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즉시공(色卽是空)이라 말들 하지만, 지금 눈앞의 아마릴리스가 보여주는 화려함은 어쩌지 못하겠다.

 



 

 

<참고> 색즉시공: 눈에 보이는 현상은 인연(因緣)에 따라 끊임없이 생겼다가 소멸하는 것이지 실재하는 존재가 아니라는 뜻. ‘공즉시색(空卽是色)’과 짝을 이루며 반야심경(般若心經)에 나오는 말.

 

 https://blog.aladin.co.kr/749266102/108718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실 말이 되지 않았다. 살생을 금하는 낙산사 가까운 곳의 횟집이라니.

하지만 40년 전만 해도 그런 횟집이나 식당이 여럿이었다. 내 기억으로는 오래 전 낙산사 주지스님이 먹고 살아야 하는 가여운 중생을 위해 사찰 가까이에서 식당 차리는 일을 한 번 묵인했더니 벌어진 일이라 했고 그 때문에 언젠가는 한꺼번에 멀리로 집단 이주시킬 계획이라고 했다. 물론 지금은 그런 횟집이나 식당들이 다 정비돼 낙산사 경내는 청정해졌다.

어쨌든.

40년 전 5월 어느 날 밤, 나는 그런 횟집 중 한 집에서 술잔을 기울이고 있었다. 모처럼 퇴근 후 시간을 혼자 낭만적으로 보내고 싶었던 거다. 낙산사에서 범종을 친 듯싶은데 제대로 들리지 않는 것은, 바로 눈앞의 밤바다가 내는 파도 소리 탓이었다. 파도 소리 들으며, 횟집 방바닥에 놓인 그 날 신문을 보며 술잔을 기울이는데 이런 제목의 기사가 눈에 뜨였다.

광주(光州)에 소요사태(騷擾事態)’

소요사태란 여럿이 떠들썩하게 들고일어나 술렁거리고 소란을 피워 공공질서를 어지럽히거나 위협하는 상황이다. 전년도 10월 하순의 박 대통령 시해 사건 후 정국이 안정을 쉬 찾은 것으로 아는데 소요사태라고?

 

그 때만 해도 나는 모든 언론 보도가 철저히 통제받고 있다는 걸 깨닫지 못했다. 하긴 서울에서 먼, 태백산맥 너머 동해안의 한 작은 읍의 선생(모 고등학교 국어교사)이 뭘 알겠는가. 시국(時局)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영서지방의 일 같았다.

 

횟집 주인이 서비스로 멍게 한 접시를 술상에 올리며 말했다.

설악산 산불까지 난리야!”

“?”

어리둥절해서 쳐다보는 내게 그는 이어서 말했다.

어제 난 산불이 여태 살아있다는 게 아니요.”

그제서 나는 방을 나와 마당에 서서 설악산 쪽을 바라보았다. 설악산은 낙산사에서 북쪽으로 40리쯤에 있었다. 과연, 멀리 어둠 속 설악산의 중턱을 휘감고 있는 빨간 실뱀같은 게 보였다. 살아 있는 듯 꿈틀거리는 흉측한 산불. 뭔 일인지 불길이 확 치솟기도 했다. 주인이 말을 덧붙였다.

“625 동란 때 불발탄들이 곳곳에 남아 있으니 어디 쉽게 불을 끄겠소?”

불길이 확 치솟기도 하는 건 그 불발탄이 불에 터지는 때문이었다. 그러고 보면 아련하게 폭발음도 들리는 것 같았다.

순간 나는 이틀째 진화되지 않는다는 설악산 산불의 의미를 깨달았다. 19805월에서 30년 전의 625동란이 여태 끝나지 않은 것이다.

저 남쪽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광주 소요사태 또한 저 산불처럼 쉬 진화되지 않을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뒤를 이었다. 취기가 사라졌다. 그런데 내가 뭘 어떻게 해야 한단 말인가.

딱히 아무 것도 할 게 없었다.

 

시대의 아픔과 거리를 두고 살아온 어느 소시민의 이야기 ‘K의 고개는 그 순간 배태(胚胎)된 게 아니었을까?

사진출처= 국립공원관리공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이상한 기억력이 있다. 지인들의 말을 빌려 표현하자면 별 쓸 데 없는 것을 기억하니 말이다. 이 수필의 내용 또한 내 이상한 기억력 탓이다.)

 

저 먼 라오스에 가 사는 후배 허진이 사진들을 페북에 올렸다. 미얀마의 잔잔한 호수를 배경으로 한 사진들이다. 나는 순간 30여 년 전 허진과 모교(春高)에서 2학년 담임할 때, 소풍날 있었던 장면이 선하게 떠올랐다.

위도로 가는 봄 소풍이었다. 지금은 개발한다고 온통 파헤쳐져 있지만 그 즈음 위도는 학생들을 풀어놓아도 관리하기 좋은 조그만 섬인데다가 식당과 구내매점도 있어서 학교 소풍 장소로는 안성맞춤이었다. 다만 배를 타고 강을 건너가야 하는데 선착장이 비좁아서 부근 차도(車道)에다 학생들을 정렬시켜야 한다는 게 단점이었다. 차도에 학생들을 정렬시킨다니, 요즈음 같아서는 큰일 날 일이지만 당시만 해도 차들이 별로 없던 시절이라 그런지 별 문제 되지 않았다.

