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TV가 나옵니까?”

내가 사내한테 던진 물음 중 하나다. 워낙 교통도 불편하고 산() 첩첩한 곳이라서 말이다. 사내가 웃으며 답했다.

그럼요. TV는 물론이고 인터넷도 잘됩니다.”

사내 방에 따라 가 보았다. 정말 대형 led 화면이 있었고 그 화면에 영상이 떠 있었다. 순간 나는 깨달았다. 비록 산 첩첩한 곳이지만 남쪽 방향으로는 훤히 트여 있어서 각종 전파가 편히 날아올 수 있다는 것을. 남쪽 방향에 푸른 소양호가 있지 않은가.

검푸른 호수 위로 비둘기들처럼 훨훨 날아오는 전파들 모습이 눈앞에 선하게 그려졌다.

대형 led 화면을 중심으로 책상이 놓여 있었는데 현재 작업 중인 금속공예 재료와, 얼마 전 내가 보내 준 창작집 두 권까지 나란히 놓여 있었다사내가 작업에 임할 때마다 즐겨듣는지 첼로 곡리스트도 led 화면 한쪽에 있었다.

하긴 금속 공예 작업은, 잠시 쉴 때마다 잔잔한 첼로 곡이 흘러나와야 할 것 같았다. 금속을 다루는 일은 분명 고막을 얼얼하게 만드는 소란스런 작업일 것이므로.

 

사내의 아내가 텃밭에서 딴 딸기와, 공들여 만든 오미자차를 우리 내외한테 대접하였다. 가게에서 사 먹는 비닐하우스 생산 딸기가 아닌 노지(露地)에서 햇빛을 온전히 받은 딸기라 그 맛이 아주 달달했다.


 

...................................................................................

무심의 지인(知人) 봉명산인이 나서서 ‘산막골과 삼막골’ 지명 논란에 쐐기를 박는 귀한 댓글을 달아 올렸다. 결론은 ‘산막골이라 하는 게 옳으나 삼막골로 써도 그리 틀린 게 아니다’였다.
봉명산인.
나는 봉명산인만큼 인문사회 분야에 해박한 사람을 보지 못했다. 그와의 인연은 1977년 겨울 어느 날 동해안의 어느 소읍에서 시작된다. 나중에 별도로 수필을 써서 봉명산인 그를 소개할 것이다.
‘삼막골 과 산막골’지명 논란에 대한 그의 댓글을 소개한다.
『 옛 춘성군.춘천시 공편 '춘천지(1984년 간)'와 이를 모본으로 춘천문화원이 1995년 펴낸 '춘천의 지명유래'에는 2,500여 개의 옛 소지명과 그 유래가 간략 서술돼 있음. *그 중에 '삼막골' 지명은 동산면과 사북면에 각 1개씩 나오고, '산막골'은 북산면에 한곳 있음. *'삼막골'은 옛날 산삼을 캐러 다니던 사람들(심마니)이 산중에 막을 치고 모여 살았다고 해서 붙여진 일종의 고유명사임. 전국에 이런 동일유래-동일지명 여럿. *'산막골'은 산골짜기에 막을 치고 사는 사람들이 있는 곳을 통칭해서 붙는 일반명사형 지명임. 그런데, 깊은 골짜기에 움막치고 머무는 사람이 심마니 아니면 약초꾼밖에 더 있겠는가? 해서 흔히 '산막골'='삼막골'..같은 의미로 고유명사화 지명 혼용함. 지도 찾기에 삼막골로 표기되는 연유임. *따라서 위 삼막골이 북산면 소재라면 본래 지명으론 '산막골'이 맞으며, 삼막골도 꼭 틀린 말은 아님. *우안 선생이 소양댐 물길건너 동네에 살며 그림 그리는 걸로 아는 바 (옛날 그 자제를 풍물지도. '소나무 화가'에 걸맞게 자제 이름에도 '솔' 있음. 부인께서 뒷바라지 고생 많으셨는데 좀 나아지셨는지 궁금), 무심 내외분이 방문하신 삼막골이 그 분의 우안과 인연으로 보나 험한 산세지형으로 보나 북산면 그 '산막골'로 추론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NS의 힘은 놀라웠다. 사내(정재식 씨)와 나는 얼굴 마주보기는 처음이지만 이미 아는 사이였다.

웃으며 반가운 인사를 나누었다.

웬만하면, 몰고 간 내 차를 길가에 두고 싶었지만 워낙 길이 좁아 그럴 수 없었다. 사내가 자기 집 마당 초입에 주차하기를 권했다. 대문 없이 그대로 길에 이어진 마당 초입에 이미 사내의 차가 주차해 있어, 우리 차까지 주차시키는 일은 만만치 않은 일이었다. 여태 비좁고 꾸불꾸불한 길을 겨우 지나왔는데 목적지에 도착해서도 비좁은 곳에 주차시켜 놓아야 한다는 사실. 오지 마을에 왔다는 실감 속에 간신히 주차에 성공했다.

