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저녁을 먹고 마트에 갔다가 한 건 올렸다. 한 건이라고 해서 무슨 복권 당첨이나 초특가 할인품 득템 같은 걸 상상하시면 곤란하다. 소생이 하는 일이 그리 쓸모있는 것일 리 없다. 항상 그렇듯이 별 쓸데없는 그런 짓거리다. 경상도 말로 흔히 ‘저지래’라고 한다. 소생은 마트에 가면 반드시 수입맥주 코너를 둘러본다. 마트에 갈 때면 ‘아! 지금 집구석에 필요한 게 뭐더라? 계란이 떨어졌나? 양파는 남아있던가?’ 뭐 이런 나름 살림에 도움될 만한 생각은 눈곱만치도 콧털만치도 전혀 없고 오직 ‘아! 오늘 수입맥주 코너에 새로 들어온 놈이 있을라나?’ 이런 한심한 생각 뿐이다.
소생이 맥주를 애호해서는 아니다. 아시다시피 소생은 라벨 수집가다. 아내는 소생의 취미를 아마 한심하게 생각하고 있는 듯 하지만 (‘참 쓸데없는 짓도 되우도 하고 있네’ 라고 생각하고 있는 듯 하다. 소생도 한번씩 스스로를 돌이켜보면 ‘아이참... 내가 참 쓸데없는 짓을 많이도 하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래도 간섭을 하거나 말리거나 하지는 않는다. 다 호상간에 이해관계가 오묘하게 얽혀있기 때문이다. 소생은 라벨을 원하고 아내는 맥주 마시는 것을 좋아한다. 소생이 라벨 때문에 이런저런 가지가지 수입 맥주를 구입하면 아내는 또 아내 나름으로 이런저런 가지가지 맥주를 목구멍으로 넘기며 ‘캬~ 좋다’ 이러면서 즐기는 것이다.
한심두심한 소생이 어제 이마트에서 발견한 것은 다름아닌 전용잔이 포함된 '바이엔슈테판 4종 박스세트' 다. 4종이란 헤페바이스, 헤페바이스 둔켈, 비투스, 페스트비어 되겠다. 가격은 24,600원이다. 병당 6천원 정도다. 국산맥주가 1000원대이고 부엉이 모양 일본맥주(이름이 뭐더라??)가 8~9000원 하는 판이니 비싸다면 비싸고 또 싸다면 싸다고도 할 수 있다. 헤페바이스와 헤페바이스 둔켈의 라벨은 이미 가지고 있지만 나머지 2개의 라벨은 금시에 초면이다. 눈이 번쩍 뜨인다. 만나서 반가워요 ^^
바이엔슈테판은 1040년에 수도원 양조장으로 설립되어 전 세계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양조장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어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영국의 맥주 전문 평가기관인 WBA에서 3년 연속 맥주부분 9개의 골드메달을 획득한 독일 정통 프리미엄 맥주라는 설명이다. 소생이 뭐 맥주의 풍미를 잘은 모르지만 맛이 괜찮은 것 같다. 맛을 좀 아는 아내는 역시 좋아라하며 흡족해 한다. 우리나라 하** 맥주나 카* 맥주가 비할 바가 아니다. 우리나라도 요즘 수제 맥주는 꽤 괜찮게 나온다고 하는데, 아국을 대표하는 양대 맥주는 영 시원찮다.
얼마전에 맥주 맛을 조금 안다는 북조선 제1국방위원장 김정은 동지도 ‘남조선 맥주는 정말 맛없다’고 말했다고 한다. 신의주의 한 북한 소식통에 따르면 봉학 맥주와 한국 맥주를 마셔본 김정은 동지가 ‘한국 맥주는 정말 맛없다. 맥주는 확실히 우리 것이 더 맛있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전에도 영국 로이터 통신이 북한의 대동강 맥주가 한국 맥주보다 맛이 좋다고 평가한 바 있다. 남조선 인민의 한 사람으로서 남조선 맥주 업계의 분발을 요구한다. 사실 소생하고는 뭐 별로 상관없는 일(소생은 여하튼간에 라벨만....)이기도 하지만 어쨋든... 봉학맥주는 룡성 맥주, 금강 맥주, 대동강 맥주와 더불어 북한의 4대 맥주라고 한다. 북조선 4대 맥주의 라벨도 어서 구해서 소장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102/pimg_7333051131335337.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102/pimg_733305113133533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