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귀향 시사회. 시사회는 처음 가 봤다. 판소리 고수이기도 하고 국악카페지기 이기도 한 감독님을 카페 때문에 알게(전화통화 몇 번 해 본) 되었다가 페이스북 친구 맺기도 했고. 몇 년 전 혼례 준비할 때 블로그를 통해 아주 독특하고 예쁜 한복드레스를 입은 신부와 쪽지를 주고 받았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감독님 아내였다. 이런저런 우연(?)으로 메시지 주고 받으며 인연이라는 둥 서로 얘기도 하고. 소리 배우고 싶어서 소리선생님 문의도 드리고...

남편이 회사에서 늦어 시사회 시간에 맞추지 못하고 좀 늦어서 부랴부랴 들어갔는데 감독님이 나와 계셨다. 인사 나누고, 첫 장면이랑 초반이 중요하다면서 아쉬워한다. 나도 첫 장면 놓치는 거 괴로운데...
개봉하면 다시 봐야겠다.

위안부 소재 영화가 처음은 아니지만 위안부를 주제로 한 영화는 처음이 아닐까. 이미 지나간 일이라는 둥 위안부들을 자발적인 어쩌고... 정신나간 소리들을 해댄 사람들이 특히 보아야 할 영화이다. 영화 보는 내내 10대 여자아이들이 느꼈을 공포와 처절한 고통을 생각했다. 평생 치유되지 않을 끔찍한 기억. 한없이 어리고 이해받고 사랑받을 나이에 죽음보다 더 한 일을 겪은 그 분들을 우리가 기억해야 한다. 죽임을 당한 그 분들을 추모해야 한다. 이 영화를 모두가 보게 된다면 좋겠다. 우리 뿐 아니라 가해자들도 꼭!

 

영화 후원자를 찾지 못하여 몇 년 동안 영화가 제작되지 못 하고 위안부 할머니들이 한 분씩 돌아가실 때마다 감독님이 무척 안타까워하고 가슴아파 하셨다. 역사교과서를 국정으로 바꿀 꼼수 따위 쓰지 말고 이런 살아있는 역사를 교육하는 것이 진짜 교육이다. 아프지만 우리가 어떻게 당했는지 제대로 알고, 정면으로 마주 서야 할 것이다. 가해자들에게도 똑같이 알려줘야 한다. 그리하여 그분들이 돌아가시기 전에 단 한 번이라도 진심이 담긴 사죄를 한다면 지나간 일이 되어버리지 않겠지만 응어리진 한(恨) 한 웅큼이라도 풀을 수 있으리라. 제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곰곰생각하는발 2015-12-15 15: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영화는 꼭 봐야겠네요...

samadhi(眞我) 2015-12-15 15:09   좋아요 0 | URL
네 곰발님은 꼭 보실 거라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