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하겠습니다
이나가키 에미코 지음, 김미형 옮김 / 엘리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는 대기업에서 근무하다가 50세에 회사를 그만둔 독신 여성이다. 30대 후반부터 회사는 평생직장이 아니고, 50세에 회사를 스스로 그만두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준비를 한다. 
마약 같은 월급을 받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며, 누군가와 끊임없이 경쟁하며 힘들게 살다가 지칠 때쯤에 은퇴나 해고 통보를 받기보다는 회사를 스스로 나가서 자립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뭐, 이 정도는 다들 아는 내용일 수 있는데, 저자가 준비하는 방법이 신선했다. 
좋아하는 일을 찾아라. 끊임없이 배워라. 등 많은 조언들이 있지만, 저자가 말하는 조언은 '돈이 없어도 행복한 라이프 스타일의 확립'이다. 월급을 받을 때마다 쇼핑을 하며 집에 쌓아두던 물건에 대한 욕심을 버리고, 최소한의 돈으로 인생을 행복하게 살 수 있다고 역설한다. 저자는 독신이기 때문에 극단적인 방법도 선택하는데, 전기세 반으로 줄이고, 외식을 자제하고, 농수산물 직거래 장소를 찾아다닌다. 
가족에게 이렇게 하자고 한 번 이야기해보자. 당장 어떻게 된 거 아니냐고 핀잔을 들을 것이 뻔하다. 하지만, 각자 상황에 맞게 물건에 집착하는 물욕의 생활을 떠나야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회사를 그만둘 때 가장 걱정되는 것 중의 하나가 회사에서 받는 각종 보장을 잃어버리는 것이다. 건강보험, 개인연금, 각종 복리후생, 건강 검진 등. 회사를 그만두면, 스스로 모든 사항을 신고하고, 처리해야 한다. 부동산 중개소에서 집을 구할 때나 신용 카드 만들 때도 회사를 안 다니면, 많이 불편하다. 

저자는 국가가 회사를 그만둔 퇴직자를 위한 정책을 만들기보다는 어떻게 하든 회사를 다니도록 만드는 정책을 먼저 우선시한다고 한다. 회사에 의해서 돌아가는 사회가 바로 회사 사회이다. 정부, 회사, 은행이 서로 협력해서 사람들에게 더 많은 빚을 내도록 해서 경제를 성장시키는 구조인 사회이다.   
회사 사회에서는 이익을 창출해야 하는 회사가 물건이 안 팔리면, 일하는 사람을 싸게 쓰고 버리거나 고객을 속여야 한다. 다시 말해, 회사가 살아남으려고 애쓰면 애쓸수록 불행해지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이런 회사 사회를 벗어나 인간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자립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돈은 벌어야 하지만, 경비와 수입의 균형을 맞추고, 절제와 절약을 하며, 싫은 사람과 억지로 사귀지 말고, 이웃과 교류하면서 사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저자가 말하는 인간 사회는 참으로 쉽게 만들어질 사회가 아니다. 하지만, 고민해 볼 가치는 있다고 생각한다. 

저자가 정의하는 일은 다음과 같다. 이 정도의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어찌 보면 많은 고민의 결과가 아닐까 한다. 

'일이란 궁극적으로 말하자면, 회사에 들어가는 것도 돈을 버는 것도 아닐 것입니다.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고,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것. 다시 말해 다른 사람을 위해 무언가를 하는 것. 그것은 놀이와는 다릅니다.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기 위해 반드시 진지해져야 합니다. 그렇기에 일은 재미있습니다.'

회사를 다니면서 회사가 힘들다고 나갈 궁리만 하는 것은 좋지 않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저자의 마지막 충고를 가슴속에 새겨 둘 필요가 있다. 

'회사는 나를 만들어가는 곳이지, 내가 의존해 가는 곳이 아닙니다. 그걸 알게 되면 회사만큼 멋진 곳도 없습니다. 그리고, 수행이 끝났을 때 당신은 언제고 회사를 그만둘 수 있습니다. 다만 언젠가 회사를 졸업할 수 있는 자기를 만들 것. 그것만큼은 정말 중요한 게 아닐까요.'


2017.10.08 Ex Libris HJ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