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TV가 나옵니까?”

내가 사내한테 던진 물음 중 하나다. 워낙 교통도 불편하고 산() 첩첩한 곳이라서 말이다. 사내가 웃으며 답했다.

그럼요. TV는 물론이고 인터넷도 잘됩니다.”

사내 방에 따라 가 보았다. 정말 대형 led 화면이 있었고 그 화면에 영상이 떠 있었다. 순간 나는 깨달았다. 비록 산 첩첩한 곳이지만 남쪽 방향으로는 훤히 트여 있어서 각종 전파가 편히 날아올 수 있다는 것을. 남쪽 방향에 푸른 소양호가 있지 않은가.

검푸른 호수 위로 비둘기들처럼 훨훨 날아오는 전파들 모습이 눈앞에 선하게 그려졌다.

대형 led 화면을 중심으로 책상이 놓여 있었는데 현재 작업 중인 금속공예 재료와, 얼마 전 내가 보내 준 창작집 두 권까지 나란히 놓여 있었다사내가 작업에 임할 때마다 즐겨듣는지 첼로 곡리스트도 led 화면 한쪽에 있었다.

하긴 금속 공예 작업은, 잠시 쉴 때마다 잔잔한 첼로 곡이 흘러나와야 할 것 같았다. 금속을 다루는 일은 분명 고막을 얼얼하게 만드는 소란스런 작업일 것이므로.

 

사내의 아내가 텃밭에서 딴 딸기와, 공들여 만든 오미자차를 우리 내외한테 대접하였다. 가게에서 사 먹는 비닐하우스 생산 딸기가 아닌 노지(露地)에서 햇빛을 온전히 받은 딸기라 그 맛이 아주 달달했다.


 

...................................................................................

무심의 지인(知人) 봉명산인이 나서서 ‘산막골과 삼막골’ 지명 논란에 쐐기를 박는 귀한 댓글을 달아 올렸다. 결론은 ‘산막골이라 하는 게 옳으나 삼막골로 써도 그리 틀린 게 아니다’였다.
봉명산인.
나는 봉명산인만큼 인문사회 분야에 해박한 사람을 보지 못했다. 그와의 인연은 1977년 겨울 어느 날 동해안의 어느 소읍에서 시작된다. 나중에 별도로 수필을 써서 봉명산인 그를 소개할 것이다.
‘삼막골 과 산막골’지명 논란에 대한 그의 댓글을 소개한다.
『 옛 춘성군.춘천시 공편 '춘천지(1984년 간)'와 이를 모본으로 춘천문화원이 1995년 펴낸 '춘천의 지명유래'에는 2,500여 개의 옛 소지명과 그 유래가 간략 서술돼 있음. *그 중에 '삼막골' 지명은 동산면과 사북면에 각 1개씩 나오고, '산막골'은 북산면에 한곳 있음. *'삼막골'은 옛날 산삼을 캐러 다니던 사람들(심마니)이 산중에 막을 치고 모여 살았다고 해서 붙여진 일종의 고유명사임. 전국에 이런 동일유래-동일지명 여럿. *'산막골'은 산골짜기에 막을 치고 사는 사람들이 있는 곳을 통칭해서 붙는 일반명사형 지명임. 그런데, 깊은 골짜기에 움막치고 머무는 사람이 심마니 아니면 약초꾼밖에 더 있겠는가? 해서 흔히 '산막골'='삼막골'..같은 의미로 고유명사화 지명 혼용함. 지도 찾기에 삼막골로 표기되는 연유임. *따라서 위 삼막골이 북산면 소재라면 본래 지명으론 '산막골'이 맞으며, 삼막골도 꼭 틀린 말은 아님. *우안 선생이 소양댐 물길건너 동네에 살며 그림 그리는 걸로 아는 바 (옛날 그 자제를 풍물지도. '소나무 화가'에 걸맞게 자제 이름에도 '솔' 있음. 부인께서 뒷바라지 고생 많으셨는데 좀 나아지셨는지 궁금), 무심 내외분이 방문하신 삼막골이 그 분의 우안과 인연으로 보나 험한 산세지형으로 보나 북산면 그 '산막골'로 추론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