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커지면 문제는 작아진다
문요한 지음, 김인하 일러스트 / 해냄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2025년, 4월 그야말로 봄이다. 저번주까지는 추워서 패딩으로 꽁꽁 싸매고 다녔는데 순식간에 알록달록 봄꽃이 곳곳을 장식하고 있다. 밝고 따사로운 햇살, 화사한 옷을 입고 거니는 사람들 활기찬 느낌이 세상을 둘러싸고 있다. 


그러나 누군가는 이 따뜻함을 느끼지 못하고 절망하고 슬퍼하고 좌절하고 있다. 예전과 달리 물질적으로는 더욱 풍족해졌는데, 많은 이들이 가슴이 뻥 뚫린 것처럼 공허함을 느낀다고 한다. 왜 사람들은 이렇게 심리적인 고통을 받고 있을까? 이 고통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없을까?


<내가 커지면 문제는 작아진다>는 정신과의사인 문요한 작가가 치유적인 경험을 2005년부터 정리한 글을 다듬어 엮어낸 책이다. 사람은 심리적 고통이 클 때에는 마음 속의 생명력을 전혀 느끼지 못할 수 있다. 모든 게 끝나버렸고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절망과 무력감에 한동안 갇힐 수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겨울에 나뭇잎이 모두 떨어지고 앙상했던 가지에 새순이 나고 꽃이 피는 것처럼, 버석버석 말라버린 듯 했던 들판에 푸른 들꽃들이 피는 것처럼 우리의 생명력은 살아 있다고 한다. 저자는 모든 생명체들이 그런 것처럼, 우리에게도 자기치유와 자기정화의 원천적 생명력이 있다고 말한다.

저자가 환자를 치료하면서 겪은 일, 치유적 경험들 중 삶의 어려움에 부딪혔을 때 위로와 힘이 되는 글들이 이 책에 있다. 


<내가 커지면 문제는 작아진다>는 다섯 가지 세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다섯 가지는 내 마음 들여다보기, 정신적 맷집 키우기, 문제해결력 키우기, 변화와 도전 속에 균형 잡기, 관계 속에서 성장하기 이다. 꼭 마음이 힘들 때뿐 아니라 인생의 지혜, 삶의 교훈이라고 생각하며 이 책을 순서대로 읽어도 좋고 마음이 끌리는 제목을 보고 해당 글을 읽어도 좋다.


첫 번째 세션 '내 마음 들여다보기'는 마음 뒤의 내 진짜 마음을 보는 이야기이다. 여러 글 중에서 가장 가슴에 와 닿았던 글은 바로 첫 번째 글 <01. 마음의 허기>였다. 아마 저자도 심사숙고한 끝에 이 글을 가장 앞에 구성하지 않았을까 싶다.


배가 고픈 것도 아닌데 괜히 냉장고 문을 여닫기를 반복할 때, 혹은 무엇이든 꼭 먹어야 마음이 놓일 때가 있다. 이럴 때 느끼는 허기는 신체적인 문제가 아니라 정신적인 것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즉, 정신적 스트레스를 먹는 것으로 해소하는 것이다. 정신적 허기와 신체적 허기는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정신적 스트레스가 극심할 때 많은 이들이 식이 문제를 호소하는 것도 이 때문이 아닐까 싶다.


미국의 정신의학자 로저 굴드는 배 속에는 보이는 위장 말고, 보이지 않는 '유령위장'이 있다고 표현한다. 이 유령 위장은 음식물이 비어있을 때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외롭거나 화가 나거나 불안하거나 절망스러울 때처럼 정서적으로 흔들릴 때 배고프다는 신호를 보낸다고 한다. 반대로 누군가와 아주 가깝게 느껴지거나 마음을 열고 화해했거나 자신이 자랑스럽게 여겨진다면 정신적 허기는 물론 신체적 허기도 잘 느껴지지 않는다고 한다. 사람이 놀부처럼 오장칠부를 가진 셈이라고 하니 신기할 따름이다.


생각보다 정신적 허기를 신체적 포만감으로 달래는 경우는 흔하다. 우리도 정신적으로 피곤한 일이 있을 때마다 '당보충'을 해야 한다고 말하는 경우가 흔하다. 어떤 이들은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돈을 쓰고 'X발 비용'이라는 비속어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정신적으로 불안정할 때 충동구매를 하게 되는 것도 같은 맥락이 아닌가 싶다. 그러나 이런 나의 상태를 직시하고 어떻게 '정신적 허기'를 채울 수 있을 지 진지하게 고민한다면 삶은 더 풍요로워질 수 있을 것이다.


현대인이 고질적으로 겪는 문제 중 하나는, 핸드폰으로 메시지나 소셜네트워크 DM등을 자꾸 확인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현대인들은 하루 34 차례 이상 반복적으로 스마트폰을 확인한다고 하는데 일종의 '확인강박행동'이라고 한다. 저자는 이를 '관심의 부재'로 인한 고통이며 '존재증명 강박증'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타인이나 물질적인 것, 성과를 통해 나 자신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나 자신을 받아들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저자는 현대인이 자주 겪는 문제,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정신적인 문제에 대해 다루고 그 해결책에 대해 조심스럽게 이야기한다. 삶이 힘겹고 부담스럽게 느껴진다면, 어디엔가 웅크리고 있을 '우리 안에 내재된 생명력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힘들 때마다 <내가 커지면 문제는 작아진다>을 읽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