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철도 분실물센터 펭귄철도 분실물센터
나토리 사와코 지음, 이윤희 옮김 / 현대문학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확실하지 않지만, 내가 읽은 일본 소설들의 공통점이 있다. 

어느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이 주제와 관련된 몇 개의 에피소드를 독자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마지막에 전반에 걸쳐서 등장하는 메인 인물 위주로 독자의 궁금증을 풀어준다.
이 책도 3개의 에피소드를 하나씩 들려주고,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왜 펭귄이 분실물센터에 있는지, 역무원이 어떻게 대형 냉장고까지 설치하며 펭귄을 키우고 있는지를 설명한다. 

이 책의 표지는 참 마음에 든다. 펭귄만큼이나 귀엽다고 할까? 솔직히 3번째 에피소드까지 읽었을 때 왜 펭귄이 등장하는지 이해를 못했고, 저자가 하나의 도구로 펭귄을 이용해 독자의 시선을 끌고 싶었을 뿐이라고 단정까지 했다. 어느 책은 후반으로 갈수록 실망하지만, 이 책은 4번째 에피소드가 가장 재미있었고, 다 읽고 나서 비로소 오해가 풀렸다. 그러므로, 끝까지 읽어보기를 권한다. 

솔직히 분실물 센터의 '모리야스 소헤이'의 참견은 이해가 안간다. 저번에도 이야기했지만, 역시 소설 속 주인공은 평범하지 않다. 각 에피소드마다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해 노력하는 역무원의 모습은 쉽게 상상이 안간다. 돕기 위해 배를 직접 운전하고, 같이 목욕도 하고, 산책도 하고, 심지어 병간호도 한다. 

지나간 과거에 얽매여 있던 '사소 교코', 등교 거부형 은둔자 '후쿠모리 겐', 주체적인 삶을 살지 못하고 의욕을 잃고, 남편에게 의존하는 삶을 살면서 거짓말 하는 '다이라 지에', 이들은 우연히 자신들의 물건을 분실하면서 분실물 센터를 찾게 되고, 그로 인해 결과적으로 세상과 자신을 마주할 용기를 얻고,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하는 의지를 갖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앞서 말한대로 역무원인 '모리야스 소헤이'의 도움이 컸다.
4번째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후지사키 준페이'는 양성 종양으로 인해 기억상실 증상을 겪고 있는 고집센 노인인데, '모리야스 소헤이'와 함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인물이다. 엄청난 반전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스포일러로 생각되어 더 이상 쓰지는 않겠다.

가끔 내가 지금 있는 곳이 내가 있어야 할 곳인가 고민한다. 더 좋은 곳이 있지 않을까? 너무 빨리 정착한 것은 아닐까? 너무 늦은 것은 아닌지 조바심이 날 때도 있다. 나도 정답은 모른다. 다만, 현재 내가 지금 있는 곳에서 최선을 다하면, 그곳도 그리 나쁘지만은 아니지 않을까? 


내가 지금 있는 곳이 내가 있을 자리라 생각하는게 마음이 홀가분하고, 마음으로 이어진 누군가를 소중히 여길 수 있게 되면 그 순간부터 혼자가 아닌거야.


이런 멋진 말을 하는 '모리야스 소헤이'는 역시 소설 속 주인공을 할 만한 자격이 있다.


2017.06.20 Ex Libris HJ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