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자에 읽은 책입니다요. 정리해 놓고 보니 참 맥락없이 읽었군요 

 

 

 

 

 

 

 

 

 

 

 

 

 

 

<위대한 왕>

서경식의 <내 서재 속의 고전>을 읽고 처음 알았다. <위대한 왕>에 서경식의 발문이 게재되어 있는데 <내 서재속의 고전>에 나오는 내용과 같은 것 같다. 서경식의 상찬과 달리 소생의 감상은 그냥 그렇다. 요즘같이 스펙타클한 드라마가 차서 넘치고 있는 마당에 스토리가 너무 차분해서 밋밋하다. 그래도 그게 그런대로 또 읽을만은 하다. 인간들은 아름답고 광활한 만주의 타이가 숲을 파괴하고 위대한 왕은 결국 인간에게 죽임을 당한다. 말하자면 이 소설은 인간 문명에 의해 파괴되고 멸절된 자연과 호랑이에게 진혼곡이자 애가다. 최민식 주연의 <대호>가 생각난다. 위대한 왕의 덩치는 아마 ‘대호’의 그 호랑이 정도일 것이다.

 

 

 

 

 

 

 

 

 

 

 

 

 

 

 

<암흑을 저지하라>

독자 제위께옵서 이구동성으로 재미가 철철넘쳐 줄줄흐른다고 침을 질질흘리며 말씀하셔서 볼 마음이 동했다. 더하여 왠지 장서가이자 수집가로서 불새 시리즈를 확보해야만 할 것 같은 생각도 들었다. 충분히 재미있지만 소생 취향에 최고는 아닌 것 같다. 주인공이 고고학자이기는 하지만 고대 로마에 너무 잘 적응을 하고 결국에는 왕국의 막후 실력자가 되어 어느정도 암흑을 저지하기까지 하다니 놀랍다. 뭐 소설이니까 양해된다. 개인적으로 우리의 주인공이 벨리사리우스 장군을 회유하여 벨리사리우스 장군이 유스티니아누스 황제를 배신하고 조국인 비잔틴 제국에 대항하여 동고트 왕국을 위해 싸운다는 설정은 조금 놀랍다. 벨리사리우스로서는 대단히 치욕적인 설정일 것이다. <중세1>의 표지에 벨리사리우스의 얼굴이 나온다.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

승효상을 처음 알게 된 것이 언제인지 모르겠다. 우리나라 성씨에 승씨가 있다는 것을 그 때 처음 알았다. 아국 건축계의 거목인 김수근 문하에서 배웠고 이른바 ‘빈자의 미학’으로 유명하다. 같잖은 소생은 승효상이 건축의 지표로 삼고 있다는 이 ‘빈자의 미학’이라는 문구가 조금 불편하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賢哉라 回여, 一簞食一瓢飮으로 在陋巷하면서도 人不堪其憂하나 回也不改其樂이니 賢哉라 回여(어질구나 회여, 한소쿠리 밥과 한 표주박 물로 누추한 거리에 살면서도 사람들은 그 근심을 견디지 못하는데 회는 오히려 그 기쁨을 고치지 아니하니 어질구나 안회여)

 

‘빈자의 미학’이란 뭐, 안회쯤은 아니라도 그래도 빈한하지만 고고한 선비가 말하는 것이 어울릴 법하다는 생각이다. 학식은 높으나 부유한 지주 선비가 빈자의 미학을 운운하는 것은 감정적으로 다소 거부감이 생기는 것이다. 오늘날 숭효상은 성공한 건축가여서 그가 대표로 있는 이로재건축사무소는 거의 국제적인 대기업수준이다. 승효상이 유홍준의 집 ‘수졸당(守拙堂)’을 공짜로 설계해 주자 유홍준이 그 답례로 이로재(履露齋)의 현판을 그에게 주었다고 한다.

 

 

 

 

 

 

 

 

 

 

 

 

 

 

 

<일요일의 인문학>

25세 연하의 박정연 시인과 결혼한 장석주 시인의 책이다. 일전에 출간된 <우리는 서로 조심하라고 말하며 걸었다>는 책을 읽어보지는 못했지만 제목이 마음에 들었다. 배려, 따뜻함, 차분함 같은 것들이 느껴졌다. 그런데 <일요일의 인문학>을 읽는 느낌은 조금 다르다. 초입에서는 시인이 자꾸만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하는 식으로 불초 소생을 가르치려고 하시는 것 같아 마음이 편하지가 않았다. 뒤로 갈수록 훈계조의 이야기는 점점 없어졌지만, 누구나 자기를 자꾸 가르치려 하면 기분이 좋지는 않은 것이다. 자고로 선비는 불치하문일뿐더러 가르침 받기를 꺼려서는 안되는 것이관데 소생은 천품이 축생이니 어찌할 수가 없다. 읽다가 눈에 확 들어오는 것은 소장도서가 삼만 권이라는 이야기와 경기도 안성 호숫가에 있다는 시인의 집필실인 ‘수졸재(守拙齋) 이야기. 유홍준의 집은 일명 ’수졸당이라고 한다.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여기 알라딘 마을에도 마린보이 한창훈 작가를 흠모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시는 줄로 알고 있다. 불초하고 아둔한 소생은 바다사나이 한창훈의 책을 이제야 처음으로 읽었다. 온통 회 이야기다. 소생이 어릴 때 먹은 회라고는 아나고 밖에 없었는데 그 눈처럼 하얀 놈을 붉은 초고추장 듬뿍 찍어 오드득 뽀드득 씹어먹으면 달달메콤한 고추장 맛 사이로 고소한 아나고 향이 입안 가득했다. 요즘도 아나고 회가 있는지 모르겠다.