  

사내 집 아래로 폐교 지붕이 보였다. ‘폐교라 단정한 건 녹슨 채로 있는 긴 함석지붕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내 내외가 머무는 거처는 폐교의 관사일 듯싶었다. 관사 마당 끄트머리에 웬 원두막이 있었다. 다가가 봤더니 원두막 기둥에 이런 한자 목판이 걸려있었다.

仙雲停

원두막이 아니라 정자였다. 비록 모양은 참외 원두막 같았지만 앞이 훤히 트이고 바람 맞는 위치에 자리 잡아서 정자라 할 만 했다. 사내가 말했다.

 

 

우안 최영식 화백이 여기를 소개해 줘서, 저희가 들어와 살게 됐습니다. 저 정자도 우안이 지은 겁니다.”

우안, 그는 한국화를 그리는 분이다. 아직 만나보지 못했지만 나는 그를 알고 있다. 어느 책에서 그가 쓴 글을 읽었는데 의외로 잘 쓴 글이었다. ‘의외라는 것은 전공이 그림인데도 불구하고 글을 잘 썼기 때문이다.

우안을 어느 장소에서 우연히 본 적 있는데 왜 호를 우안(牛眼)이라 했는지 알 것 같았다. 소의 눈처럼 눈이 컸다.

 

사내 집 마당에는 흰 개도 있었다. 우리 내외가 처음 보는 낯선 사람들임에도 한 번도 짖지 않고 어슬렁거리던 모습이라니. 개만 봐도 사내 내외가 사는 곳이 어떤 곳인지 잘 알 수 있었다. 평생 도둑이나 강도 같은 나쁜 놈들이 침입할 일 없는, 무사태평의 청정 공간이었다.

 

 

긴 그 좁고 꼬불꼬불한 벼랑 위 찻길로 차를 몰고 오다보면, 나쁜 짓 할 처음의 생각마저 다 잊고 그저 안전운전에만 몰두하다가사람이 순화될 것 같다.

 

 

.......................................................................................

갈대그림의 김춘배 화백이 SNS삼막골이 아니라 산막골이라고 해야 옳다는 의견을 보내주었다. 하지만 사내가 문자로 보내온 주소에삼막골로 돼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리 표기된 지도도 있어 일단 삼막골지명을 그대로 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때, 수백 명 어린이들이 운동장에서 뛰고 놀았다. 전체 조회시간에는 줄맞춰 섰고 운동회 날에는 청군 백군으로 나뉘어 산하가 흔들리도록 함성을 질렀다.

그런데

이제 운동장에는 햇빛만 가득하다. () 교무실에서 나와 중앙현관문을 활짝 열고 운동장을 보며 외친다.

어린이들아 모여라!”

 

 

*춘천시 동면 상걸리에는 ‘느랏재 서당’ 있다. 폐교된 ‘명성초등학교’ 자리다.
서당의 훈장님(서예가 백암 김집중 선생)은, 맹자 주역 시경 등 어려운 고전을 알기 쉽게 잘 가르치는 분으로 소문나있다. 천자문과 서예도 가르친다. 훈장님 아내 김선애 씨는 다도(茶道), 캐리커처, 민속놀이 등을 맡아 인성교육도 겸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찔레꽃 님은, 무심이 SNS 활동을 시작하면서 알게 된 분이다. 항상 알찬 글을 정성스레 써서 올리는 그의 모습에 무심은 처음부터 호감을 느꼈다. 교직에서 한문을 가르치는 분으로 직감했는데 이번에 내신 책길에서 만난 한자을 보니 과연 그런 분이었다.

책 표지 뒷면에 찔레꽃 님의 모습 사진이 있었다. 역시, 그 동안 SNS 상으로 느낀 그대로 여기저기, 한자들을 찾아다니느라 바쁜모습이었다. 앞으로 무심이 책을 낼 때는 이런 찔레꽃 님의 사진 모습을 많이 참고해야 할 듯싶다.

 

 

찔레꽃 님의 성실한 작업은, 우리가 한자문화권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는 데에 의미가 크다. 한자를 외면한다면, 우리는 살아온 역사·문화 대부분을 잃어버린다.

 

https://blog.aladin.co.kr/723219143/10811060

  무심은 찔레꽃 님이 책을 내신다면 반드시 한 권 사야지결심했었다. 그런데 그 결심을 깜빡 잊고 님한테 길에서 만난 한자책을 받고 말았다. 님이 새 책을 냈다는 소식에 자신도 모르게 흥분했던 탓 같다.

​  어쩌면 장편소설을 집필하느라 마음의 경황이 없었던 때문인 듯도 싶다.

 

 

   한문 선생님의 교실 밖 한문수업이라는 부제를 단 길에서 만난 한자.

