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 - 지금 가까워질 수 있다면 인생을 얻을 수 있다
러셀 로버츠 지음, 이현주 옮김, 애덤 스미스 원작 / 세계사 / 2015년 10월
평점 :
품절


원제목은 아래와 같다.

'How Adam Smith Can Change Your Life'


'아담 스미스'가 누구인가? 자유방임주의의 지적 토대를 마련했으며 부, 물질주의를 다른 '국부론'을 쓴 영국의 경제학자이다. 책 제목으로만 보면, 마치 시장경제에 알려주는 것으로 오인할 수 있지만, 이 책은 그가 쓴 '도덕감정론'을 설명한 책이다. 

'도덕감정론'을 아는 사람이 별로 없기 때문에 이 책의 저자인 '러셀 로버츠' 같은 사람이 아니었으면, 나도 쉽게 접하지 못했을 것이다.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이라는 한국어판 제목으로 인해 근래 프로이트, 아들러에 많은 관심을 가진 나의 눈에 확 들어왔다. 


'도덕감정론'이라는 책을 설명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도덕감정론'에 나오는 문장을 설명하고, 그걸 좀 더 알기 쉽게 풀어쓰고 있다. 저자는 본인의 생각, 경험 등을 기반으로 '아담 스미스'가 말하고자 한 것은 이럴 것이다라고 주장한다.


사람은 누구나 마음속에 공정한 관찰자를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자기애로 무장해서 자기만을 생각하지만, 공정한 관찰자를 통해 타인을 향한 배려심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담 스미스'가 인간의 기본 본성을 표현한 아래 문장은 마음속에 새겨놓으면 좋을 거 같다.


우리가 고기와 술, 빵을 먹으며 저녁식사를 할 수 있는 것은 푸줏간 주인이나, 양조업자, 빵집 주인이 관용을 베풀어서가 아니다. 그들은 그저 자신의 이익을 중시했을 뿐이다. 때문에 우리는 그들과 거래할 때 그들의 인간애가 아닌 자기애에 호소한다. 또한 우리가 필요한 것을 말하지 않고, 그들에게 유리한 점을 말한다.

'애덤 스미스'는 '공정한 관찰자'를 통해 양심대로 적절성을 가지고 살며, 신중, 정의, 선행을 지켜야 한다고 한다. 그러면서 '왜 유명인에 일반 사람들이 열광하는가'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 공감을 많이 했다. 난 그동안 유명인에 열광하는 사람들에 대해 이해를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일전에 한 라디오에서 들었던 사연이 생각난다. 라디오 DJ가 특정 연애인의 생일을 축하한다는 많은 편지들을 소개하면서, 가족의 생일을 축하한다는 편지들도 꼭 보내기 바란다는 코멘트를 아직 기억한다.

 

인간은 다른 사람에게 인정을 받고, 존경을 받고 싶어하며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부자가 되어 유명해지는 것과 현명하고 도덕적인 사람이 되는 것이라고 한다. 이 책에서 부자가 되어 유명해지는 것이 덧없음을 알려주는 이야기를 소개해주는데, 여기에서는 짧게 요약해 보겠다.


미국의 어떤 사업가가 멕시코 해안가 작은 마을의 부두를 찾아갔다. 거기서 그는 혼자서 부두에 배를 댄 어부를 만났다. 작은 배 안에는 커다란 황다랑어 몇 마리가 있었다. 미국인은 물고기를 잡는 데 시간이 얼마나 걸렸냐고 물어보았다. 어부는 별로 오래 걸리지 않았다고 대답했다. 그러자, 미국인은 나머지 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고 물었다.

어부는 잠도 푹 자고, 아이들하고 놀고, 아내와 이야기도 하고, 저녁에 산책도 하고, 와인도 마시고, 기타도 치면서 바쁘게 산다고 말했다. 그러자, 미국인은 자신이 어부를 도와주겠다고 하며, 더 많은 고기를 잡고, 큰 배를 사고, 통조림 공장도 만들고, 멕시코 시티를 거쳐 LA로 가서 기업을 운영해야 한다고 했다.

