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의 발전과 기독교
손봉호 지음 / 예영커뮤니케이션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요약 。。。。。。。     

 

     한국 사회에 교회와 기독교가 들어온 지도 벌써 백 년을 훌쩍 넘겼다. 그리고 이 시기 우리나라는 전제적 왕조에서 식민지로, 그리고 다시 신생 독립국에서 세계에서 열 손가락 안에 든다는 부유한 나라로 숨 가쁘게 변해왔다. 이 책은 한국에 전래된 기독교가 사회의 발전에 어떤 공헌을 했는지에 관해, 역사관의 전환, 교육이나 의료, 빈곤퇴치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쓴 글들을 엮은 것이다.

 

 

2. 감상평 。。。。。。。   

 

     어떻게 보면 좀 낯간지러운 말만 가득한 책처럼 보이기도 한다. 오른 손이 한 일을 왼 손이 모르게 하라는 성경의 가르침을 어기는 것 같기도 하고. 어찌되었건 우리나라에서 자화자찬이라는 건 그리 점수를 따기 어려운 모습이니까.

 

     하지만 기독교가 무슨 사회악이나 되는 것처럼 평가절하하고, 아니 노골적인 조롱과 욕설의 대상이 되는 것 또한 정상적인 모습은 아닌 게 분명하다. 공과(功過)라는 게 산술적으로 더하고 빼는 일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분명 기독교가 이 땅에 이렇게 짧은 시간에 깊게 뿌리내릴 수 있었던 건 단순히 ‘극성스러움’ 때문만은 아닌 게 분명한 거니까. 과오도 있지만, 그건 적극적인 악의 행사보다는 침묵과 관조(물론 이것도 결코 가벼운 잘못은 아니다)가 대부분이었고, 반대로 선의의 행위들도 많았다.(여기에서 최근 몇몇 대형교회 목회자들이 벌인 개인적 돌출행동은 제외하자.)

 

 

     개화기, 모든 것이 급격하게 변하고 있던 시절, 한국의 기독교 전래는 다른 아시아권이나 남미, 혹은 아프리카의 그것과는 상당히 다른 면을 지니고 있었다. 적어도 우리나라에서 기독교는 서구 강대국들의 제국주의적 침략의 첨병역할을 한 것이 아니었다. 이미 기독교는 외국의 침탈이 벌어지기 수십 년 전에 책과 사람들을 통해 이 땅 곳곳에 심겨지기 시작했고, 오히려 일본의 제국주의적 양태에 대항하는 구심점 중 하나의 역할을 했다. 또 당시 기독교는 서양의 문화와 기술을 수입하는 통로로서 작동하기도 했고, 이 땅의 초기 근대 교육기관과 의료기관은 거의 도맡아 설립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경제적 성장이 꼭 어떤 사회가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래서 경제적 분야에 대한 공헌만으로 기독교가 유익하다고 주장하려는 건 적절치 않지만, 몇몇 저자들과 그들의 글들에서는 이런 느낌이 강하게 들어 좀 아쉽기도 했다.

 

     하지만 기독교가 도대체 뭘 해왔느냐고 묻는 사람들에게 한 번쯤 믿고 읽도록 해도 괜찮을 것 같은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int236 2013-02-14 15: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독교가 사회 구원의 역할을 포기하고 개인의 구령에 전념하면서 사회로부터 손가락질을 받게 되지 않았나하는 생각이 듭니다.

노란가방 2013-02-14 15:30   좋아요 0 | URL
적극 동의합니다.
창조세계 전반을 구속하는 큰 비전을 상실해 버렸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