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찰리의 연감 - 버크셔 해서웨이의 전설, 찰리 멍거의 모든 것
찰리 멍거 지음, 피터 코프먼 엮음, 김태훈 옮김 / 김영사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 주식에 관심 있다면, 워런 버핏과 함께 버크셔 해서웨이를 이끈 뛰어난 투자가인 찰리 멍거를 모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는 성공적인 삶을 살았고,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습니다. 워런 버핏도 그 중의 하나였습니다. 

그는 여러 학문들을 독학으로 배우고, 여러 학문들의 기본적인 원리와 지식을 바탕으로 투자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상황별로 모형을 적용했고, 이를 위해 체크 리스트를 만들어서 평생 활용했다고 합니다. 심리학, 경제학, 수학, 물리학 등 평생 동안 책을 읽으면서 배우는 삶을 살았습니다. 비단 엄청난 자산 소유자로만 볼 수는 없고, 그의 말과 가르침은 분명 배울 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은 찰리 멍거가 직접 강연한 11개의 강좌를 묶어 놓은 책입니다. 그가 책을 쓴 적은 없지만, 그의 강연을 모아 놓았으니 이 책의 저자를 찰리 멍거라고 부를 수 있겠죠. 하지만, 그가 자신의 생각을 좀 더 사람들에게 알기 쉽도록 설명한 책을 직접 저술해서 후세에 남겨 놓았다면 그의 인생에 의미있는 삶을 하나 더 보탤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강연들의 모음이므로, 동일한 이야기가 반복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시간 제약을 가진 강연에서는 내용 전개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겠죠. 물론, 강연 후에 질문에 대한 답도 있지만, 모든 질문을 포함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강연 모음집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경제, 주식 뿐만이 아니고, 인생을 살면서 도움이 될 만한 내용들은 분명 있습니다. 주식은 심리적인 측면이 많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심리학과 경제학의 활발한 상호 연구 및 교류를 중요하게 생각한 그가 강연한 11강(이 책에 소개된 강의 중 마지막 편입니다.)은 항상 옆에 두고 참고할 만한 좋은 내용입니다. 더불어 그가 좋아하는 벤자민 프랭클린의 저서나 로버트 치알디니의 <설득의 심리학>도 같이 있으면 도움이 될거 같네요.



한국은 빈곤 노후 비율이 높다고 합니다. 자산은 많지만, 부동산 비중이 높아서 현금 흐름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빈곤하다고 합니다. 또한, 자기자본 비율이 현저히 낮아서 이자 비용이 많이 나가는 것도 문제라고 합니다. 

비트 코인, 부동산 영끌처럼 한 번에 많은 돈을 벌고, 파이어족이 되고 싶은 사람들도 많습니다. 젋은이들이 투자를 위한 종자돈을 모으기 보다 대출을 통한 레버리지를 통해 짧은 시간에 큰 돈을 벌고 싶어 합니다. 또한, 종자돈을 모으는 힘든 삶을 원망하며 사회에 책임을 돌리면서 극우화가 되가는 현실입니다. 

물론, 젊은이들만의 잘못은 아니고, 사회 시스템을 개선해서 그들에게 꿈과 공정한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평생동안 투자하면서 천천히, 꾸준히 자산을 형성했던 찰리 멍거의 삶을 들여다 보는 것도 좋은 접근입니다. 

항상 역사와 책에서 길을 찾으면 좋겠습니다. 




2025.7.27 Ex. Libris HJK

버크셔 헤셔웨이가 만든 특별한 이야기의 이면에는 두 명의 금융 천재가 있다. - P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