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큐리
아멜리 노통브 지음, 이상해 옮김 / 열린책들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당신은 감금되어 박해와 사랑을 동시에 받은 적이 단 한 번도 없소.

그런 일이 당신에게 일어났다면,

당신도 젊은 처녀들이 비극적인 연출을 무척이나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았을 거요.」

 

 

1. 줄거리 。。。。。。。       

 

     이 소설에는 따로 줄거리를 말하기보다 그냥 책에 실려 있는 한 대사를 인용하는 것이 더 나을 것 같다. 그 내용은 이렇다.

 

     「왜냐고? 네 생각에는 왜일 것 같아? 낯선 집에 도착해 젊은 아가씨 하나를 만났는데, 그 아가씨가 늙은 간수한테 학대받고 있다고 하소연을 해. 의지할 사람이 아무도 없는 그녀가 그 큰 눈망울로 애원하듯 바라보며 내가 자신의 유일한 친구라고 말해. 순진한 촌 여자인 나는 그야말로 큰 충격에 휩싸이지. 나는 내 목숨을 걸고 그 가엾은 아가씨를 도와주러 와. … (중략) … 그리고 마침내 감금까지 당하는 처지가 되지. 목숨을 위험에 빠트려 가며 탈출한 나는 헤엄을 쳐 달아나지 않고 그녀를 구하기 위해 호랑이 굴로 다시 들어와. 그리고 드디어 그녀에게 그녀의 보호자가 주입시킨 가증스러운 거짓을 폭로하지. 그런데 그 결과가 뭔지 알아? 그 멍청한 여자가 그 빌어먹을 늙은이한테…… (후략)」

 

 

2. 감상평 。。。。。。。                    

 

     아멜리 노통브라는 작가의 냄새가 짙게 묻어 있는 작품이다. 작품의 중후반 오직 대화로만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모습은 『적의 화장법』이나 『시간의 옷』 등에서 익숙한 기법이고, ‘사랑’이라는 주제에 대한 과장된 천착은 다른 자전적 소설들 - 『이토록 아름다운 세 살』, 『공격』 등 -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이다. 또, 철저하게 자기논리로 무장된 완고한 노인이라는 설정은 『살인자의 건강법』에서도 나왔던 것들이고, 저자 자신을 소설에 넣는 시도는 『로베르 인명사전』 등에서 볼 수 있었던 방식이다.(나도 이 작가에 대해선 제법 많이 읽었나보다.)

 

     이렇게 여러 작품들에 등장했던 도구들이 다시 등장하면, 한편으로 지루할 것 같은 예상도 들지만, 아멜리 노통브의 장점은 그 모든 것으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물론 분위기 상의 비슷함은 어쩔 수 없지만) 그리고 그 새로운 이야기는 놀랄 만큼 흡입력이 있어 단숨에 읽어갈 수밖에 없도록 만든다. 빠른 대화 위주의 전개는 스토리를 긴박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이다.

 

     이 작품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고 한다면 역시나 ‘멀티 엔딩’이다. 서로 다른 두 개의 결말이 책 후반부에 붙어 있다. 갑자기 떠오른 두 개의 엔딩을 어떻게 처리할 수 없어서 결국 둘 다 쓰기로 했다는 저자의 고백이 미소를 짓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