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을 가지고 노는 소녀 밀레니엄 (문학동네) 2
스티그 라르손 지음, 임호경 옮김 / 문학동네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월에 처음으로 독서를 완료한 책은 스티그 라르손의 밀레니엄 시리즈 2권 입니다. 평소에 서로 다른 장르의 3권의 책을 읽는데, 이번에 가장 빨리 읽은 책이 <불을 가지고 노는 소녀> 입니다. 

스토리에 몰입하면, 시간이 순식간에 흘러가는 것이 소설이 주는 매력이 아닐까 싶습니다.  밀레니엄 시리즈 1권인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도 두툼한 책등을 과시하지만, <불을 가지고 노는 소녀>는 그보다 더 심합니다. 거의 800 페이지에 육박합니다. 보통 이 정도의 두께이면 읽다가 지칠만도 하지만, 밀레니엄 시리즈는 끝까지 붙잡게 하는 무언가를 가지고 있습니다. 



홍천에 있는 풀빌라로 1박 2일 여행을 다녀왔습니다. 낮에는 수영하고, 저녁으로 바베큐 요리를 먹은 후에 가져간 이 책을 펼쳤습니다. 여행이 선사하는 숙소의 정리 정돈과 깨끗함은 책 읽기에 최적의 공간을 만들어 냅니다. 그래서, 가급적 비싸더라도 숙소는 신경쓰는 편입니다. 여행을 많이 가기 보다는 좋은 숙소를 고르는 이유입니다. 여행가기 전에 독서를 시작하고, 여행 중에 독서를 하고, 귀가 후 빠른 짐 정리를 하고, 다시 책을 잡았습니다. 그리고, 독서를 마쳤습니다. 



스웨덴은 아름다운 자연을 품고 있으며, 복지 시스템이 잘 구축된 선진 국가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유럽, 발트 3국, 러시아에서 생존을 위해 잘 사는 나라인 국가들로 넘어오는 미성년자들을 착취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고 합니다. 주로 소설이나 영화로 접했기 때문에 현실에서 정말 심각한 문제인지, 아니면 일부 사건, 사고가 있었는지 알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런 주제가 끊임없이 다루어지는 것으로 나름대로 판단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엄청나게 뛰어난 해커이면서 어렸을 때부터 온갖 고통을 당한 주인공 리스벨트가 정의를 실천하는 과정과 몰입감 있게 이 과정을 진행하는 전개가 밀레니엄 시리즈의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1권에서 기자인 미카엘보다 2권에서 리스벨트의 비중이 커진 점이 좋았습니다. 반드시 법이 정의를 실현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반사회주의적이고, 반체제적인 생각일 수도 있지만, 현실을 똑바로 쳐다본 반응일 수도 있습니다. 법이 정의를 실현하려면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잣대가 적용되어야 하죠. 2025년 한국은 과연 어떨까요?



이 소설이 주는 카타르시스는 불법이지만, 정의를 실현하고, 악을 처단하는 과정에 기인합니다. 법이 제대로 처벌하지 못하는 악인을  처벌하는 행위는 잘못일까요? 얼마 전 넷플릭스에서 <트리거>를 보았습니다. 총기 청정 구역인 한국에 총기가 반입되면서 벌어지는 사건, 사고를 다룬 드라마입니다. 악인이 총기를 사용해서 피해자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지만, 법이 보호하지 못한 피해자의 억울함을 총기가 보상해 주기도 합니다. 그래도 저는 총기 허용은 반대합니다. 하지만, 쓰레기 같은 애들에게 괴롭힘 당하는 피해 학생, 전세 사기로 재산을 날린 피해자, 산업재해 피해자의 가족 등의 아픔과 억울함을 법과 제도가 무시하면 안된다는 생각도 합니다.



쓰레기 같은 기자에게 심한 거부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리스벨트와 함께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미카엘보다 리스벨트에게 기울어지는 마음은 어쩔 수 없습니다. 물론, 미카엘이 기자로서 잘못된 행동을 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한국에서 사는 저는 기레기에게 심한 분노를 느낀 점이 많았습니다. 

정확하게 사실을 확인할 생각도 없고, 의지도 없는 기자, 돈을 벌기 위해 기사를 쓰는 기자, 피해자를 생각하지 않는 무개념을 탑재한 기자를 많이 봤습니다. 



상식과 공정이 지켜지는 사회, 서로 배려하는 사회에서 살아가기를 오늘도 기원합니다. 



2025.8.2 Ex. Libris HJK



 

그녀는 좁다란 철제 간이침대에 묶여 있었다. - P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