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 나는 무엇이고 왜 존재하며 어디로 가는가?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1월에 소감문을 쓸 첫 책으로 이 책을 골랐다. 2권의 책을 더 읽었지만, 굳이 소감문을 남기고 싶다는 생각이 없었다. 요즘 생각이 바뀐 것이 읽는 도중에 마음에 안 들면, 과감하게 계속 읽는 것을 포기하고, 끝까지 읽었다고 해도 느낀 소감이 별로 없으면 소감문을 쓰지 않는다. 나의 인생에 읽을 수 있는 책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나이가 들수록 독서에 대한 마음은 급해진다.


이 책은 내가 좋아하는 작가인 유시민의 신간이다.
그가 쓴 책은 잘 읽힌다. 전개 방식은 논리적이고, 간결한 문체는 가독성을 높인다. 어려운 과학 이야기도 그가 쓰면 더 쉽게 다가온다. 물론, 깊이가 있느냐는 아닐 수 있다. 하지만, 나의 수준에 비하면 깊이가 있다. 그는 많은 과학 도서를 읽었으니 그의 지식도 높다고 생각한다.
먼저 인문학에 대한 그의 생각을 알아보자. 그의 글을 읽으면 왜 뜻이 쉽고 명료하게 전달되는지 알 수 있다.


인문학은 우리 자신을 이해하려는 노력의 산물임을 다시 확인한다. 인문학의 과제는 객관적 진리를 찾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사회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만큼 '그럴법한 이야기'를 만드는 일이다. '그럴법한 이야기'라는 말에 거부감을 느끼는 분이 있을지도 모르니 인문학의 전통적인 언어로 바꾸어 보자. 인문학의 임무는 인간과 사회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유용한 담론을 생산하는 것이다. 같은 뜻이지만 이렇게 말하니 품격이 높아졌다는 느낌이 든다. 그렇지만 나는 품격 있는 문장보다 뜻을 쉽고 명료하게 전하는 문장이 좋다. 취향이 그런 것을 어찌하겠는가. <P.244~245>


하나의 커다란 주제에 입각하여 독서 방향을 잡으면 독서를 통한 사유를 훨씬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나의 주제를 바라보는 시점에 따른 다양한 생각을 접할 수 있고, 해당 주제를 쪼개어서 깊이를 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바로 과학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 그다음에 어떤 책을 읽을까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에서 언급된 '코스모스', '엔드 오브 타임'은 이미 소장 중이다. '코스모스'는 중단까지 읽다가 잠시 중단을 했었는데, 한 번 중단하니 다시 읽기가 부담스럽다. 처음부터 다시 읽을까 고민이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부터 관심있었던 분야는 있다. 뇌과학 분야인데, 그동안 읽었던 운동, 건강, 중독, 습관, 기억 등의 주제를 다룬 책이 뇌과학과 관련이 있다. 심지어 행동경제학도 뇌과학과 관련이 있다. 뇌과학은 호르몬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인간의 어떤 행동을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된다. 물론, 현재의 과학 기술로 모든 인간의 행동을 미리 파악할 수는 없다. 현재 읽어야 할 도서 리스트에 '운동의 뇌과학', '기억의 뇌과학' 이 있다.


이 책을 통해 좀 더 관심 분야를 확장했다. 학생일 때만 봤던 주기율표도 다시 보고, 양자역학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알았다. 유시민이 말한 것처럼 내가 사는 세계와 다른 차원의 세계에서 벌어지는 일이라고 생각이 든다. 읽어도 이해를 못 한다는 말이다.  하지만, 내가 이해를 못 한다고 그 세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감각으로 인지하는 세계는 물질로 꽉 차 있다. 눈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아서 비어 있는 것 같지만 지구 행성의 모든 공간은 공기로 가득하다. 달과 지구, 지구와 태양, 태양과 다른 별, 은하와 은하 사이에도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공간은 없다는 걸 우리는 안다. 그렇지만 그 역도 성립하다. '겉보기는 꽉 찼으나 실제로는 텅 비어 있다' 원자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면 이 말을 수긍하게 된다. 석가모니가 그런 뜻으로 말했다는 게 아니다. 그가 원자의 구조를 알았을 리 없다. 우연일 뿐이다. 그래도 흥미롭긴 하다. <P.238~239>


개인적으로 과학도 역사와 마찬가지로 알수록 흥미롭다고 생각한다. 역사의 사건과 그 사건이 발생하게 된 맥락, 스토리도 흥미롭지만,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역사를 알다 보면 사건 연대기뿐만이 아니고, 특정 가문의 성장과 몰락에도 관심이 가는데, 대표적으로 합스부르크, 메디치 가문 등이 있다. 역사를 접하는 다른 방향의 시선과 알아가는 과정이 있다.
마찬가지로 과학의 추론, 증명, 진리의 과정이 재미있을 수 있지만, 과학자들의 이야기도 관심이 간다. 이번에 오펜하이머 영화가 성공한 이유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생각한다.


아직도 궁금하지만 미처 읽지 못한 역사책이 많다. 마찬가지로 그동안 관심이 별로 없었던 과학에 눈을 돌리면 읽지 못한 과학 책도 많을 것이다. 내가 말하는 과학 책의 범주는 과학 교양서 정도의 수준이니 좀 더 줄어들 수도 있을까?


역사, 정치, 경제 뿐만이 아니고, 과학까지 나의 관심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주는 책을 쓰는 저자를 존경하고, 좋아하는 것은 당연하다. 내가 유시민 작가를 좋아하는 이유이다.


엔트로피 법칙은 우주의 묵시록이다. 모든 것은 결국 사라진다. 나는 러셀의 말에 공감한다. 신을 믿어야 할 이유는 없다. 엔트로피 법칙은 영원성에 대한 집착을 버리라고 말한다. 이 우주에는 그 무엇도, 우주 자체도 영원하지 않다. 오래간다고 의미가 있는 것도 아니다. 존재의 의미는 지금, 여기에서, 각자가 만들어야 한다. 우주에도 자연에도 생명에도 주어진 의미는 없다. 삶은 내가 부여하는 만큼 의미를 가진다. 길든 짧든 사람한테는 저마다 남은 시간이 있다. 나는 그리 길지 않을 시간을 조금 덜어 이 책을 썼다. 쓰는 동안 즐거웠다. 남들과 나누면 더 좋을 것 같다. 그게 전부다. <P.256>


2023.11.4 Ex. Libris. HJK


2009년 봄이었다. 동네 서점에서 특별 진열대를 보았다. - P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