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멸치를 볶을 때 견과류를 맛배기로 조금 넣는데 씹는 맛을 돋우기 위해 팍팍 넣었다. 사 둔 지 오래된 견과류 처리 차 겸사겸사. 견과류 볶음을 따로 하지 않아도 되겠다.

씹는 행위는 욕망의 다른 이름 아닐까. 그래서 다들 침을 흘리며 육식에 환장을 하고. 그것 때문에 아메리까 대륙을 통째로 집어잡숫는 땅따먹기로 독특하고 뛰어난 문명이 철저히 파괴되고. 숱한 원(래)주민이 죽어나고.

 

요놈의 간사한 입. 내가 뱉은 말들이 누군가에게 상처 준 기억에 잠 못자고 헤매던 자취방 한 구석에서 어느날, 기형도 시집을 대충 훑어보다가 "입 속의 검은 잎" 이란 싯구를 보고 깜짝 놀랐었다. 형도 형아는 역시 천재다. 연년생 동생을 둔 조카가 3~4살 무렵, 제 동생을 만날 꼬집고 깨물곤 하였다. 옷을 벗겨보면 조그만 아기의 몸이 새파란 멍투성이였다. 그럴 때마다 조카에게 주먹을 불끈 쥐고 "투쟁!" 대신 "질투는 나의 힘!" 이라는 구호를 외치도록 시켰다. 무슨 뜻인 줄도 모르고 신나게 따라하던 그 애가 벌써 중3이 되었네. 이젠 동생이 귀찮게 해도 너그럽게 받아주는 제법 어른스러운 아이로 자라났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곰곰생각하는발 2014-02-19 16: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멸치볶음 어떻게 하면 맛있게 할 수 있습니까. 전 요거 좀 어려운 거 가틈...

samadhi(眞我) 2014-02-21 08:32   좋아요 0 | URL
흠 저도 다른 사람 요리를 참고한 건데요
재료: 멸치, 식용유 반컵(종이컵 분량), 물엿2~3숟갈, 꿀1~2숟갈, 다진마늘1~2숟갈, 청양고추조금, 고춧가루2~3숟갈, 간장2숟갈, 파 한대, 견과류(분량은 특별한 기준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대충입니다.)
참 저는 모든 멸치를(육수용도.마찬가지) 처음에 기름없이 한번 볶아요.(비린내제거) 육수용은 나중에 멸치만 건져내지만 멸치볶을 땐 체로 멸치가루를 걸러내구요.
1. 바닥이 깊은 팬에 식용유(오메가3 함량 높고 GMO아닌 국내산 현미유^^를 썼어요 집에 있는 식용유 쓰시면 됩니다.)와 물엿, 꿀을 넣고 저어준다. 보글보글하게 끓으면 청양고추, 마늘을 넣고 살짝 익힌 뒤 불을 끄고 고춧가루와 간장을 넣는다.
2. 양념에 재빨리(아주 중요. 안그럼 양념따로 멸치 따로가 됨)멸치, 견과류, 파를 넣고 양념이 잘 배도록 섞는다.
기름 때문에 느끼할 것 같지만 먹어보면 바삭하고 너무 끈적이지도 않고 괜찮더라구요. 물론 예민하게 느끼면 기름맛도 살짝 있지만 식감이 좋아서 이젠 이렇게 해먹게 되네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02-21 05:43   좋아요 0 | URL
오홋 !!!!!!!!!!
감사합니다. 아 이렇게 해야 하는구나..ㅋㅋㅋㅋㅋㅋ
멸치 볶음 저에게는 엄청힘들더라고요.... ㅎㅎㅎ 감사 ~~

samadhi(眞我) 2014-02-21 08:32   좋아요 0 | URL
요렇게^^는 좀 특이한 방식이구요. 잘 안맞을 수도 있으니 한번 해보시고 별로면 알려주세요. 다른 조리법을 또 찾아서 알려드릴게요. 요리 천하고수 우리 둘째언니한테 한번 물어볼게요. 그래봐야 별 거 없다는 식으로 말할테지만. 뭐든 뚝딱뚝딱 만들어 제맛을 내는 대단한 언니죠. 문제는 성깔(?)까지 대단해서 가까이 하기는 힘들지만요. ㅋㅋㅋㅋ그래서 제가 요리전수를 받아보려 마음만 먹었다 접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