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product/4710/96/cover150/8991799000_1.jpg)
주말에 〈정희진처럼 읽기〉를 읽었다. 처음읽는 정희진의 책이다. 문체가 마음에 든다. 짧게 끊고 단호하게 자른다. 글에 힘이 있다. 소생같이 우왕좌왕하며 뒤뚱거리는 돼지는 도달하기 어려운 경지다. 약 80여권의 책이 소개되고 있다. 시 몇 편을 제하고 〈포스트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와 오 헨리의 〈마지막 잎새〉를 빼고는 읽은 책이 없다. 아아아~~ 이런 책들도 있구나. 처음 알았다. 부끄럽다. 돼지는 항상 부끄러워서 온몸이 붉다. 그래서 홍돈(紅豚)이다.
화제의 서재글에 올라온 세상틈에 님이 쓰신 <아인슈타인> 리뷰를 보다가 주말에 읽었던 〈정희진처럼 읽기〉의 한 내용이 생각나서 댓글을 달았다. 소생의 댓글은 ‘정희진처럼 읽기를 보니 아인슈타인의 빛나는 업적은 그의 첫 부인에게 많은 빚을 지고 있다고 하더라’는 내용이었는데 기억의 집 님께서 그렇지 않다고 또 댓글을 달아주셨다. 소생은 정희진의 이야기는 금시초문이라 아인슈타인도 로댕과 까미유 끌로델과 같은 그런 관계인가 하고 조금 놀랐던 참이었는데 기억의 집 님께서 그게 그런 것이 아니라고 하시니, 그럼 그게 또 그런 것이 아닌건가? 하고 생각을 하다가 마침 정희진의 책이 옆에 있어서 펼쳐보니 이게 또 완전 근거없는 허황한 이야기는 아닌 것 같다. 잉에 슈테판의 〈남과 여에 관한 우울하고 슬픈 결론〉이라는 책에 나오는 내용이고 2002년 과학동아에서도 언급된 내용인 모양이다. 슈테판의 책은 절판이다. 검색해 보니 아인슈타인 관련 책이 엄청나게 나와 있다. 소생이 가지고 있는 아인슈타인 도서는 시공디스커버리에서 나온 '아인슈타인, 우주를 향한 어느 물리학자의 고찰' 한 권 뿐이다. 집에 가서 함 봐야겠다.
〈정희진처럼 읽기〉의 관련 내용을 옮겨본다.
책 내용은 뛰어난 재능을 갖춘 여성들이 남성을 헌신적으로 사랑하고(혹은 경쟁하거나), 남자들이 그녀들의 사랑을 백분 활용하는 이야기다. ‘천재 남성’이 자기 업적이 아니라 사랑하는 여자의 노동과 아이디어를 어떻게 훔치고 억압하고 ‘뒤처리’했는지를 보여주는 실화다.
특히 밀레바 마리치(아인슈타인의 첫 부인)는 뛰어난 수학자로서 스위스연방공과대학의 홍일점 입학생이었다. 상대성 이론, 광양자 이론, 통일장 이론의 공동 연구자였고, 남편의 노벨물리학상 수상에 절대적인 역할을 했다. 아인슈타인이 아내와 자녀를 ‘버린 후’ 30여 년간 업적없이 과거의 후광으로 연명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이는 학계에서도 정설이다.(조숙경 〈과학동아〉 2002년 5월호 참조) p134
이글은 세상틈에 님의 리뷰에 댓글로 달려고 하다가 길이가 좀 긴 것 같아 별도 페이퍼로 씁니다.
http://blog.aladin.co.kr/720503194/7799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