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혼자 보는 미술관 - 나만의 감각으로 명작과 마주하는 시간
오시안 워드 지음, 이선주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11월
평점 :
[리뷰]혼자 보는 미술관-내 방식으로 그림 감상하기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 가서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그림 중 하나인 '모자리자'를 보았다. 켜켜이 쌓인 사람들 사이로 겨우 비집고 들어가, 갖가지 머리색 사이로 겨우 그 미소를 보았다.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나를 향한 것 같은 그 미묘한 미소는 이제껏 듣고 읽었던 것과 같았으나 그림의 질감을 느끼고 감상하기엔 너무 먼 거리였다. 끊임없이 밀려드는 인파때문에 그림을 충분히 감상할 만큼의 여유도 시간도 없어서 기대한 것 만큼의 감동은 느끼지 못했고 그냥 다른 그림을 감상하러 가는 게 낫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나와 비슷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세상 사람들이 예찬하는 명화를 보고도 별 감흥을 느끼지 못해서 내가 그림을 감상할 줄 모르나, 하는 생각이 들거나 직접적으로 그림을 보지 않고 종이책이나 디스플레이로만 스치듯 보고 그러려니 하고 지나간 경험들.
<혼자 보는 미술관>은 이런 평범하고 보통의 사람들을 위한 '미술 감상법'에 대한 책이다. 저자는 고전 미술 작품 앞에서 우리가 거리감을 느끼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한다. 완전히 다른 시대와 장소, 그리고 역사와 신앙 등으로 가득찬 세계를 이해하지 못하면 우리에게 그림은 '알 수 없는 것'이 되어버린다. 게다가 이런 명화들은 대부분 서양의 것, 한국인인 우리는 더더욱 이해하기 힘들다. 게다가 이런 미술 감상법을 알려주는 학교 교육에서 미술책은 이 그림들을 제대로 보여주지도 않은 채 그것들을 신격화하고 정보를 준 후, 시험 문제로 낼 뿐이다. 아름다움을 감상해야 하는데 지식으로 머리속에 우겨넣어야 한다. 그 미술사에 갇혀 우리는 그림을 제대로 감상하지 못하고 그림을 우리와 너무 먼 것이라 생각하게 된다.
<혼자 보는 미술관>은 예술작품을 보는 방법을 알려준다. 특별하게 보는 방법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감상하는 법을 말이다. 현대미술과 달리 고전 미술은 우리 스스로 무의식적으로 어디서부터 봐야 하는지 알고 있다고 한다. 직관적이고 틀 안에 있는 그림만 보면 되기 때문에 훨씬 편하게 볼 수 있다고 하니 '저자의 말'을 믿어보기로 했다.
재미있는 것은 우리가 미술을 감상하기 힘든 이유에 다른 이유들도 있다는 것이었다. 예를 들면 렘브란트 판 레인의 <에스더의 연회에 참석한 아하수에로 왕과 하만>은 시간이 흐르면서 그림이 변하고 복원도 잘못되어 더더욱 알아보기 힘들게 되었다고 한다. 여기서는 그림을 감상하는 방법으로 '타불라라사'를 제시한다. TABULARASA인데 시간Time, 관계Association, 배경Background, 이해하기Understand, 다시보기Look Again, 평가하기Assess(순서에는 관계가 없다고 한다.) 단계를 거치고 리듬Rhythm, 비유Allegory, 구도Structure, 분위기Atmosphere를 적용하면 된다고 한다.
첫 번째 Time에서 작가는 '오래, 자주, 계속의 힘'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예술을 감상하는 데 얼마나 오래 봐야하는지 정해진 시간은 없지만 자주 보게 되면 탐구할 것이 새로 생기기 때문이다. 작가가 추천하는 방법은 작품 앞에서 '세 번 심호흡하기'인데 어떤 작품들은 빠르게 볼 필요도 있다고 한다. 박물관에서 미술을 감상할 때 특정 작품 앞에서만 오래 시간을 보내긴 힘든 상황이 많다. 이런 상황에서 빠르게 보는 능력은 유용하다. 이렇게 차례대로 감상법을 알려주면서, 명화 감상을 예시로 든다. 자크 루이 다비드가 그림을 그리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고전 그림에서 얘기하는 정확한 비유법과 상징들을 알지는 못하더라도 우리가 아직도 사용하는 의미와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림에 대한 미술학적 지식과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상식 사이에서 그 절충안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명화를 제대로 감상하고 싶지만 나와는 너무 먼 이야기처럼 느껴진다면 <혼자 보는 미술관>으로 '나만의 그림 보는 방식'을 만들어 보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