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스트 인 베이징 - Lost in Beijing
영화
평점 :
개봉예정
1. 줄거리 。。。。。。。
베이징의 한 발 마사지 업소에서 일하고 있는 핑궈(판빙빙). 좁은 단칸방에서의 가난한 삶이지만 남편인 안쿤(동대위)과 함께 즐겁게 살려고 애를 쓰는 그녀였다. 그러나 어느 날 술에 취한 그녀를 작장 사장(양가휘)이 강간을 하게 되면서 모든 일이 엉클어지기 시작했다. 마침 빌딩의 창문청소를 하던 안쿤이 그 장면을 목격한 것. 그리고 얼마 후 핑궈가 임신을 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문제는 점점 더 복잡해지기 시작한다. 정작 남편인 안쿤은 자신의 애가 아닐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는 반면, 아내에게서 아이를 얻지 못한 사장은 그 아이가 자신의 아이일 수도 있다고 생각하게 된 것. 안쿤은 이 일을 빌미로 사장을 협박해 돈을 요구하고, 사장은 아이를 얻기 위해 이를 수락한다. 그리고 마침내 아이는 태어나는데...

2. 감상평 。。。。。。。
급격한 중국식 자본주의 성장의 이면에 존재하는 추잡하고 어두운 모습을 담담하게 그려나가는 감독의 시선이 마음에 든다. 애써 과장되게 꾸며댈 필요도 없이 정확하게 그냥 그 모습 그대로를 담아내도 이런 영화가 나오게 만드는 자본주의의 위대함에 경의를 표한다.
정부 주도의 급격한 경제성장은 필연적으로 전체 경제주체의 수용능력에 부담을 줄 수밖에 없고, 그 결과는 지배와 피지배 계층 간의 완전하면서도 돌이킬 수 없는 분리와 그 가운데서 상실되어가는 인간성뿐이었다. 영화 속 사장은 마사지 업소를 운영하며 벌어들인 돈으로 벤츠를 몰며 하룻밤을 즐기기 위해 여자를 사고 도박으로 돈을 탕진하는 삶을 살고 있지만, 핑궈와 안쿤 부부는 하루하루 입에 풀칠을 하면서 살아가는 수밖에 없었다. 더구나 한 번 그렇게 신세가 나뉘자 이젠 무엇으로도 처지를 바꾸는 것이 불가능해져버렸다. 결국 자본주의적 발전이란 누군가에겐 기쁨을, 누군가에겐 절망을 안겨주는 지극히 인간적인 경제정책이었을 뿐, 애초부터 모두에게 이익을 돌려주는 체제 따위는 없었던 것이다.

그런 상황 속에 등장하는 네 명의 인물(사장과 그의 아내, 안쿤과 핑궈)들의 행동은 모두가 극단적으로 이기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사장은 강간을 한 종업원이 자신의 아이를 가졌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거액의 돈을 주고는 아이를 가져가기로 한다. 게다가 뻔뻔스럽게도 그녀의 집으로 찾아가 이래라저래라 조언을 하려 한다. 그의 부인은 애정 없는 남편과의 관계에 불만족을 느끼고는 자신을 찾아온 안쿤과 관계를 맺으며 냉소적인 모습으로 등장하고, 안쿤은 아내의 임신을 빌미로 돈을 얻어내려는 모습으로 심지어 아내를 제대로 보호하지도 못한다.
그나마 핑궈는 가장 정상적인 모습을 보이지만 그나마 시종일관 수동적인 모습으로만 그려진다. 흥미로운 것은 영화 속 등장인물들을 가장 인간적으로 행동하도록 만드는 ‘이유’는 아이였다는 점. 핑궈는 엄마로서 아이를 지키기 위해 자신에게 닥친 운명을 꿋꿋이 버텨나가고 있는 것이었고, 사장은 자신의 핏줄을 타고난 아이를 지키기 위해 아내를 설득하려 하고 안쿤에게는 돈을 안겨준다. 그의 아내는 아이를 갖지 못하는 자신에 대한 연민과 남편에 대한 분노로 안쿤과 육체적 관계를 맺고, 안쿤은 아이에 대한 불신으로 아내를 의심하고 얼빠진 행동들을 계속한다. 정작 중요한 건 역시 돈보다는 사람이라는 게 아닐까.
양가휘와 판빙빙의 연기력은 영화 전체를 통해 빛이 난다. 특히나 판빙빙은 얼굴만 믿고 적당히 자리를 차지하는 모델이 아니라 진짜 배우라는 사실을 이 영화를 통해 확실하게 입증해내고 있다. 한편으로는 이 일이 그들의 일만은 아니라는 사실이 슬프기도 하고. 자유무역이니 시장경제니 하는 것에 목숨 걸고 사는 사람들에게는 믿기 싫은 이야기겠지만, 자본주의란 건 물질적인 측면에는 발전을 가져오는지 모르겠지만, 확실히 영혼의 차원에는 퇴보를 가져다주는 제도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