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래 전에 조금 읽다가 말았던 책이다. 홀로 눈 떠 있는 여자에게 심하게 감정이입을 하는 바람에 두려워서 더 이상 책 읽기가 꺼려졌다. 이번 세월호 "사건"을 겪고 나니 이 책 생각이 난다. 국민을 짐짝, 짐승처럼 대하는, 아무 때나 버려버리는 끔찍한 정부의 행태가 똑같다. 저번 청계광장 촛불집회 때 청년연합(?) 대표가 한 말이 떠오른다. 정부는 재난 컨트롤타워가 아니라, 재앙 컨트롤타워라고.
눈감고 싶은 현실에 차라리 눈이 멀어버렸으면 하고 바랐을 여자의 마음이 이해가 간다. 세상 천지에 홀로 눈 떠 있다는 것은 너무 잔인하다.
작가의 상상이 섬뜩하면서도 가능한 일이라 여겨져 소설 속 상황이 지나치게 현실적으로 다가온다. 이런 재난, 재앙 설정은 늘 불편함을 안겨준다. 그래서 가장 꺼려하는 장르가 "재난", "테러" 를 다룬 이야기들이다. 피한다고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님에도 가능하면 끝까지 도망치고 싶어지니까. 세상 모든 것을 덮어버리는 커다란 그물처럼, 벗어나려고 애쓰면 애쓸수록 더 깊이 빠져버리고 마는 늪처럼 아무런 탈출구가 없는 지옥에서 나가고 싶다는 생각만 가득할 터이다. 다리 힘이 다 빠져 주저앉게 되고 말 지라도 온 몸으로 기어서라도 희미한 빛줄기를 찾아 어떻게든 나가서 고통 뿐인 인생이지만 살아남고 싶은 마음을 가진 인간이니.
생과 사의 갈림길에 서는 순간이 오면 그때서야 인간의 본성을 알 수 있다. 평소에는 꽁꽁 감춰왔던 더러운 욕망, 야비한 습성을 막다른 길에 쏟아내게 된다. 원하지 않아도 열어 보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런 때에 이성을 잃지 않고 "인간"으로 존재할 수 있는가, 자문해 본다. 나를 버릴 수 있는가. 나 이외의 존재를 인정할 수 있는가. 평화로운 시기에도 너를 인정하지 못해 물어뜯고 사는데 너 아니면 내가 죽는 때에 나를 놓을 수 있을까.
작가는 인간들이 사는 세상을 참혹하다 말하는 것 같다. 그것을 깨닫지 못하는 인간에게 인식을 불어넣는다. 똥밭을, 진흙탕 속을 걸어가는 것이 인간이라고. 하지만 끝내 함께 붙안고 가는 것이 유일하게 살아남는 길이라고. 당신과 함께가 아니면 아무런 의미도 없다. 혼자 살아남는 것은 그저 한 마리 짐승일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