이에 어부는 몇년이 걸리겠냐고 물어보았고, 20년쯤 걸린다는 말에 그 다음에는 뭐가 있냐고 다시 미국인에게 물어보았다. 그러자, 미국인은 수백만 달러를 번 후에 은퇴해서 조그만 어촌 마을로 옮겨가서 잠도 푹 자고, 아이들하고 놀고, 아내와 이야기도 하고, 저녁에 산책도 하고, 와인도 마시고, 기타도 치면서 편하게 살 수 있다고 어부에게 말했다.  

결국, 물질이 인간을 행복하게 만들지는 않는다. 맞는 말이기는 하다. 유명인들의 자살, 더욱 더 많은 물질을 탐내다가 타락하는 사람들, 그들과 반대로 마음의 평화를 느끼며 욕심없이 사는 이야기를 듣다보면 수긍이 가는 말이다.

하지만, 어부가 계속 몇 마리 물고기만 계속 잡으면서 저런 삶을 살 수 있을까? 자본주의 사회에서 물가는 계속 올라가고, 규모가 큰 회사가 물고기를 대량으로 잡아서 싸게 팔아서 주변 어부들의 생계를 위협하면 어떻게 될까? 가족들과 물고기만 먹으면서 살 수는 없지 않은가? 

여기에서 우리는 물질, 즉 돈을 추구하는 것은 미래를 준비하는 생존의 싸움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야 하는 사람들의 어쩔 수 없는 운명이다.

 

TV에서 가족들과 떨어져 산에 들어가서 혼자 사는 사람들을 다룬 다큐멘타리를 본 적이 있다. 

그들은 마음의 평화를 얻고, 정신적으로 평안하며, 자신만의 조용한 시간을 맘껏 누리고 있었다. 삶이 힘들 때마다 기억을 떠올리며 부럽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가족이 있다면, 저렇게 살 수 있을까? 그리고, 언제까지 혼자서 살 수 있을까? 

탐욕을 부리는 것은 조심해야 하겠지만, 자본주의 속성을 이해하지 못하면, 앞일은 아무도 모른다. 현재의 내가 미래에도 같을 것인가? 현재에 만족한다고, 미래에도 만족할 수 있을까? 


저자는 전혀 다른 성격의 '도덕감정론'과 '국부론'을 쓴 '애덤 스미스'를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말하며 결론을 짓는다.


다행히도 나는 심장판막, 자동차, 혹은 아이폰을 만드는 기업의 CEO를 사랑할 필요가 없다. 그 기업의 CEO 역시 나를 사랑할 필요가 없다. 인간적 교류가 전혀 없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기업의 CEO들은 분명 내 삶을 더욱 윤택하게 만들어준다. 이정도면 충분히 훌륭하지 않은가. 그들 사이에서 사랑과 따뜻한 관계를 찾겠다고? 사랑과 따뜻한 관계는 가까운데서 찾으면 된다. 우리 곁에는 늘 소중한 사람이 존재하니까. 그러니 사랑은 가까운 곳에서 찾고, 거래는 전 세계적으로 확대하자.

정말 '애덤 스미스'가 이렇게 생각해서 두 책을 썼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자본주의 사회에서 혜택을 받으면서 산다고 해도 자본에 너무 매몰되지 말고, 항상 주변을 돌아보며 양심대로 신중하게 살아야 한다는 점은 좋은 삶의 이정표이지 않을까?


P.S. 저자인 '러셀 로버츠'가 '애덤 스미스'를 찾아가서 그와 대화를 하고, 밤늦게 그의 집에서 나오면서 책을 끝맺는 내용은 뭐랄까, 소설을 따라해 보고 싶지만, 뭔가 어설펴 보이는 느낌이었다.


2016.10.09 Ex Libris HJ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