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1구역
콜슨 화이트헤드 지음, 김승욱 옮김 / 은행나무 / 2019년 6월
평점 :
[리뷰]제1구역-좀비 사태 이후의 세계
<제1구역>은 소개된 줄거리에 홀려서 고르게 된 소설이다. 전혀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전염병이 전 지구를 휩쓸게 되고 사람들은 감염된 자들과 감염되지 않은 자들로 나뉜다. 물론 세분화하면 그 와중에 상처받은 이들이 여러 형태로 더 존재한다. <제1구역>은 좀비가 퍼지고 있는 급박한 상황이 아니라 좀비 사태가 일어난 이후의 세계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원래 좀비나 괴물 이야기, 아포칼립스 등의 이야기를 좋아하는 내가 선택할 수밖에 없는 내용이다.
책을 고르고 나니 저자가 퓰리처상과 전미도서상을 동시에 수상한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를 쓴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퓰리처 상이나 노벨상을 탄 작품은 약간 재미없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제1구역>을 읽고 나니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도 읽고 싶어졌다. 그만큼 작가가 이야기를 풀어내는 방식이나 일상적인 생활을 공감가게 써 놓은 것이 마음에 들었다.
<제1구역>의 시작은 그야말로 평범하다. 항상 뉴욕에 살고 싶었던 주인공 마크 스피츠(그의 진짜 이름이 아니라 유명 수영선수의 이름이다)가 왜 뉴욕이라는 도시에 푹 빠지게 되었는지 이야기한다. 도시와 거리가 먼 곳에 사는 사람들이 곧잘 생각하는 것처럼, 현실과 다른 것은 그의 세계에 '파멸의 때'가 오고야 말았다는 것이다. 뉴욕에 홀딱 빠지게 해 준 삼촌은 생존자 명부에서 찾아볼 수 없었고 화려한 도시의 모습은 과거가 되고 말았다. 그가 어릴 때 생각했던 것들은 모두 부질없는 계획이 되어 버렸고 일상은 완전히 뒤바꼈다. 그는 성실했고 평범했고 장애물이 있으면 필요한 만큼 노력했다. 이런 것들이 그를 살아 있게 했고 그가 도시 수색대원이 될 수 있도록 했다.
좀비사태가 휩쓸고 난 지구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만큼 끔찍했다. 사람들은 아무것도 모른 상태에서 미친 것처럼 보이는 이들에게 공격을 당했고 감염된 상태려 퍼져나갔다. 이런 식으로 지구는 순식간에 좀비들에게 점령당하고 말았다. 이 사태가 좀 잠잠해지자 사람들은 도시를 다시 재건하고자 노력하기 시작한다. 가장 큰 걸림돌은 좀비들이다. 마크는 열악한 장비를 걸치고 이런 좀비들이 도시 안에 남아 있는지 살핀 후 제거한다. 그 와중에 생존자들이 좀비에게 공격당하고 먹히는 것을 종종 보게 된다.
어쨌든 생존자들은 그나마 깨끗한 맨해튼 섬을 안전하게 만들어 '제1구역'이라고 명명한다. <제1구역>의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암울하다. 사람들은 맡은 역할에 따라 물품을 지급받고 집에서 만든 따뜻한 음식 대신 튜브로 식사를 대신한다. 사람들이 좀비가 된 후 남아 있는 물건들은 유물처럼 되어 있다. 모든 사람들이 평범하게 살았던 그 때를 상상하게 만드는 이 유물들은 생존자들을 우울하게 만든다. 게다가 여기에 사람들의 욕심과 절망, 생존본능, 잔인함, 정치적 의도 등이 뒤섞인다.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를 재미있게 읽었다면, 그리고 좀비물이면서 생각할 거리를 시사하는 소설을 좋아한다면 <제1구역>을 읽어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