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와 손만 가지고 일할 때 우리는 행동의 결과에 쉽사리 의존하게 되며 그 결과가 구체적으로 눈앞에 드러나지 않을 때 포기하기 쉬워집니다. 마음의 고독 속에서만 이 세상의 고통에 진실로 귀를 기울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고독 속에서는 그 고통이 생소하고 낯선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의 고통임을 직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P67

환대는 무엇보다 낯선 사람이 들어와서 적이 아닌 친구가 될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을 만들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사람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자리를 그들에게 주는 것입니다. 환대는 사람을 우리 옆으로 데려다놓는 것이 아니라 선을 그어줌으로써 침해당하지 않는 자유를 그 사람에게 주는 것입니다. 환대는 선택할 다른 대안이 없는 구석으로 이웃을 몰고 가는 것이 아니라 폭넓게 선택할 수 있도록 장을 열어 주는 것입니다. - P85

치유란 주인이 손님의 이야기를 받아주고 충분히 이해해주는 것을 통해서 낯선 방문객이 주인의 시각으로 자기 나름의 독특한 길을 찾아낼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그 길은 지금의 자신이 되기까지 거쳐왔던 길이며 앞으로 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주는 길입니다. - P1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평가의 독서법 - 분열과 고립의 시대의 책읽기
미치코 가쿠타니 지음, 김영선 옮김 / 돌베개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쏟아지는 책 중에서

꼭 읽어야 하는 책을 선택하는 것은 어렵다.



좋은 책의 기준은 모호하며,

각자의 취향에 따라 호불호가 존재한다.



그렇기에 '책 읽기'라는 철저히 홀로 수행하는 행위는

자칫 자신만의 세계에 빠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럴 때 서평집은 책의 정보와 그 책을 통한 경험을

미리 독자들에게 알려주고 느끼게 해주어 선택의 폭을 넓게 한다.



서평가들의 서평가라 불리는

뉴욕타임스의 서평가 '미치코 가쿠타니'.



저자는 오랫동안 축적해 온 독서의 힘을 통해

현재의 세계를 해석한다.



99장의 챕터이지만 여러 권의 책이 소개된 곳도 있기에

실제로 100권이 넘는 방대한 서평이 담겨있다.



독자들은 이 서평집을 통해 자신이 읽었던 책을 새롭게 대할 수 있고,

읽지 못했던 책을 미리 엿볼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정하는 고전 중의 고전도 있지만,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보물과 같은 책들도 다수 등장한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또 다른 책을 만나며,

또 다른 세상과 사람을 만날 수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amoo 2023-10-05 11: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을 구경하면서 구매의사를 확인하기 위해 몇 페이지를 봤습니다만....그냥 패쓰했습니다. 기대했던 책이랑은 완전히 다른 컨셉의 글이더군요. 페이퍼에서 들었다 놨던 책의 리뷰를 보니 반갑네요..^^
 

영적인 삶을 산다는 것은 무엇보다 먼저 우리가 어정쩡하게 매달려 있는 우리 안의 양극점을 의식하게 되는 것을 뜻합니다. - P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음을 이기는 독서 - 마지막 순간까지 함께하고 싶은 인생의 책들 쏜살 문고
클라이브 제임스 지음, 김민수 옮김 / 민음사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의 마지막이 되면,

삶의 최우선을 선택한다.



끝이 가까워질 때,

가장 최선이 무엇일까를 고민한다.



호주 출신의 자서전 작가이자 시인이며 비평가인

클라이브 제임스(Clive James).



저자는 2010년 백혈병 확진을 받은 뒤,

자신의 삶을 정리하며, 그의 기억들을 글로 남기기를 원한다.



출간을 위해 기획된 글이 아니라,

꺼져가는 삶에서 의미를 붙들기 위한 치열한 소망의 글쓰기다.



모든 것을 내려놓은 시점부터 엮은 글들은

정직하면서도 매력적이며 생명력이 있다.



저자는 책을 통해 사회적 이슈와도 소통한다.

시간과 공간을 거스르는 글의 매력이 찬란하게 펼쳐진다.



처음으로 접하는 작가들도 다수 있을 수 있기에 생소하다.

하지만 그만큼 독서의 폭을 넓혀주는 계기도 된다.



자신의 삶이 꺼져가는 순간에도 비평가로서의 본분을 잊지 않는 저자.

죽음보다도 훨씬 오랫동안 기억될 그의 글은 그렇기에 큰 울림으로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깨와 백합 그리고 독서에 관하여 쏜살 문고
존 러스킨.마르셀 프루스트 지음, 유정화.이봉지 옮김 / 민음사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라는 경험은 참으로 신비롭다.

다양한 저자를 통해 현실을 뛰어넘는 경험을 한다.



때로는 책이 주는 메시지에 집중되기도 하고,

어떤 때는 책을 읽는 행위 자체에 기쁨을 느끼기도 한다.



어떤 매개체든 사람에 따라 경험하는 바가 다르겠지만,

독서만큼 독자들의 반응이 다를 수 있을까.



존 러스킨(John Ruskin)의 《참깨와 백합》은

1864년의 대중 강연을 묶은 책이다.



아무래도 오래전의 글이다 보니

당대의 세계관이 많이 반영되어 있다.



첫 번째 강연인 '참깨: 왕들의 보물'은

독서의 의미와 중요성, 방법을 다룬다.



저자는 독서의 유용성을 강조하며,

유익한 책들을 왕들의 보물로 비유한다.



두 번째 강연인 '백합: 여왕들의 화원'은

여성의 역할과 교육의 범위를 말한다.



저자는 여성에 대한 편견을 지적하지만,

그의 글에 남성우월적인 관점이 보이기도 한다.



함께 엮어져 있는 '독서에 관하여'라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저자,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의 글이다.



프루스트는 러스킨의 메시지를 소개하길 원했고,

러스킨의 《참깨와 백합》을 번역했으며, 이 글은 옮긴이 서문이다.



프루스트에게 있어 독서는 매우 소중한 경험이었지만,

러스킨의 독서관에 있어 다소 반감을 가진다.



프루스트는 러스킨의 견해에 일정 부분 공감하지만,

독서에 대한 지나친 맹신은 경계한다.



독서는 옳고 그름에 관한 명확한 답을 제시할 때도 있지만,

오히려 독서의 경험이 주는 아름다움에 대해 프루스트는 주의를 기울인다.



우리는 러스킨과 프루스트를 통해 '독서'의 유용성과 즐거움을 돌아본다.

어떤 책이든 그것을 어떻게 수용하고 해석하며, 적용할지는 독자들의 몫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