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합
한창훈 지음 / 한겨레출판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소주 냄새 폴폴 나는 똥을 싸고 싶어지는 소설이다. 제목만 봤을 땐 전혀 끌리지 않는다. 지저분한 데에서 자생(?)한다는 얘기를 어디선가 들어서 홍합에 대한 선입견이 강했다. 게다가 그 생김새 때문에 남자들이 몹시도 좋아한다는 얘기가 소름(?) 돋아 먹기가 더 꺼려졌다. 소주를 즐길 만큼 술을 잘 마시지도 못 하는데도 이 소설을 읽노라면 호기롭게 홍합 안주에 소주를 털어넣고 싶단 말이지.

 

홍합 공장 사람들의 애환을 그려낸 이 소설은 작가의 실제 경험이 녹록하게 녹아있다. 명절 대목 때 몇 번 일해보았던 떡집 일과 무척 비슷해 대충 일하는 장면이 그려진다. 대차 나오고 급속으로 얼렸다 냉장했다 등등 재료만 다를 뿐 일의 내용은 퍽 닮아있어서 소설 속 인물들의 고단함이 살 속으로 파고든다.

 

작가의 묘사는 얼마나 뛰어난지. 인간미가 진하게 녹아있어 문장에서 금세라도 물기가 배어나올 만큼 촉촉하다. 작가들의 묘사가 으레 작위적이거나 억지스럽기 마련인데 이 작가의 묘사는 그 풍경 속에 자연스레 빠져들게 하는 맛이 있다. 살아있는 문장력이란 이런 것이구나. 삶의 밑바닥을 온 몸으로 체험한 생활인의 냄새는 마음을 일렁이게 하지.

 

신풍이라는 공간적 배경은 신풍으로 시집간 신풍이모를 생각나게 한다. 그 이모도 남편의 폭력 때문에 청력을 잃어서 강제로 사오정이 되어버렸다. "이빨에 고춧가루 꼈어" 를 "뭐 이쁘다고?"로 듣는 이모의 말은 서글픈데도 몹시도 우스워 커다랗게 웃음을 터뜨릴 수밖에 없었다. 굉장히 잔인한 짓인 줄 알면서도 모지리같이 웃어댄 것이 미안하다. 폭력의 피해자가 우스꽝스러운 존재가 되어버리는 세상은 불공평하고 참혹하기 이를 데 없다. 누가 그이의 마음과 고통을 진심으로 알아주랴. 

 

작가는 남편에게 맞고 사는 여자들에게 연민을 드러낸다. 인간에 대한 애정이 똑똑 묻어나는 마음이 따사로워 가만히 눈을 감는다. 그저 화를 내고 따져들고 말 얄팍한 내 수준을 넘어 어떻게 상처를 보듬고 치유해 나아가는 지를 보여준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생각하는발 2015-11-23 16: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캬~ 따봉이죠. 솔까말 소주에 홍합 국물만하나 게 있게씆니다.
전 소주의 최고 안주는 오댕탕 아니면 홍합탕입니다.

samadhi(眞我) 2015-11-23 16:49   좋아요 0 | URL
추워지면 생각나지요. 근데 크기가 작고 껍질이 까맣고 반질반질한 것은 담치라고 해서 지중해산인가 그렇다고 하고 손바닥 만 한 크기에 표면이 거칠고 까맣지 않은 것이 국내산이라더군요. 강원도에서 먹어 본 섭국에 들어가는 섭. 이라고 하더군요.
이 소설 정말 좋습니다. 꼭 읽어보세요.

곰곰생각하는발 2015-11-23 16: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읽어보겠스비다. 야다 님인가 그분도 이 소설이 좋다고 하더군요,

지나 2016-07-05 1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ㅎㅎㅎ 홍합탕~* 좋지~ 언젠가 우리 홍합탕에다가 소주한잔?!
아니면 물에서 소주맛나게 거나하게 마셔볼까?^^
작가의 세밀한 묘사가 궁금하군^^

samadhi(眞我) 2016-07-05 10:15   좋아요 0 | URL
그러자. ㅋ 나이드니까 비싼 술 먹고 싶다. 안동소주같은 질 좋은 술 ㅋㄷ. 나이 들어 좋은 거라고는 한없이 열어두는 가슴 뿐인데 못 된 것만 갖고 사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