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그네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쿠다 히데오님의 소설을 처음 읽었다. 일본 소설의 특징일까? 일본 소설에서 주인공이 주변 사람들을 치유하는 내용을 에피소드로 묶어서 소개하는 구성을 볼 수 있는데, 내가 읽은 책 중에 <비블리아의 고서당 서점>, <팽권 철도 분실물 센터>도 비슷한 구성을 따른다. 
직접적으로 해결책을 제기하지 않고,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가끔 무심한 듯한 주인공이 등장하고, 평범하지 않은 주인공의 외모, 환경 등을 기반으로 전개되며, 잔잔한 생활의 단면을 배경으로 따뜻한 결론으로 끝맺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비블리아의 고서당 서점>에 등장하는 미모의 고서점 여주인과 직원, <팽귄 철도 분실물 센터>에 등장하는 분실물 센터 직원과 펭귄, 그리고, <공중그네>에 등장하는 뚱뚱하고, 염치없는 신경정신과 의사와 육감적인 간호사는 분명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없는 대상이다.

이 책의 주인공 이라부 이치로는 종합병원 원장 아들이면서 신경정신과 의사로 각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환자들을 치유한다. 치유 방법이 독특한데, 일단 환자가 하는 일에 많은 관심을 가지며, 무심한 듯한 태도로 일관하면서 치료를 하면서도 결국, 환자들의 마음을 움직인다. 결국, 신경정신이 마음의 문제이니 마음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치료의 핵심인 거 같다. 
이라부는 환자들의 생활에 직접 개입하기도 하는데, 진취적이고, 호기심도 많고, 자신이 직접 부딪혀 보는 것을 좋아한다. 조폭과 함께 미팅에 참석하기도 하고, 공중그네를 배워서 서커스단에서 관중 앞에서 직접 해보고, 공공시설물에 낙서도 하고, 환자에게 야구를 배우고, 심지어 소설가가 되기 위해 책을 써서 출판사로 찾아가기도 한다. 그런데, 이렇게 적극적이고, 활동적인데, 왜 뚱뚱할까? 뚱뚱하면, 게을려야 한다는 내 선입견이 문제일지도 모르겠다.

어떻게 보면, 상당히 부럽다. 
'난 안되겠지. 시간이 없어. 남들이 보면 뭐라고 하겠어.' 우리는 항상 이렇게 생각하면서 많은 것을 시도조차 안 하지 않나.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종합병원 원장의 아들로 병원에서 쫓겨날 염려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저렇게 살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경제적 능력이 뒷받쳐 주어야 한다는 말이다. 
경제적 능력이 있으면, 향정신성, 도박, 불륜 등으로 어긋하는 사람들에 비하면 좋은 모습이기는 하다.

이 책에서는 신경정신학에서 다루는 여러 증상들이 나온다. 
뽀족한 것을 못 참는 '선단공포증', 항상 뭔가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블랭킷 증후군', 일탈의 행위를 억누르고 있는 '강박증', 자기가 생각하는 바가 몸에 전해지지 않고, 의지에 반하는 '입스', 감정들을 쌓아 놓고 있는 '강박증' 등이 등장한다.
그런데, 환자들이 하나같이 나름 성공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조폭 중간 보스, 서커스단 퍼스트, 대학병원 학부장을 장인으로 두고 있는 대학 강사, 올스타전에 매년 나가는 부동의 3루수, 베스트셀러 작가이다.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인 안정을 가지고 있어도 신경정신 문제는 피할 수 없는가 보다. 어찌 보면, 이루어 놓은 것을 지키기 위한 지속적인 강박 관념이 문제를 만드는 것이 아닐까 한다. 가진 것이 없으면, 걱정도 없다는 역설적인 주장이 생각이 난다.
이라부는 원인과 규명이 신경의학의 기본이라고 한다. 먼저 나 자신을 객관적으로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일종의 명상이기도 한데, 내 마음이다 보니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상담을 하러 간다. 자신을 속이 지 않고, 투명하게 드러내는 것이 좋다. 이라부는 주사 성애자이기도 한데, 주사에는 항상 비타민이 들어 있다고 한다. 마음의 병이면, 마음을 다스려야지. 약물로 치료할 수 없는 거 아닌가. 이라부의 진단과 치료 방법이 마음이 드는 이유이다.

하루 만에 읽었다. 내용이 어렵지 않고, 이라부의 특이하면서 환자를 생각하는 치료 방식이 재미있어서 단숨에 읽었다. 오쿠다 히데오의 <남쪽으로 튀어>도 이번 연휴 시간에 읽을 생각이다. 
<공중그네>는 그리 길지 않은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든 소설이었다.


2017.10.06 Ex Libris HJ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