수백 명 학생들이 차도에 빽빽이 서 있을 때다. 화천 방향 쪽에서 중후한 승용차 한 대가 나타나더니담담히 지나갔다. 웬만한 운전자 같았으면 차도의 학생들한테 경적을 요란스레 울리든지, 차를 일단 멈춘 뒤 길 좀 비켜 달라!’ 고 말하든지 하고서 운행했을 텐데 그러질 않은 것이다. 그저 차의 속도를 조금 낮추고서 조용히 담담히 지나가던 것이다. 그래도 학생들은 알아서 구약성경(聖經) 속 홍해바다가 갈라지듯 길을 내주었다. 그 때 내 옆의 허진 선생이 혼잣말 했다.

거 좋다!”

일시에 물러서서 찻길을 내준 학생들한테 하는 말이라기보다는, 경적도 울리지 않고 조용히 학생들 사이로 지나가는 승용차 운전자의 운전기술에 대한 경의라고 나는 느꼈다. 왜냐면 허진 선생은 운전에 관한 한 한 수 위인 사람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자동차는커녕 오토바이만 타고 다녀도 대단한 사람처럼 보이던 시절에 그는 이미 70년대부터 오토바이를 타고 다녔던 것이다.

 

라오스에 사는 허진이 미얀마의 잔잔한 호수 사진들을 페북에 올렸다. 그 사진들을 보는 순간 나는, 30여 년 전 그가 학생들 사이로 경적도 울리지 않고 담담히 지나가는 승용차를 보며 선승(禪僧)처럼 혼잣말 하던 게 떠올랐다. 생생하게.

거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현대시들 중에 난해한 시들이 있다. 국어교사를 오래한 내가 아무리 봐도 이해하기 어려운 시라면내가 문제가 있는 게 아니라 그 시를 쓴 시인에게 문제가 있는 게 아닐까.

그렇기에 쉬우면서도 격조(格調)를 잃지 않는 대중가요만 보면 나는 찬사를 아끼지 않는다. 시가(詩歌)라는 말이 있듯이 시와 노래는 한 배()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그런 멋진 대중가요에 슬픈 인연이 있다. 원래 30여 년 전에 나미라는 가수가 불렀는데 워낙 멜로디와 노랫말이 좋으니까 여러 후배 가수들이 경쟁적으로 다시 불렀다. 요즈음 한창 뜨는 요요미까지.

세월이 흘러도 잊히지 않고 꾸준히 불리는, 스테디셀러 같은 이 노래의 노랫말을 찬찬히 살핀다. 크게 3연으로 나눠본다.

 

멀어져 가는

저 뒷모습을 바라보면서

난 아직도 이 순간을

이별이라 하지 않겠네

 

달콤했었지

그 수많았던 추억 속에서

흠뻑 젖은 두 마음을

우린 어떻게 잊을까

 

아 다시 올 거야

너는 외로움을 견딜 수 없어

아 나의 곁으로 다시 돌아올 거야

그러나 그 시절에 너를 또 만나서

사랑할 수 있을까

흐르는 그 세월에 나는 또 얼마나

많은 눈물을 흘리려나

 

내가 감탄하는 첫 번째는 평범함을 깨는 문장 전개다. 노래의 첫 마디를 멀어져가는 저 뒷모습을 바라보면서으로 했다는 사실이다. 연인들의 이별 장면을 감상적(感傷的)이지 않고 담담하게 표현했다는 데 나는 매료된다. 그 흔한 눈물이나 빗물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이별의 슬픔을 선하게 전달하다니! 어디 그뿐인가. 두 번째 연의 시작은 달콤했었지 그 수많았던 추억 속에서라고 도치법(倒置法)까지 사용했다. 원래 어순(語順)그 수많았던 추억 속에서 달콤했었지이다. 이 노래 작사자의 툭툭 던지듯 평범함을 깨는 문장 구사는 마지막 연에서도 빛을 발한다. ‘아 다시 올 거야하며 느닷없이 영탄법을 사용했다.

이 마지막 연에 주제가 집약되어 있다. 한 문장으로 쓴다면 너는 결국 내 곁으로 되돌아오겠지만 정작 그 동안 사랑의 마음이 식어 있을 텐데 어떡하나?’이다. 기가 막히다. 사랑과 세월의 모진 함수관계를 이토록 절묘하게 표현하다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개옻나무가 어느 새 어른 키의 두 배 높이로 자랐다. 그뿐만이 아니다. 옴 트듯 난, 꼭대기의 작은 순이 이제는 크고 긴 잎들이 되었다. 그 모습을 바라보는 나는 어이가 없다. ‘아내가 어떻게 이놈을 못 봤을까?’

 

재작년, 아내가 옷을 단단히 입고서 낫으로 개옻나무들을 베어버렸다. 눈에 보이는 족족 다 베어버렸다. 농막 가까운 곳에 자리 잡는 그놈들을 그냥 내버려둘 수 없다고 하루 날을 잡았던 것이다. 그런데 저놈이 용케도 살아남아 저렇듯 커 버렸으니. 낙락장송처럼 큰 잣나무와 참나무 사이에서 멀쩡히 자란 개옻나무 놈. 어이없어 바라만 보는 내게 놈이 이렇게 말하는 것 같다.

어쩔 거야? 나도 살아야지! 잣나무 참나무만 살란 법이 있는감. 안 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