찔레꽃 님의 본명을 알았다. 책 표지에 있었다. ‘김동돈

김동돈 님의 책을 곁에 두고 틈나는 대로 다 읽은 뒤 독후감을 블로그에 올릴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티베트 원주민이 쓰는 모자를 즐겨 쓰는 사내. 흔치 않은, 쇠붙이 갖고서 작품을 만드는 사내. 그뿐 아니다. 뒤늦게 안 사실인데 누구나 부러워하는 명문대학교 국어국문과 출신이었다.

 

 

서울 강남의 어느 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고 있을 법한데 현재삼막골이란 산골마을에서 쇠붙이와 씨름하며 살고 있다니 내 호기심은 더 이상 가만있기 어려워졌다. 그 이전에 SNS로 간간이 대화를 주고받았던 데다가 내 작품집 'K의 고개''숨죽이는 갈대밭'을 선사하였으므로 전화 한 번 걸어도 실례가 될 것 같지는 않은 터.

 

 

안녕하십니까? 저는 하는데 사내는 이미 나를 알고 있었다. 그 목소리가 이미 지인을 대하듯 반가움이 묻어났다.

사내의 거처를 방문하고 싶다는 내 제의는 쉽게 이뤄졌다. 심지어 사내는 이런 말까지 덧붙였다.

먼 길 마다하고 찾아오신다니 저야 고맙죠 뭐.”

 

 

아내를 차에 태우고 출발할 때만 해도 나는 사내가 사는 삼막골로 가는 길이 그리도 험한지 몰랐다. 구절양장은 기본이고 맞은편에서 다른 차가 올까 겁나는 비좁은 벼랑 도로라니. 간신히 한 시간 남짓 걸려 사내의 거처에 도달했다.

 

 

(같은 춘천에 이렇게, 차로 한 시간 남짓 걸려 닿는 데가 어디 또 있을까?) 가는 도중에 오리무중의 갈림길에서 어느 쪽 길을 가야 하느냐?’고 전화를 한 번 해서 그런지 사내는 자기 집 밖에서 우리를 기다리고 있었다. 사실 기다리고 말고도 없었다. 집이 길가에 있어서 집 밖으로 나서면 길이었으니까.

  

 

 

*이상은 지난 529일에 쓴 것이다. 우선은 여기까지 쓰고 기회가 되는 대로 더 써서 올릴 것이다.*

 

 

..........................................................................................................................

 

 

 무심의 지인(知人) 봉명산인이 나서서 ‘산막골과 삼막골’ 지명 논란에 쐐기를 박는 귀한 댓글을 달아 올렸다. 결론은 ‘산막골이라 하는 게 옳으나 삼막골로 써도 그리 틀린 게 아니다’였다.
봉명산인.
나는 봉명산인만큼 인문사회 분야에 해박한 사람을 보지 못했다. 그와의 인연은 1977년 겨울 어느 날 동해안의 어느 소읍에서 시작된다. 나중에 별도로 수필을 써서 봉명산인 그를 소개할 것이다.
‘삼막골 과 산막골’지명 논란에 대한 그의 댓글을 소개한다.
『 옛 춘성군.춘천시 공편 '춘천지(1984년 간)'와 이를 모본으로 춘천문화원이 1995년 펴낸 '춘천의 지명유래'에는 2,500여 개의 옛 소지명과 그 유래가 간략 서술돼 있음. *그 중에 '삼막골' 지명은 동산면과 사북면에 각 1개씩 나오고, '산막골'은 북산면에 한곳 있음. *'삼막골'은 옛날 산삼을 캐러 다니던 사람들(심마니)이 산중에 막을 치고 모여 살았다고 해서 붙여진 일종의 고유명사임. 전국에 이런 동일유래-동일지명 여럿. *'산막골'은 산골짜기에 막을 치고 사는 사람들이 있는 곳을 통칭해서 붙는 일반명사형 지명임. 그런데, 깊은 골짜기에 움막치고 머무는 사람이 심마니 아니면 약초꾼밖에 더 있겠는가? 해서 흔히 '산막골'='삼막골'..같은 의미로 고유명사화 지명 혼용함. 지도 찾기에 삼막골로 표기되는 연유임. *따라서 위 삼막골이 북산면 소재라면 본래 지명으론 '산막골'이 맞으며, 삼막골도 꼭 틀린 말은 아님. *우안 선생이 소양댐 물길건너 동네에 살며 그림 그리는 걸로 아는 바 (옛날 그 자제를 풍물지도. '소나무 화가'에 걸맞게 자제 이름에도 '솔' 있음. 부인께서 뒷바라지 고생 많으셨는데 좀 나아지셨는지 궁금), 무심 내외분이 방문하신 삼막골이 그 분의 우안과 인연으로 보나 험한 산세지형으로 보나 북산면 그 '산막골'로 추론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