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 로맨스 - 사랑에 대한 철학의 대답
M. C. 딜런 지음, 도승연 옮김 / Mid(엠아이디)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사실 처음엔 <비욘드 로맨스>라는 책을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는데, 저자 M.C.딜런의 소개에서 퐁티의 저명한 주석가라는 글귀를 보고 한 번 갸웃했고, 다른 책과 달리 약 20페이지에 달하는 서문을 읽으면서 감을 잡았다. 이 책은 한 번에 슝슝 넘길 수 있는 책이 아니라는 것을...(ㅠㅠ 귓가에 지식의 탐험과 고난의 시작을 알리는 종이 울렸다.)

 보통 많은 사람들이 저자의 소개, 역자 소개, 목차, 서문을 별 생각 없이 넘기고 마는데 나는 저자부터 꼼꼼하게 살피는 편이다. 저자 소개를 통해 이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단편적으로나마 확인할 수 있으며, 목차를 통해 책의 내용을 간략히 추론하고, 서문을 통해 저자가 어떤 의도로 책을 썼는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 여기까지만 하면 그 책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파악된다. 책도 사람처럼 저마다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 책의 특성을 대충 읽어내는 것이다. 이렇게 읽어야만 그 책을 최대한 정확히 본다는 생각이 든다. 아, 그리고 이 책을 읽을 때 이러한 나의 습관이 덕을 봤다. 마음의 준비를 하고 책장을 펼 수 있었으니까.

 

 

 

 사실 처음엔 <비욘드 로맨스>라는 책을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는데, 저자 M.C.딜런의 소개에서 퐁티의 저명한 주석가라는 글귀를 보고 한 번 갸웃했고, 다른 책과 달리 약 20페이지에 달하는 서문을 읽으면서 감을 잡았다. 이 책은 한 번에 슝슝 넘길 수 있는 책이 아니라는 것을...(ㅠㅠ 귓가에 지식의 탐험과 고난의 시작을 알리는 종이 울렸다.)

 보통 많은 사람들이 저자의 소개, 역자 소개, 목차, 서문을 별 생각 없이 넘기고 마는데 나는 저자부터 꼼꼼하게 살피는 편이다. 저자 소개를 통해 이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단편적으로나마 확인할 수 있으며, 목차를 통해 책의 내용을 간략히 추론하고, 서문을 통해 저자가 어떤 의도로 책을 썼는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 여기까지만 하면 그 책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파악된다. 책도 사람처럼 저마다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 책의 특성을 대충 읽어내는 것이다. 이렇게 읽어야만 그 책을 최대한 정확히 본다는 생각이 든다. 아, 그리고 이 책을 읽을 때 이러한 나의 습관이 덕을 봤다. 마음의 준비를 하고 책장을 펼 수 있었으니까.

 

나는 사랑의 신이 태어나기 전에 이미 죽은

오래된 연인의 영혼과 대화하기를 진정으로 소망하노니


-John Donne, 사랑의 신성 중에서-

 

 

 저자는 가장 먼저 '철학과 사랑'에 대해서 논의한다. 재미있는 것은 철학자인 '딜런' 스스로 철학자의 사랑이 보통 사람들의 사랑보다 더 잘나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하긴 동서양 각각 대표로 공자와 소크라테스가 있지 않은가.

 그는 삶의 질을 결정 짓는 요소는 많지만 돈, 행운, 권력 등이 행복을 보장해 주지는 않으며, '사랑'은 그 무엇보다도 우리 삶의 질을 결정짓는다고 한다. 누군가는 동의하지 않을 수 있는데, 사랑은 다른 요소들과 달리 '마약'과 유사해서 어떨 땐 '사랑'만 있어도 살아갈 수 있을 것 같은 시기를 일생에 한 번 정도는 겪는다. 어쩌면 평생 겪고 있을 수도 있고. 그걸 우린 '눈에 콩깍지가 씌었다'라고 표현한다. '사랑'이 삶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이렇게 큰 만큼 우리는 '사랑'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

 

 

만약 우리가 사랑이 무엇인지 알았다면 아마 사랑에 대해 묻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사랑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그것과 우연히 마주친다 해도 어떻게 그것이 사랑인지 알 수 있겠는가.


-플라톤, 메논의 역설-

 

 또한 저자는 메논의 역설을 통해 소크라테스의 '상기설'에 대해 언급하면서, 우리가 사랑에 대한 '선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성'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지 않은 청소년들이 정확한 '섹스'는 모르지만 무엇을 몰래 해야 하고, 언제 부끄러워 해야 하는지 아는 것처럼. 이러한 주장이 꽤 설득적으로 들리는 것이, 한 때 많은 남성의 뇌리에 남았던 브룩 쉴즈의 '푸른 산호초'를 보면 두 어린아이는 성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채로 섬에 남겨졌지만 알아서 애까지 낳고 잘 산다. 아마 실제로 남아와 여아를 무인도에 놔 두면 '푸른 산호초'와 비슷한 결말이 나올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잠재되어 있는 선지식은 의식적이지 않으며 비판과 숙고도 없다. 따라서 우리는 비판과 수용, 숙고 등을 위해서 '사랑'과 '성애'를 보다 확실하게 끌어올려 생각하고 따져봐야 한다.

 

 맛보기만 살짝 보여주었는데, 이 책은 이렇게 차근차근 하나씩 조심스럽게 따져 가며 '사랑'에 대해서 파악하기 시작한다. 처음엔 이 책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사랑'과 '성'에 대해서 깊이 파고들어 비판적으로 따져 본다면 쉽게 파괴적인 행위로 자신을 내던지지 않을 것이다. 물론 정신과 행동이 꼭 일치하지는 않지만, 제대로 자신의 '사랑'과 '섹스'를 정의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올바른 판단을 할 가능성이 높을 거라고 생각한다.

추천 : 사랑에 대해서 바닥의 바닥까지 파고 싶은 사람에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