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붉은 인간의 최후 - 세컨드핸드 타임, 돈이 세계를 지배했을 때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지음, 김하은 옮김 / 이야기장수 / 2024년 5월
평점 :
내가 어릴 적 음악 교과서엔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란 노래가 있었다. 노래를 배우며 그래도 막연히 내가 어른이 되면 통일 정도는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했었다. 되지 않을 것이란 생각은 거의 하지 않았고 내가 상당히 나이가 든 지금까지도 여전히 분단이 유지될 것이라고는 전혀 예상하지 않았다. 이러다 곧 분단 100년을 맞이할지도 모를 일이다.
이처럼 한국의 분단은 더둑 고착화되는 느낌이다. 통일이 될 것만 같던 시기도 있었다. 70년대의 남북 기본 합의서 작성 때가 그랬고, 90년대에 동구권이 붕괴했을때는 가장 기대감이 컸으며, 김일성이 사망하고 북이 큰 경제위기를 겪었을 때, 그리고 김대중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했을 때, 노무현도 방문했을 때, 문재인의 중재하에 김정은과 트럼프가 만났을 때도 그러했다. 하지만 현실은 분단의 고착화다. 이미 북은 남한을 대한민국이라고 부를 만큼 거리감을 두고 있다.
하지만 그래도 언젠가 통일이 된다면 아무래도 정치는 민주주의, 경제는 자본주의 체제를 띠게 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고 그렇다면 오래도록 독재와 사회주의 체제에서 살아온 북한 사람들이 정체성에 큰 혼란을 띠게 되지 않을까란 생각을 한 적이 있다. 물론 일부 새터민들이 그런 단면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지만 수도 적고 탈북을 할 만큼 체제에 불만이 많았던 만큼 일반화하기 어려운 면도 있다. 그렇기에 먼 훗날 북한이 남한과 통일한다면 그 때의 북한 사람들은 사실상 마지막 '붉은 인간'이 될 것이다.
책 '붉은 인간'은 대충 구 소련이 붕괴하고 러시아에 자본주의가 태동한 2000년대 정도에 러시아인들은 인터뷰한 것을 엮은 책이다. 자료가 방대한 만큼 책의 두께도 상당하다. 모두가 인터뷰를 거의 그대로 실은 형태가 저자의 생각이나 말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사람들의 반응은 사람 수 만큼 다양하지만 동일한 국가에서 동일한 사건을 겪으며 살아온 만큼 몇몇 공통지점을 찾을 수 있었다.
우선 소련에 대한 강한 향수다. 소련에 대한 거부감을 보인 사람들도 있었지만 많은 인터뷰가 과거나치 독일의 침략을 물리치고 경제난 속에서도 미국과 패권전쟁을 벌였으며 광대한 영토를 자랑하고 사회주의 이상을 추구했던 소련에 대한 그리움이 묻어났다. 사실 이 제국이 소련 사람들에게 준 것은 고통 뿐이다. 2차 대전은 1천만 이상의 사망자를 만들었고, 스탈린의 독재는 수많은 사람들을 숙청으로 몰아갔으며, 미국과의 대결은 핵과 인공위성을 만들었음에도 이렇다할 생필품하나 만들지 못하는 나라를 만들었다. 하지만 이런 고통은 역설적으로 그것음 감내하면서도 유지하고 번성시킨 제국에 대한 애착을 만든 느낌이다.
대부분의 인터뷰는 고르바초프에 대한 강한 반감을 드러냈다. 고르바초프는 소련이 무너지고 소련이 러시아로 변모하며 지금의 자본주의 국가와 민주주의 체제로의 이행을 실행한 인물이다. 다수의 사람들이 소련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있었고, 2000년대 초반의 러시아가 경제, 정치적 위기를 겪고 있었기에 그러한 상황을 초래한 고르바초프에 대해 불만이 많았다. 또한 그가 지나치게 많은 영토와 핵을 해체한 것에 대한 불만도 컸다.
자본주의에 대한 불만도 많았다. 초기에 러시아 사람들은 자본주의가 들어서며 기대감도 컸던 것 같다. 맥도날드가 생기고 첨단 서구의 전자제품과 다양한 필수품은 눈이 돌아갈 만한 것들이다. 하지만 러시아의 경제위기로 인해 화폐가치가 폭락하며 그런 대다수의 제품은 그야말로 그림의 떡이 되어버렸다. 오히려 과거의 화폐로 살 수 있었던 구 소련의 형편없는 제품을 그리워 할 지경이다. 또한 갑작스런 자본주의로의 이행은 당시 군에 있었던 사람이나 정치에 인맥이 있던 사람들 주요 에너지 시설에서 일하는 사람들 중 눈치 빠른 사람들에게 과도한 이익과 경제적 권력을 몰아주게 되었는데 그에 따른 소외감이 가장 큰 것으로 보였다. 이들을 긍정하는 인터뷰는 전혀 없었고 욕하지 않는 사람은 없었다.
또한 자본주의로의 이행으로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타락하는 것을 비방하는 부분도 적지 않았다. 구소련에서는 이렇다할 유흥거리가 없어 사람들은 책과 극장에만 집중했다. 하지만 돈으로 갖가지 유흥거리와 소비거리가 들어오며 문화적으로 일차적인 것만을 추구하는 타락에 대한 비방이 많았다.
독재자들에 대한 애착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스탈린은 2차대전에서의 초기 형편없는 대응 및 군사적 실패, 승전 후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하는 과정에서 대규모 숙청을 벌인 인물이다. 그럼에도 그는 성공적으로 2차대전을 승리로 이끌었고, 강력한 소비에트 국가를 완성시킨 인물론 평가받는 분위기 였다. 스탈린의 가혹함을 말하는 이는 거의 없었고 그리워하거나 칭송하는 경우가 많았다.
러시아의 대규모 숙청은 소위 말하는 할당제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남을 고발하거나 과도한 감시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을 수용소로 몰아넣었다. 때문에 소련에서는 과거 서로 동료였음에도 서로 고발을 했거나, 이후 복권되어 돌아와 같이 구소련의 비슷한 직장에서 피해자와 가해자가 같이 공존하며 일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런 복잡함이 소련이라는 이름으로 합리화되었다. 구소련이 붕괴하면서 동구권인 민족 전쟁의 장으로 변화하여 체첸이나 아제르바이잔, 동유럽에서 민족 청소가 일어났다. 사람들은 이런 잔상을 보며 소련이라는 울타리에서 잘 지냈던 과거를 그리워했고 어제까지만 해도 이웃이었던 사람들의 변화에 경악했다.
다수가 소련을 옹호했지만 그 체제를 강하게 비판한 사람도 있었다. 전쟁에 끌려가 처참한 상황에 맞이한 것, 수용소에 억울하게 끌려가 비인간적인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 경제적으로 비참한 상황에 놓이게 되는 것에 대한 통렬한 비판을 하는 사람도 소수 있었다. 사실 대다수가 그러해야 하는데 그러지 않았음은 언급한 것처럼 소련이라는 국가가 그것을 감내할 만한 것이었다는 집단적 생각에 갇혀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책은 무척 길기에 읽기가 쉽지 않다. 몹시 공감이 가는 부분도 잘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같이 공존했다. 지금의 한국에는 큰 의미가 없지만 언젠가 통일 한국에서 북한 사람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부분이 많은 책이란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