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
시게마츠 기요시 지음, 고향옥 옮김 / 양철북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그것이 달콤한 그리움일지 쌉쌀한 그리움일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그리워할 수 있기에 행복할 것이다. ‘졸업’하는 것이라면, 그럴 수 있다.

 

 

1. 줄거리 。。。。。。。                      

 

     서로 독립적인 네 개의 단편소설을 모은 소설집이다.

     학창시절 가깝게 지냈던 친구가 자살을 하고 난 뒤 십 수 년 만에 찾아 온 그의 딸을 만나게 된 남자(졸업), 어머니의 죽음을 얼마 앞두고 오랜만에 만난 여동생과의 대화를 시작한 또 다른 남자(행진곡), 학생들에게 매우 엄한 선생님이었던 아버지의 죽음을 앞두고 역시 교사라는 직업을 갖고 있는 아들의 이야기(아버지의 마지막 수업), 그리고 새어머니에게 닫힌 마음을 가지고 수 십 년을 살아온 아들의 이야기(추신)가 깔끔한 필치로 풀어 나온다.

 


2. 감상평 。。。。。。。                    

 

     타이틀인 ‘졸업’은 이 책 전체의 주제를 한 단어로 요약하고 있다. 서로 다른 네 개의 이야기지만 그 모든 이야기들은 한 가지의 주제로 묶인다. 바로 ‘졸업’이다.

     졸업이란 무엇일까? 졸업은 무엇인가를 ‘끝맺음’, ‘완성’을 가리킨다. 아무리 열심히 공부를 해도 졸업을 하지 못하면 그저 ‘거쳐 간 것’에 불과하다. 졸업과 거쳐 간 것에는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후자는 학력위조의 주요 유형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졸업에는 또한 ‘시작’의 의미도 있다. 한 단계를 잘 마쳤기 때문에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것이다. 졸업하지 못한 사람은 보다 상위의 것으로 넘어갈 수 없다. 언제까지나 ‘미완성’을 안고 있고, 그것은 또 다른 시작의 장애물로 작용한다.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모두 ‘졸업’을 하지 못한 인물들이다. 그들의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 관문에서 그들은 ‘그냥 지나쳐’버렸고, 그것은 오랜 시간이 지난 뒤 그들의 삶에 문제를 일으킨다.(거짓말을 쓰는 작가, 히키코모리가 되어버린 아들, 죽음에 민감한 관심을 가진 제자, 자살을 시도하는 모습 등) 시간이 흘렀지만, 시간 자체가 그들을 치유해주지는 못했다. 그들은 자신들이 졸업하지 못하고 넘어갔던 문제들을 ‘직면’해야 했으며, 그들 자신의 힘으로 그것을 넘어가야만 했다.

 

     한편 주인공들이 그러한 ‘직면’을 하게 된 동기가 ‘죽음’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사실은 키에르케고르 식의 ‘실존에의 직면’을 떠올리지 않더라도, 확실히 죽음이란 사람을 삶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올해 초 오랫동안 입원하셨던 아버지의 모습이, 그리고 그런 아버지를 보는 가족들의 모습이 자연스럽게 오버랩되었다. 두 달에 가까운 중환자실의 생활, 그리고 다시 일반병실에서의 몇 개월 동안. 온 팔과 손에 주사 바늘을 찔러대 더 이상 바늘을 꽂을 혈관을 찾기가 어려워 목과 가슴을 통해 직접 혈관을 빼 내야 했던 시술. 두 차례에 걸친 심장 수술과 그 때문에 망가져 버린 신장. 쇼크 상태에 빠져 새벽에 전화를 받고 택시를 타고 병원에 달려갔던 일. 비쩍 마른 아버지의 발을 붙잡고 기도했던 일. 병원에서 로비 의자에서 잤던 밤들까지. 소설에 나온 주인공들처럼, 죽음에 가까워진 아버지의 모습을 바라보면서 온 가족이 참 많은 생각을 했었다. 어느 철학자의 말처럼, 사람은 죽음과 같은 큰 사건을 경험하고 나서야 자신의 실존을 보게 되나보다.

 

     지금 우리가 확신하는 것이 사실은 오해나 억지일 수도 있다는 것, 또, 삶에는 눈에 보이는 것보다 좀 더 중요한 것이 있다는 것 등, 바쁜 일상 때문에 흘려보낼 수 있는 소중한 것들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삶을 보는 방식에 관해 한 번 더 생각해 보도록 만드는 좋은 책이다. 오랜만에 참 많은 감동을 주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