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간의 화살, 시간의 순환 - 지질학적 시간의 발견에서 신화와 은유 ㅣ 아카넷 한국연구재단총서 학술명저번역 506
스티븐 제이 굴드 지음, 이철우 옮김 / 아카넷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시간을 인간의 정신 안에 위치시킨 이는 아우구스티누스였다. 폴 리쾨르는 이런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줄거리 구성을 연결시켜 시간은 이야기를 통해 형상화 된다고 했다. 리쾨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 이론을 Ⅰ,Ⅱ,Ⅲ으로 나누어 꼼꼼하게 설명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미메시스Ⅲ이다. 이야기로 형상화된 시간은 독자가 이야기(시간)를 읽음으로써 비로소 의미 있는 이야기(시간)가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질학자들은 시간을 어떻게 보았을까?
‘시간의 화살 시간의 순환’은 시간에 대한 지질학자들의 은유다. 말 그대로 '시간의 화살'은 직선적 시간관으로 절대적인 유일성을 가지고 반복되지 않는 시간을 의미한다. 필연적인 목표를 가지고 나아가는 균질화된 근대적 시간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반면 '시간의 순환'은 내재적 법칙성을 가지고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시간을 말한다. 물론 이때의 순환은 똑같은 반복이 아니라 차이의 반복이다. 시간의 본질을 상반되게 표현한 이 이분법적인 은유 중 어느 쪽이 옳은가? 시간은 화살처럼 방향성도 목적성도 없이 계속 나아가기만 하는가, 혹은 순환하는가?
이런 이분법적 사고의 전통은 고대 그리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스티븐 제이굴드가 말하듯이 ‘이분법은 참과 거짓의 문제가 아니라 유용하거나 오도하거나의 문제이다.’ 우리는 늘 두 가지 중 어느 한 가지를 선택해야하는 입장에 놓이지만 세상 만물을 모두 이것 아니면 저것으로 나눌 수 없듯이 시간 역시 직선이냐 원이냐 선택적으로 말 할 수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시간은 과거에서 현재를 거쳐 미래로 즉 앞으로 앞으로만 나아가는 것으로 알고 있다. 물론 나도 내 경험세계에서의 생물학적 시간과 근대적 시간관에 너무나 익숙한 탓에 거의 직선적 시간만을 인식하고 살고 있다.
시간의 본질을 묻는 이런 이분법에 대해 결론부터 말하자면 시간은 화살만도 아니고 순환만도 아니다. 또 시간은 화살이고 순환이다. 그러니까 어느 한 쪽을 선택할 수 없다는 얘기다. 이것은 하체는 하나고 상체가 둘인 샴쌍둥이를 한 사람이라고 할 수도 없고 두 사람이라고 할 수도 없으며 1.5인이라고는 더더욱 말할 수 없는 것과 같다. 어쩌면 시간은 이렇게 ‘아니다’라는 부정의 형식으로밖에 설명할 수 없는 것, 있는 것은 분명한데 말 할 수 없는 것, 다른 것들을 측정하는 도구이면서 동시에 측정되어지는 존재인지도 모르겠다.
시간의 이런 아포리아를 해결하기 위해 스티븐 제이굴드는 영국 지질학계에서 유명한 한 명의 악당과 두 명의 영웅을 불러온다. 악당의 이름은 토머스 버넷이고 영웅의 이름은 제임스 허튼과 찰스 라이엘이다. 이들은 차례대로 17, 18, 19세기 인물로 지질학이라는 학문이 나오기도 전에 지질학적 시간인 ‘심원한 시간(deep time)’을 발견한 이들이다. ‘심원한 시간’은 인간의 역사에 비해 장구한 지구의 나이를 표현한 말이다. 책에 있는 말을 그대로 옮겨 온다면 ‘지구의 나이를 1야드(91.44cm)의 길이로 간주했을 때 손톱 다듬는 줄로 가운뎃손가락의 손톱을 한 번만 밀어버리면 인간의 역사는 모두 지워진다.’
지질학도들은 어떻게 지구의 나이를 수십억 년이라는 엄청난 규모의 ‘심원한 시간’으로 인식하게 되었을까? 제이굴드는 한 명의 악당 그리고 두 명의 영웅이 쓴 책과 표지로 사용된 그림 등을 분석하는데 해석학자에 맞먹는 텍스트 해독능력을 보여준다. 직선적 시간관 안에 내재되어 있는 순환적 시간을 읽어내는가 하면, 잘못 알려진 사실들을 바로잡기도 하고, 우습고도 멋진 문장으로 문외한들을 사로잡기도 하면서 자연은 시간의 화살과 시간의 순환 둘 다에게 호의적이라는 결론을 이끌어 낸다. 즉 자연은 역사적 고유성이라는 시간의 화살과 항구적인 내재성이라는 시간의 순환을 모두 요구한다는 것이다.
제이굴드의 책을 끝으로 ‘시간과 역사’에 대해 참고해야할 책읽기를 마쳤다. 스티븐 호킹의 <시간의 역사>, 브라이언 그린의 <우주의 구조> 등은 절반도 이해를 못한 듯하다. 그러나 시간과 공간이 따로국밥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게 깨우친 듯하다. 자끄 모노의 <우연과 필연>을 읽으면서 인간은 단백질의 집합체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이 가장 놀라웠다. 보르헤스의 <픽션들>과 <러브크래프트 전집> 2권에서는 과학적 시간관이 문학작품 속에 어떻게 형상화되는지 살펴보는 계기가 되었다. 달라이 라마의 <과학과 불교>에서 나는 본문과는 무관하게 달라이 라마들이 어떻게 교육을 받는가 하는 것에 더 흥미를 느꼈고 부럽기까지 했다. 가장 쉽고 편하고 읽은 것은 'E=MC2' 과 <시간의 화살>이었고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폴 리쾨르의 <시간과 이야기>였으며, <시간의 화살 시간의 순환>은 가장 신선했고 제이굴드의 학자적 태도에 탄복했지만 화살도 순환도 아닌 결론에 이를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양비론자 같아 뒷맛이 개운찮다.
부수적으로 성경의 전도서를 읽으며 불교의 가르침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하느님이 마음에 드는 사람에게는 슬기와 지식과 기쁨을 주시고 눈 밖에 난 죄인에게는 모아서 쌓는 수고를 시켜서, 그 모은 재산을 하나님 마음에 드는 사람에게 주’신다는 말을 읽으며 크게 웃었다. 보르헤스의 <모래의 책>을 다시 읽어보는 계기가 되었는데 보르헤스의 시간관을 엿본듯해서 나름 뿌듯했다. 2년여에 걸쳐 읽은 역사와 관련된 책들. 결국 모든 책의 종착은 나, 즉 사람이었고 사람의 살아있음, 삶이었다. 시간을 사는 나는 내 삶의 저자이며 동시에 유일한 독자라는 것. 이제 어떻게 내 삶을 쓸 것인가가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