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린: 최후의 결전 - New Shaolin Temple
영화
평점 :
현재상영


 

1. 줄거리 。。。。。。。                  

 

     청 왕조가 무너지고 중화민국이 건국되었지만, 각처에서는 군벌들이 활개를 치고 있던 시절, 하남성 인근의 호우지에(유덕화)도 그런 군벌 중 하나였다. 형님으로 부르며 절친하게 지냈지만 늘 위협적이었던 송호를 제거하려다 부하였던 카오만(사정봉)의 계략에 빠져 모든 걸 잃고 소림사로 들어오게 된다. 딸의 죽음으로 깨달음을 얻게 된 그는, 이제 자신의 자리에 올라 자신보다 더 포악한 존재가 된 카오만의 위협에 맞서 절과 사람들을 지키는 싸움을 시작한다. 

 


 

 

 

2. 감상평 。。。。。。。        

 

     전형적인 중국 무협영화의 공식을 따라가고 있는 영화다. 선과 악의 대립은 뚜렷하고, 주인공은 역경을 이겨내고 마침내 복수에 성공한다. 이 영화는 불교적 세계관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기에 ‘복수’라는 말이 적절할지 않을지 모르지만, 꼭 적을 죽이거나 쓰러뜨려야만 복수는 아니니까. 이 영화 역시 일종의 복수에 성공하는 주인공의 이야기다. 관객은 편하게 주인공만을 응원하면 되니, 복잡하지는 않다.

 

     두 시간 여의 짧지 않은 상영 시간이었지만 주인공의 극적인 심정의 변화가 충분히 설명된 것 같지는 않다. 일차적으로 딸의 죽음이 큰 영향을 미쳤다는 건 알겠는데, 인물의 깊은 심리적 고뇌를 그려내기에는 감독의 역량이 부족해 보인다. 대신 시원시원한 액션신은 그럭저럭 볼 만하다. 유덕화의 연기력이야 따로 말해 뭐하나 싶지만, 사정봉의 겉멋만 잔뜩 들어간 기울인 고개는 그냥 실소만.. 그리고 요새 들어 자주 조연으로 등장하는 성룡에 대해선 아쉬움만 짙게 든다.

 

 


 

 

     영화에서 중화사상을 읽어내려는 네티즌들도 있는 것 같지만, 내가 보기엔 딱히 그렇게까지 봐야 할까 싶다. 그보다는 전통적인 문화를 파괴하고 약탈하는 서양세력에 대한 반감 정도가 약간 느껴진다. 왕을 반신(半神)으로 생각하는 일본이라면 존왕양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지만, 영화가 다루고 시대의 중국은 이미 왕이 폐위되었으니 그렇게 표현할 수는 없고 그냥 자국의 전통에 대한 강한 향수 정도일 것 같다.

 

     이걸 또 딱히 뭐라 할 수 없는 게, 비슷한 시기 우리나라, 우리민족 역시 그렇게 일본과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수많은 나라들에 의해 국권을 침탈당했으니 비슷한 감정을 느끼게 되지 않을까. 물론 영화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그런 약탈행위에는 언제나 개인적 탐욕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는 그 나라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었다는 점도 기억해야 할 거고.

 

 


 

 

     그리고 역으로 우리나라가 그런 식으로 주변국들에게 끼친 피해도 있다는 점과 심지어 자국민에 대해서도 그런 식의 악랄한 조치들이 있었음 또한 인정해야 하지 않나. 사람을 사람으로 보지 못하게 만들고 무슨 뿔난 괴물로 묘사하는 쓰레기 주류 언론들과, 여기에 편승해 자기들이 나라는 다 지키는 양 부화뇌동하며 국가 전체에 획일적인 사고를 강요하는 족속들 역시, 이 영화 속에서 문화재를 약탈하고 수틀리면 다 때려 부수는 외국인들과 다를 바 없다. 충만한 열등감 감춰보려고 동남아시아 사람들에 대해 멸시와 우월감을 쏟아내는 작자들은 또 어떻고.

 

 

     뭐 그럭저럭 볼만한 영화다. 얼마 전에 본 일본식 하드코어물 보단 훨씬 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int236 2011-10-18 14: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형적인 중국 무술 영화입니다. 즐겁죠. 그 외에 다른 무엇은...

노란가방 2011-10-18 16:47   좋아요 0 | URL
네. 딱 거기까지만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