 

농어, 우럭, 광어, 소라, 성게, 해삼, 가자미, 참돔, 돌돔, 감성돔 등등등 이름만 들어도 군침 돌게하시는 어족들이 속속 계속 등장한다. 새꼬시에 소주 일잔 생각이 안 날수 없다. 참고로 광어와 도다리 구분법. 도다리, 가자미, 넙치는 생긴 것이 비슷해서 헷갈린다. 셋다 가자미류다. 넙치는 광어고, 가자미는 가자미다. 참가자미, 줄가자미, 용가자미, 범가자미, 돌가자미 등이 있다. 돌가지미를 도다리라고 부른다. 그런데 생김새가 비슷하다보니 다른 가자미도 그냥 도다리라고 한다. 결국 도다리=가자미다. 광어와 도다리 구분법은 눈알이 어느쪽에 있느냐에 따라 좌도우광이니 우도좌광이니 하는데 이것도 보는 방향에 따라 다르고 꼭 그런 것도 아니라고 한다.

 

 

 

 

 

 

 

 

 

 

 

 

 

 

 

<장정일, 작가>

일전에 장정일의 <악서총람>을 읽고 팬심이 발동해서 이 책도 구입해서 읽었다. 장정일의 다양한 방면의 작가들 43인을 만나 인터뷰한 내용이다. 김어준, 윤광준, 우석훈, 고미숙, 조용현 등 몇몇을 빼고는 거의 가 다 초면이다. 장정일이 애정하고 있는 희곡 작가가 많은 것도 한 이유다. 도서출판금지 가처분신청이니 뭐니 해서 법원 판결에 의해 초판본 여러군데가 삭제되고, 작가의 월급이 압류되고, 작가가 자신의 책을 인터넷에서 무료로 배포 하는 등등 논란이 되고 있는 <제국의 위안부> 저자 ‘박유하 편의 일부를 옮겨본다.

 

“위안부 문제에 관한 한 의 새로운 시각이나 연구도 ‘일본은 나쁜 놈’이라는 사실은 바뀌지 않는다는 역설을 신봉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들은 ‘똑 같은 진실이라 하더라도 어떤 진실은 값어치가 있고 어떤 진실에는 값어치가 없다’고 생각한다. 저런 사고 구조로 무장하고 이견을 틀어막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해주고 싶다. ‘진실’에는 ‘진실’이라는 값어치가 있다.”(p29)

 

 

 

 

 

 

 

 

 

 

 

 

 

 

 

 

여기서부터는 자고로 읽고 있는 책이다. 언제 어디쯤 읽고 있었다는 기록을 남긴다는 의미로 몇 자 적어본다. <로마제국쇠망사6>은 현재 스코어 414쪽을 읽고 있다. 동로마 제국은 이제 거의 밧데리가 다 되었다. 서유럽의 군사 원조를 얻기 위해 비잔틴의 황제들이 애처로운 구걸 외교를 펼치고 있다. 지난 페이퍼를 들춰보니 2016. 1.19일에 223페이지를 읽고 있었다. 하루 평균 3페이지 정도 읽은 게 된다.

 

호기롭게 시작했던 <중세1>은 현재 진도 70쪽을 읽고 있다. 2016. 1.19.에는 59쪽을 읽고 있었는데 두달 동안 거의 진척이 없었다. 중세는 결코 암흑시대가 아니었다는 이야기만 기억에 남아있다. <중세1>표지의 중앙에 배치된 인물은 동로마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이고 그 오른쪽 뒤편의 인물이 벨리사리우스 장군이다. <암흑을 저지하라>에 등장하는 그 벨리사리우스다.

 

<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를 읽고 역시 호기롭게 시작한 <현대 중동의 탄생>은 지금 86쪽을 읽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이스라엘,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같은 나라들은 1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던 나라였다고 한다. 오스만 제국 해체되면서 새로 생겨난 국가들인데 현대의 이 문제많은 국경이 당시 영국, 프랑스 등 몇 나라 지도부가 책상에 앉아 자기들 마음대로 뚝딱 만들어 냈다는 것이다.

 

 

 

 중앙에 후광 뒤집어쓰고 계신 분이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뒤에 계신 분이 벨리사리우스 장군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6-03-12 2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툼한 책이네요.^^
붉은돼지님, 즐거운 주말 되세요.
제 서재에서 퀴즈 준비합니다.^^

붉은돼지 2016-03-14 14:54   좋아요 1 | URL
앗! 어제는 바빠서 서니데이 님 퀴즈를 못 봤습니다. ㅎㅎㅎ
앞으론 열심히 보겠습니다. ^^

책읽는나무 2016-03-13 07: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짝짝짝!!
응원합니다^^

붉은돼지 2016-03-14 14:55   좋아요 1 | URL
어머! 감사합니다. ^^
앞으로도 열심히 읽겠습니다. ~

아타락시아 2016-03-13 17: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 많이 읽으시네요. 근데, 중세 표지 두 명이 많이 닮았네요..^^

붉은돼지 2016-03-14 14:58   좋아요 1 | URL
전투마법사님 사실 뭐 많이 읽는 편은 아닙니다. 이 페이퍼에 올린 책들도 지난 2~3월 동안에 읽은 것들입니다.
유스티니아누스는 똘똘해 보이고 벨리사리우스는 조금 우락부락해 보이는군요..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