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전미궁 가이도 다케루의 메디컬 엔터테인먼트 4
가이도 다케루 지음, 권일영 옮김 / 예담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의학은 원래 출신성분이 형편없는 존재인데도 지금은 귀부인처럼 행세하고 있어.

웃기지도 않지. 자신의 모태를 경시하는 현대 의료는 언제 어디서든 파탄에 이를 걸세.

 

1. 줄거리 。。。。。。。

 

     일본의 한 소도시에 위치한 사쿠라노미야 병원을 조사해 줄 것을 요청받은 덴마(天馬)는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자원봉사자 명목으로 병원에 들어가게 된다. 지역의 유명한 병원인 도조대학병원의 위성병원인 사쿠라노미야 병원은 도조 대학에서 더 이상 손댈 수 없는 환자들이 넘어와 마지막 나날들을 보내는 식이었다. 소위 ‘종말기 의료’를 담당하고 있는 것.

     본의 아니게 작은 사고로 인해 며칠 간 입원을 하게 된 덴마는 병원에 입원한 모든 환자가 그 병원의 직원으로 고용되고, 병원과 함께 헤키스이인이라는 종교법인(절)이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등, 이와오 원장과 그의 두 딸로 이루어진 가족 병원에서 벌어지는 이상한 점들에 주목을 하게 된다. 곧 얼마 되지 않는 기간에 입원 중이던 환자의 상당수가 차례로 죽음을 맞고, 덴마는 점점 병원의 비밀을 담고 있는 핵심부로 진입해 들어가기 시작한다.

  


2. 감상평 。。。。。。。

 

     등장인물과 지명, 기관의 이름이 일본어가 아니라 한국어로 되어 있다고 해도 대번에 ‘일본 이야기구나’ 하고 알아챌 수 있을 것 같은, 전형적인 일본 분위기의 작품이다. 바닷가에 세워진 요새 같은 구조의 병원이나, 가족 중심의 운영, 해부한 시체들의 장기를 담아 놓는 드럼통 같은 소재는 좀처럼 우리나라 작품들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부분들이니까. 자칫 음산한 느낌만을 줄 수도 있는 소재들이지만, 작가는 서유기 삼총사 할머니들이나 히메이야와 같은 인물을 통해 지나치게 작품이 무거워지는 것을 막아 내는 솜씨를 보여준다. 


     작가의 능력은 작품의 분위기만을 수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부분에서도 훌륭한 재능을 보여준다. 사전에 어떤 정보도 가지지 못하고 그냥 첫 장을 넘기기 시작했으나, 서너 장(章)을 넘기면서부터 이야기에 푹 빠져들게 된다. 추리소설 기법을 사용해 조금씩, 하지만 모든 정보를 독자에게 전해주면서도 다음 이야기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시킨다. 오랜만에 느끼는 기분 좋은 흥분감.

     작품은 충분히 재미있다. 다만 강한 일본색이 느껴지고, 시신의 해부와 장기 적출, 죽음에 관한 이와오 원장 가족들의 독특한 관점은(개인적으로도 완전히 동의하지는 않는다) 약간의 저항감이 느껴질 수도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