 마약과 알콜 중독으로 마무리되던 히피적 삶에 관한 철지난 동경이 떠오르기도 하고, 물론 그보단 극단적인 인본주의의 종교적 변형의 실천 같기도 하고.

     기대하게 만든 시작이었지만, 감독의 머릿속의 아이디어와 연출은 그리 인상적이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