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론 (무삭제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20
존 스튜어트 밀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뷰]자유론/존 스튜어트 밀-아아비리그 필독 고전 읽기


현대 지성에서 클래식 시리즈로 이번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와 자본주의 정신> 그리고 마지막으로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을 선 보였다. 철학에서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자유를 논할 때, 그리고 공리주의에 관해서 논할 때 존 스튜어트 밀은 빼 놓을 수 없는 철학자이다. 그래서 아이비리그를 비롯하여 전 세계 유수의 대학들이 <자유론>을 필독 도서로 지정하고 있다. 그러나 내가 이 책을 읽게 된 이유는 명문대의 필독 도서라서가 아니라 '우리가 누리는 자유는 <자유론>에 빚지고 있다'라는 소개글이 매우 인상깊었기 때문이다. 내가 누리고 개인의 자유에 대한 국가의 보장 등을 생각해보니 우리가 머리 속에서 당연하게 떠올리는 사회적 자유에 대한 기본 원칙이 모두 그의 이론에서 나온 것이었다.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을 축약된 버전, 사회적 자유의 발전 과정(마이클 샐던의 정의론에서도 존 스튜어트 밀의 이론을 본 것 같다.) 등으로 접한 적은 많았는데 왜 그의 저서를 직접 읽어보려고 하지 않았는지 문득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유론>에서는 존 스튜어트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은 물론이고 요약본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가정적 배경까지 알 수 있었다.


그가 살았던 시기는1806-1873년, 산업혁명이 일어나고 계몽주의 사상이 발생했으며 영국에서 사회, 경제, 정치적으로 많은 변혁이 일어났다. 스코틀랜드 출신의 철학자이며 경제학자였던 아버지 밑에 태어나 아주 어릴 때부터 엄격한 조기교육을 받은 그의 이력은 어마어마하다. 조기교육을 했다고는 하나 3살 때부터 그리스어를 배워 8살부터 헤로도토스와 플라톤의 저작을 읽었다고 한다. 8살부터는 라틴어를 배워 오비디우스 같은 고전을 읽고 12살부터는 스콜라 철학의 논리학을 공부하여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저작들을 원어로 읽고 13살 때는 애덤 스미스와 데이비스 리카도의 저작을 통해 정치경제학을 공부했다는데, 완전히 천재의 행보이다. 고등학교 때 이런 철학 이론을 쉽게 풀어놓은 비문학 글을 읽고도 멍 때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10대 초반에 이미 이 수준에 다다랐으니 <자유론>, <공리주의>같은 저서가 나와도 이상하지 않다.


또 재미있었던 것은 24살 때 존 테일러의 부인이자 여성의 참정권 운동을 벌인 해리엇 테일러를 만나 교제했고 오랫동안 지적 교류를 하면서 지내다가 남편이 죽자 그녀와 교제한지 21년 만에 결혼하여 해리엇이 아비뇽에서 폐출혈로 죽을 때까지 함께 살았다는 것이다. 밀 또한 말년에 프랑스에 머물다가 아비뇽에서 죽었고 부인과 나란히 묻혔다. 부인의 영향인지 그는 여성의 해방과 여성의 참정권을 주장하며 평등만이 미덕들과 능력을 계발할 수 있게 해 주므로 여성과 남성이 동등한 자유를 누려야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밀은 자유론의 맨 앞 부분, '헌정사'에서 부인의 뛰어난 지혜를 통해 동기부여와 도움을 받았다며 그녀의 공헌을 말하는데 부인에 대한 감정이 얼마나 깊었는지 엿볼 수 있다.


이 책은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 외에 맨 앞 부분에서 존 스튜어트 밀이 살던 사회적 배경과 함께 그의 저작과 사상을 간략히 정리해 놓았다. 만약 이런 책을 읽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면 '해제'부분을 꼼꼼히 읽고 <자유론>을 본격적으로 읽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밀은 기본적으로 인간이 자유를 향할 수 있어야 개개인의 개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천부적인 재능을 발전시켜 나가야 최대의 효용을 얻는 것이라 했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 직접적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개인의 자유를 자유롭게 누를 수 있으며 직접적인 피해를 줄 때에는 사회가 개입해야 한다고 보았다. 만약 간접적인 피해라면 정부는 간섭할 수 없다고 보았는데 그 이유는, 이런 상황에까지 간섭하다 보면 개인의 자유를 정부가 제한하는 폐해가 생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 하였다. <자유론>에서는 자신의 이론과 함께 상세한 예시도 함께 들어가 있어서(사회가 개인에 대해 가지는 권한의 한계에서는 금주법이나 미국 대중의 사례 등을 들었다) 생각보다 그의 책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서 놀랐다. 추상적으로, 현학적으로 이론을 전개해 나간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자세한 예를 들어 되도록 자신의 이론을 정확하게 피력하려고 노력한 부분을 곳곳에서 볼 수 있었다.


우리는 모두 존 스튜어트 밀에게 '자유'를 빚지고 있다. 우리가 현재 누리는 이 달콤한 자유가 어디로부터 왔는지, 이 이론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궁금하다면 날 잡고 <자유론>을 제대로 읽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