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와 성서에서 유래한 영어표현사전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잘난 척 인문학
김대웅 지음 / 노마드 / 201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리뷰]신화와 성서에서 유래한 영어표현사전-영어의 어원 재미있게 공부하기


 



서양 문화의 근간을 알고 싶다면 그리스로마 신화와 성서를 읽어야 한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많은 영단어, 전문용어, 관용구 등이 그리스로마 신화와 성서에서 기원했으며 서양 문화 또한 그리스 로마 사상 위에 꽃 피웠다. 그러나 우리가 일일이 신화와 성서를 정독하며 거기서 영단어, 영어표현의 기원과 유래를 찾아내기란 쉽지 않다. 그런 점에서 <신화와 성서에서 유래한 영어표현사전>은 손쉽게 이들의 맥락을 파악하면서 서양문화에 대한 배경지식도 확장할 수 있는 그야말로 '박학다식'한 책이다.

 


<신화와 성서에서 유래한 영어표현사전>의 1부는 그리스로마 신화의 주요 신들의 이야기와 거기에서 유래한 영어 단어들로 이루어져 있고 2부는 성서에서 유래한 영어 표현들이 나와 있다. 이 책은 그리스로마 신화를 좋아하는 사람들, 무작정 영단어장을 억지로 머리속에 우겨 넣는 데 지친 사람들, 잡다한 지식을 좋아하는 사람들 모두 좋아할 만한 책이다.



<신화와 성서에서 유래한 영어표현사전>은 책의 제목처럼 의미 심장한 라틴어 속담 또는 명언과 함께 시작한다. 모두 유명한, 그리고 기억할 만한 명언들인데 라틴어와 영어로 함께 보니 의미가 새롭게 다가왔다.


Bono malum superate=Overcome evil with good

선으로 악을 이겨라

Dum vita est, spes est=While there's life, there's hope

생명이 있는 한 희망이 있다

Nemo sine vitio est=No one is without fault

결점 없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1장에는 저번에 그리스로마에 대해 다룬 책에서 본 표현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영어표현들도 있었다. 예를 들어 카오스, 코스모스, 아틀라스, 에오스 등은 워낙 유명한 표현이라 익숙했고 꿀벌 요정 '멜리사'가 '레몬 밤'이라고도 불린다는 것은 이 책을 보고 처음 알게 되었다. Melissa는 그리스어로 꿀벌(bee)이라는 뜻이고 이 꿀벌 요정 멜리사가 어린 제우스를 양융했다고 한다. 우리가 화장품에서 자주 쓰는 balm은 진통제, 향유라는 뜻으로 쓰이고 위안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착한 일을 많이 한 영혼이 갈 수 있는 낙원의 이름은 엘리시움인데, 이 엘리시움은 애니메이션, 영화, 소설 등에 자주 사용돼서 이미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덧붙여 elysian joy는 극락의 환희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프랑스 파리 시내에 있는 샹젤리제(Champs Elysees)와 대통령 관저인 엘리제궁(Palais de l'Elysee) 또한 여기에서 따온 명칭이라고 한다. 이 외에도 달력과 1년 12달의 유래, 야누스에서 파생된 의미들, 위생의 기원, 미리 알다와 뒤늦게 알다의 기원 등 생각지도 못했던 영어 표현들이 그리스로마신화에서 유래됐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장의 마지막에는 그리스로마 신화 이름 대조표가 있는데 그리스로마 신화에 관심이 있거나 Percy Jackson소설 시리즈 등 그리스로마 신화를 모티프로 한 책을 영어 원서로 읽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2장 성서에서 유래한 영어 표현에서는 영어 단어에 대한 이야기도 많지만 성서에서 기원한 관용구들도 많다. 카톨릭, 개신교 등의 종교를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낯선 표현들도 많고 성서에서 유래되었다고 생각지도 못한 단어들도 많다. 또한 많은 유명 인사들이 성서를 인용하여 연설을 하는 경우가 자주 있는데, 그 예시도 볼 수 있다.


부록으로는 우리가 자주 쓰는 라틴어 관용구가 영어 표현과 함께 나와 있다. 라틴어로 된 명언, 속담, 관용구 등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신화와 성서에서 유래한 영어표현사전>으로 어원과 좋은 라틴어 문장들을 함께 익힐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