셜록 홈즈 전집 1 (양장) - 주홍색 연구 셜록 홈즈 시리즈 1
아서 코난 도일 지음, 백영미 옮김, 시드니 파젯 그림 / 황금가지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셜록 홈즈 관련 소설을 모두 읽겠다고 마음먹고, 드디어 첫발을 내디뎠습니다.
저번에 포스팅했던 황금가지에서 2판으로 새롭게 나온 셜록 홈즈 전집을 구매한고, 1권 주홍색 연구를 읽었습니다. 1판은 읽어 보지 않아서 모르겠는데, 2판은 폰트도 마음에 들고, 가독성도 좋고, 번역 내용도 괜찮은거 같습니다. 


셜록 홈즈와 왓슨 박사가 처음으로 만나서 영국 런던 베이커가 221B 번지에 동거를 시작하는 내용을 읽으니 감회가 새롭네요. 셜록 홈즈에 대해서 이것저것 많이 접하다 보니 띄엄띄엄 알게 되고, 원작과는 다소 다른 내용을 읽거나 보다 보니 원작에 대해서 정주행을 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읽고 보니 역시 고전 명작은 다르다는 생각이 듭니다.

1권 주홍색 연구는 왓슨 박사의 과거와 셜록 홈즈와의 첫 만남, 그리고, 왓슨 박사가 기록을 시작하면서 처음으로 접한 사건을 다루었습니다. 왓슨 박스가 기록을 시작했다기보다는 사건을 해결하는 셜록 홈즈를 보면서 기록을 하기로 마음먹었다는 것이 맞겠네요. 셜록 홈즈의 과거는 거의 안 나옵니다.
초반부에 셜록 홈즈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왓슨 박스가 셜록 홈즈에게 특정 분야는 천재적이지만, 어떤 분야는 전혀 모르는 것에 대해서 물어보고, 셜록 흠즈가 대답하는 부분입니다. 

공감하는 내용이어서 인용합니다.



나는 인간의 뇌가 본디 텅 빈 다락방과 같은 거라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은 그 방에 가구를 골라서 채워 넣어야 합니다. 온갖 잡동사니를 닥치는 대로 쓸어 넣는 사람은 바봅니다. 왜냐하면, 그렇게 하다가는 쓸모 있는 지식은 밀려 나오거나 다른 것들과 뒤죽박죽돼서 필요할 때 꺼내 쓰지 못하게 되니까요. 

....

따라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사실이 유용한 지식을 밀어내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지요.


요즘 우리가 얼마나 많은 데이터에 노출되어 있는지는 굳이 증명할 필요가 없을 듯합니다. TV, 신문 등의 전통적인 매체보다는 시간 날 때마다 들여다보는 스마트폰 때문에 기하급수적으로 더 늘어났죠. 네이버나 다음 같은 포털을 접속할 때마다 엄청난 많은 데이터들이 실시간으로 전달됩니다. 자기를 읽어달라고 말이죠.
며칠 전에 회사 동료들과 식사를 하면서 소유진의 남편 이름을 모르는 저를 보고, 모두 놀라는 표정을 지은 적이 있었습니다. 지금도 그 이름은 기억이 안 납니다. 기억하고 싶은 마음도 없습니다. 대체 왜 내가 그런 사람의 이름을 알고 있어야 하는지 아직도 이해가 안 갑니다.
제가 만약 에드워드 기번이나 찰스 디킨스, 주제 사라마구를 아냐고 물어봤을 때도 마찬가지겠죠. 물론, 모를 수 있고, 모른다는 것은 이 작가들이 쓴 책에 관심이 없다는 것입니다. 텅 빈 다락방에 무엇을 넣을지는 정답이 없고, 본인이 알아서 하는 것이니깐 말이죠.
다만, 너무 많은 데이터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의식적으로 무시할 것은 무시하고, 관심 있는 것은 차곡차곡 다락방에 넣어 두는 지혜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천재적인 범죄 추리 전문가인 셜록 홈즈에 의해 주홍색 연구 사건은 바로 해결됩니다. 그런데, 후반부에 갑자기 이야기는 미국 대륙으로 넘어갑니다. 몇 십년 전으로 돌아가 범죄 동기에 대한 배경을 설명합니다. 이 책에서 모르몬교를 처음으로 알았습니다. 전 이 종교에 대해서 자세히 모르지만, 이 책의 적힌 내용을 토대로 생각하면, 그냥 사이비 종교 집단으로 보입니다. 사이비 종교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기 때문에 제 다락방에서 빨리 없애 버려야 하겠네요. 다만, 다른 사람의 원한을 사는 짓은 하지 말아라 한다는 것은 빼놓고 말이죠.

나중에 셜록 홈즈 단편집을 읽어 보겠지만, 그때는 읽으면서 사건에 대한 추리도 해볼까 생각합니다. 요즘 사람을 종종 면밀히 관찰하는데, 오해 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겠습니다. 


2015.01.16 Ex Libris HJ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