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영화.


뮤지컬과 영화는 공통적으로 어떤 이야기를 보여주는 극이지만, 상영(혹은 공연)되는 장소라든지 이야기를 그려내는 방식이라든지 하는 많은 부분에서 차이점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이라면 아마도 ‘노래’일 것이다. 영화 속에서 노래는 매우 제한적으로 특정한 분위기를 내기 위해 배우들이 부르거나 한다면, 뮤지컬은 이야기 전개 자체의 중요한 축으로 노래를 사용한다.


또 하나 중요한 차이점은 무대다. 카메라를 자유자재로 움직여서 관객이 배우들 바로 옆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줄 수도 있는 영화와 달리, 뮤지컬은 아무리 잘 설계한다고 해도 관객과 무대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어떻게 할 수가 없다. 그리고 어쩌면 이런 특징 때문에 관객들은 더욱 배우들의 노래에 집중하게 되는 것 같기도 하다. 조금은 과장된 움직임과 노래들은 무대 위에 있을 때 그 진가를 발휘한다.


때문에 이 둘이 합쳐졌을 때, 정확히는 영화 스크린 위에서 뮤지컬이 공연될 때 느끼는 이질감은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그리고 이런 이질감은 단지 어색한 ‘느낌’을 주기만 하는 게 아니라 실제로도 어색함을 준다. 물론 개인적으로는 스크린 위에서 공연되는 뮤지컬을 즐기자는 마음으로 영화관에 앉았지만, 총을 맞고 죽어가면서도 이게 사랑일까를 노래하는 장면에서 피식할 수밖에 없었다.


물론 모든 부분이 어색하기만 한 건 아니었고, 특히 여러 배우들이 등장해서 노래하는 몇몇 장면에서는 웅장함이 느껴지기도 했고, 설희 역의 김고은이 부르는 노래들은 유독 가슴을 움직인다. 그리고 아마 한 곡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안중근 의사의 어머니인 조마리아 역을 맡은 나문희의 노래는 울렸다.





개그와 신파.


개인적으로 뮤지컬 원작을 보지 못해서, 얼마만큼을 영화로 옮겼는지, 어떤 부분이 삭제되거나 추가되었는지는 모르겠다. 기본적으로 뮤지컬에서 했던 것을 대부분 영화로 옮겨놨다는 가정 아래, 꼭 들어갔어야 했나 싶은 부분이 좀 보인다.


대표적으로 안중근과 함께 거사에 참여한 3인방을 사용하는 방식이 거슬린다. 억지 개그와 신파라는, 한국영화 특유의 문제로 지적되는 게 다 등장한다. 제일 어린 유동하는 마진주라는 인물을 만들어 연애를 하도록 만들고, 나머지 인물들은 뭔가 나사가 하나 빠진 것처럼 모자란 캐릭터로 묘사되어 긴장감을 깬다.


만약 이런 장면이 무대 위 뮤지컬에 있었다면 조금은 달랐을까 하는 생각도 살짝 들긴 했다. 사실 공연장에서는 아무리 집중을 한다고 해서 조금은 느슨해지는 지점이 있기 마련인데, 이런 부분에서는 그냥 별 생각 없이 넘길 수 있으니까. 하지만 카메라를 통해 관객을 그 자리에 당겨놓을 수 있는 영화에서는 이게 좀 덜컹거리는 부분이다.





불타는 욱일기.


이야기는 중반까지 두 개의 장소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하나는 안중근과 그의 동료들이 거사를 계획하는 곳이고, 다른 하나는 설희가 이토 히로부미의 여자가 되어 그의 동선을 파악해 독립군에게 알려주는 곳이다.


그 중에서도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아마도 총독부에서 열렸던 연회에서 복수를 다짐하는 설희의 상상 속 노래 부분이었는데, 홀 중앙에 걸린 거대한 욱일기가 불에 타서 재가 되는 장며을 CG로 넣었더랬다. 명성황후를 모시던 궁녀였던 설희가 억울하게 죽은 황후의 복수를 위해 모든 걸 바쳐가며 공작을 하고 있다는 상황과 목 놓아 부르는 노래가 절묘하게 어울린다.


동양평화니, 대동아공영이니 하는 같잖은 구호를 외치며 수많은 사람들을 착취하고 죽음으로 몰아넣었던 깃발이 바로 욱일기였다. 진작 개소리꾼들과 함께 사라졌어야 할 그 깃발이 여전히 반성 없는 일본인들에 의해 휘날리고 있는 상황에서(그리고 그 깃발에 우리나라 군인들더러 경례를 하라고 명령하는 얼빠진 지휘관들이 있는 나라에서), 영화 속에서라도 정의가 실현되는 모습을 보는 게 통쾌했다.


아, 김고은이 은근 노래를 잘 하더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