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10 영한대역 단편소설 - 토플·편입영어·공무원 영어단어 빨리 외우는 법
Mike Hwang 옮김 / 마이클리시(Miklish)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뷰]마이클리쉬 영어단편소설 모음집으로 영어 공부하기


 


많은 언어학자들, 그리고 다개국어를 익힌 사람들이 언어를 익힐 때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바로 '다독' 입니다. 다양한 맥락을 통해서 단어와 문장을 익히고, 어휘력을 늘리기 가장 좋은 방법이 '읽기'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영어가 어느 정도 수준에 오르고 나면 원서 읽기를 시도하는데, 이게 외국어다 보니까 생각처럼 잘 읽히지 않습니다. 책에 따라서 한 페이지 넘어가는 것도 힘들다 보니 초반에 조금 읽다가 그만 두기 일쑤이고 모르는 단어나 문장 표현을 일일이 다 찾기에는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됩니다.


 


마이클리쉬에서 나온 <영한대역 단편소설>은 이런 독자들을 위한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영문 소설 중 문학적으로 뛰어나다는 평을 받는 단편 소설 10 작품을 뽑아 직독직해를 하면서 읽을 수 있게 만든 책입니다. 우선 단편 소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편소설보다 더 빠른 시일 내에 끝내고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처음부터 장편에 도전하다가 몇 페이지 읽다 말고 포기하는 것보다는 이렇게 단편으로 시작하여 조금씩 독해 분량을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긍정적인 순환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처음에 영어 소설 읽기를 시작할 때 어떤 작품부터 골라야 할지 고민이 많이 됩니다. 초보자들은 어느 작품이 자신에게 적절한 난이도인지 구분하기가 쉽지 않고, 내용도 모르고 책을 골랐다가 지루해서 포기해버리고 마는 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영한대역 단편소설>은 1편부터 10편까지 '난이도 순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원서를 읽을 때 난이도가 쉬운 것부터 읽고 싶은 분들은 이 책을 처음부터 차례대로 읽으면 됩니다. 반편 재미를 추구하는 분들, 짧은 글부터 읽고 싶은 분, 소설 취향 별로 읽고 싶은 분 등이 있을 겁니다. 그 모든 분들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소설을 골라 읽을 수 있도록 추천순서가 나와 있습니다.



그 외에도 단어장을 효율적으로 만드는 방법, 이 책을 여러 번 읽으면서 공부하는 방법, <영한대역 단편소설>에 가장 많이 언급되는 단어 100개, 기간에 따른 진도표 등이 맨 앞부분에 나와 있습니다. 이 책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모르는 분들은 첫 페이지부터 차근차근 읽으면서 책의 가이드라인을 따라가도 좋습니다. <영한대역 단편소설>에 나오는 단편 소설로는 오헨리의 <20년 후>, 에드거 앨런 포 <고자질쟁이 심장>, 버지니아 울프 <큐 국립 식물원> 등이 있습니다. 다들 명작으로 꼽히는 작품입니다.


한 작품을 시작하기 앞서 주요단어들이 먼저 나와 있습니다. 이 중 대부분의 단어들이 낯설다면 어느 정도 암기하고 책을 읽기 시작하는 것도 좋습니다. 이 책이 다른 영어 독해 책과 다른 점은 바로 한국어 해설이 '직독직해'로 나와 있다는 점입니다. 아마 모국어가 한국어인 사사람들이 실제로 영어 원서를 볼 때 이런 방식으로 해석하게 되므로, 그 방법을 보여주기 위해 이렇게 구성한 것 같습니다. 장점은 영어 독해하는 방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고, 단점으로는 해설이 조금 정신 사나워보인다는 점입니다. 옆에는 작은 글씨로 문법요소가 나와 있는데, 책 페이지를 좀 더 크게 만들어 문법적인 측면을 맨 아래 썼으면 좋았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단편 소설 하나가 끝나면 저자 나름의 평이 나와 있는데, 저자의 개인적 경험이 가감없이 나와 있어 은근 공감가는 내용이 많습니다.


<영한대역 단편소설>은 영어 원서를 잘 읽어나가는 분에게는 별로 필요가 없습니다. 영어 원서 읽기를 시도해보고 싶지만 방법을 잘 몰라쉽게 도전하지 못하는 분, 직독직해를 어떻게 해야할지 감을 잡지 못하는 분, 영어 원서를 읽을 때 모르는 단어가 많은데 일일이 찾다보면 하루를 꼴딱 새는 분들에게 추천하는 책입니다. 다들 마음 먹은 대로 영어공부를 열심히 하셔서, 원하는 성취를 이루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