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그걸 틀렸을까? - 오답의 심리
싸이링크 지음 / 일센치페이퍼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리뷰]나는 왜 그걸 틀렸을까?-오답정리를 제대로 하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일타강사가 말한다. 이론을 공부하고 문제를 풀고, 채점하고 틀린 문제는 오답정리를 하라고. 문제집을 풀다가 모르는 문제를 알게 되는 과정에서 많은 것을 얻게 된다고 입이 닳도록 이야기한다. 그러나 말이 쉽지 대부분의 학생들은 '오답정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른다. 오답정리를 하고 있다 하더라도 제대로 된 오답정리가 아니다. 특히 수학, 과학의 경우 어떻게든 해설지를 보고 오답정리를 하긴 하지만 국어의 경우 어떻게 오답정리를 해야할지 난감해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공부는 틀리는 것을 줄여가는 과정, 오답정리를 제대로 하지 않고서 실력을 올릴 수는 없다.

 

 

그래서 고등학생 자녀를 둔 엄마이자 산업 및 조직 심리학 과정을 공부하는 학생인 저자가 심리학을 이용한 '오답정리 전문 책'을 냈다. 바로 <나는 왜 그걸 틀렸을까?>라는 책이다. 나는 왜 그걸 틀렸을까 하고 고민하고, 옳은 답을 고를 수 있도록(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생각의 구조를 바꿔가는 과정이 바로 올바른 오답정리이다. 오랫동안 공부를 하고, 학생들을 가르쳐온 결과 나도 나름대로 학생들에게 올바른 오답정리를 하는 단계를 만들었는데 바로 다음과 같다.


1. 해답을 보지 않고 옳은 답 고르기

2. 해답을 보고 틀린 부분, 옳은 답 확인

3. 내가 왜 그걸 틀렸는지 이유 찾기

4. 옳은 답을 고르려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 해결책 모색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1, 2번은 보통 쉽게 한다.) 바로 3번과 4번 과정이다. 특히 3번 과정을 겪지 않고서 내 생각의 오류를 수정하여 옳은 답을 고를 수 있는 알고리즘으로 갈 수는 없다. 또한 옳은 답을 고르는 알고리즘 구조로 생각의 경로를 바꾸지 못한다면 과거에 틀렸던 문제와 비슷한 문제를, 또다시 비슷한 방식으로 틀리게 될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 대부분 내가 왜 그걸 틀렸는지 그 이유를 쉽게 찾지 못한다. <나는 왜 그걸 틀렸을까?>의 훌륭한 점은 바로 그 부분을 정확히 짚어내어 심리적으로 분석하고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 놓은 것이다.

 


예를 들면 불확실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성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라고 하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부정확한 것을 부정적인 것으로 생각하여 불안해하고 스트레스를 겪는다. 하지만 공부를 할 때에는 이 점이 매우 중요해진다. 우리가 풀지 못하는 많은 문제들이 이런 불확실한 상태의 단서를 주고 학습자가 끼워맞추는 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나는 왜 그걸 틀렸을까?>에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 수준이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에 대해 적어 놓았다. 이 설문조사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 우유부단함, 역기능적 신념, 정보 부족, 정보 불일치 등에 대한 항목을 측정했는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강한 사람은 진로 결정에 대한 정보가 불확실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회피하지 않는 특성을 보였다고 한다.

 

<나는 왜 그걸 틀렸을까?>는 불확실성과 같은 문제상황에 대해서만 서술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어려운 문제에 부딪혔을 때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좋은지 문제를 직접 예시로 들고 해결 방법에 대해 꼼꼼히 적어 놓았다. 이 책에 나온 것들 대부분이 교수학습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할 때 중요하게 여기는 것들이었고, 학습자들이 이 책을 보면서 적용하기 좋게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특히 이론과 예제를 제대로 익힌 다음 다양한 유형을 풀 때, 내가 알고 있는 문제와 비슷한 유형을 분류하고 비교, 대조하면서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한데 그 부분에 대해서도 충분히 서술했다.



 <나는 왜 그걸 틀렸을까?>의 장점은 교수자들만 알고 있는 교육학 이론들을 학습자들이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예시를 들어주고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만약 틀린 문제를 매번 틀리고 있는데, 쉽게 고쳐지지 않는다면 이 책을 정독하고 공부 방법을 정교하게 바꿔보는 것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