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010년 9월 11일.
일본 滋賀縣(시가현)의 어느 중학교에서 기네스 북(Guinness Book)의 기록에 도전하는 행사가 있었다.
270인 271각.
즉 270명 서로의 발목을 수건으로 묶어 50m를 걷는 기록에 도전하였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기네스 기록은 같은 일본 福岡縣(후쿠오카현)의 어느 학교의 기록 260인 261각이었다고 한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성공 즉시 크게 보도되었고, 참가한 270명의 학생뿐만이 아니라, 모든 다른 학생, 교직원, 학부모, 그리고 동네사람들, 기타 모든 관계자들이 감동과 환희에 휩싸였다.
단 한명을 제외해서는.


대기록 수립이 있은 몇시간 후.
어머니와 함께 울면서 교원실을 찾아 온 학생이 있었다.
270인 271각에 참가한 학생이었다.
그 학생이 말하기는 "골 직전 5m 지점에서 수건이 풀어졌습니다. 모든 분들에게 죄송하고 마음속으로부터 용서를 빕니다."
이 기록의 규칙에 의하면 "모든 사람들의 수건이 묶힌채 골 할 것."이 명백히 규정되어 있다.
이 학생은 자기 친구들한테 비난 받을 것을 각오하면서 자기 스스로 도전 실패를 신고한 것이었다.


교직원들이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비디오 영상을 다 살펴 봤지만, 수건이 풀어졌다는 사실을 확인 못하였다고 한다.
학교 교장은 처음 망셜였다고 한다.
"한 학생이 골 직전에서 수건이 풀어졌다 하였지만 확인 못하였다."라는 말을 덧붙여서 그냥 기록 신청을 할 것인가, 아니면 기록 신청을 단념할 것인가.
고민 끝에 교장은, "기록보다 솔직함을 중요시 하여야 한다. 어렵게 자기신고를 해 낸 학생의 용기를 존중해야 한다."
그리하여 기네스 기록 신청을 단념하였다.


이 이야기에는 후일담이 있다.
기네스 기록 도전과 그 실패에 관한 이야기는 일본 전국에 보도되었다.
그러자, 기록 도전에 대한 노력과 그 실패를 스스로 신고한 용기에 대한 칭찬의 편지가 일본 방방곡곡에서 수백통 보내 왔다고 하였다.
특히 兵庫縣(효우고현)의 어느 남성은 이 학교 모든 학급앞으로 15개의 신비쥬무와 전 학생앞으로 465개의 용담을 보내 왔다고 하였다.
신비쥬무의 꽃말은 "꾸미지 않은 마음, 솔직한 마음"이고 용담의 꽃말은 "정의, 당신의 슬픔을 사랑한다."라고 한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로 2010-10-04 14: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정말 멋져요!!!!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세상이 참 아름답고 그런 세상에 살고 있다는 사실도 참 기뻐요~.
한편으로 제 자신이 참 부끄럽지만 말이에요..
제 올해의 목표도 정직하게 사는것인데,,,,거의 안되고,,,

그 남성 참 멋쟁이에요!!!

ChinPei 2010-10-04 15:00   좋아요 0 | URL
그래요. 이 솔직히 자기 신고한 학생이 얼마나 위로를 받았던지.
마음속에서 이 남성에 "잘 했다." 칭찬하였어요. 마음뿐이지만.

BRINY 2010-10-04 15: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실을 말한 소년도, 그것을 인정한 주변 사람들도 모두모두 멋집니다.

ChinPei 2010-10-04 15:04   좋아요 0 | URL
정말 요즘 들어보지 못한 미담이지요.

노이에자이트 2010-10-05 16: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영화로 만들어야겠어요.

ChinPei 2010-10-05 18:09   좋아요 0 | URL
과찬이신듯... ^_^;;;;
 
Misora Hibari - STARDUST

미소라 히바리의 마지막 노래 "川の流れのように(가와노 나가레노 요우니:강의 흐름처럼)". 명작.





가장 팔린 곡(?) "柔(やわら:야와라 = 유도)"





거의 울면서 부르던 "悲しい酒(かなしいさけ:카나시이 사케 = 슬픈 술"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로 2010-10-01 05: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의 이미자 같은 가수군요!! 선이 고운 가수에요~.^^

ChinPei 2010-10-01 16: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가 이미자가 어떤 사람인지 모르지만, 미소라 히바리는 참 분위기가 좋은 가수였어요.
그런데, "선이 곱다"라는 말은 무슨 뜻인지요?

노이에자이트 2010-10-01 2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와노 나가레노 요우니...이 노래 참 좋죠.특히 후렴 막 시작하는 부분...첫번째 동영상은 사망하기 바로 얼마전 것이군요.이 분 장례식을 방송에서 봤는데 정말 엄청나더군요.일본에선 연예인이라든가 운동선수의 장례식을 정말 크게 하더라구요.미소라 히바리는 재일한국인 중 연예인으로 가장 출세한 사람일 겁니다.

ChinPei 2010-10-02 00:55   좋아요 0 | URL
...저도 예전에 미소라 히바리가 재일교포라고 들었던데....
아닌 것 같애요.
미소라 히바리의 친아버지,친어머니,할아버지,할머니 다 일본인에요.
호적은 일본 도치기현에 있고 그 마을 사람들에 의하면 江戶시대부터 그 마을에 살아 온 집안이라고 해요.
다만, 미소라 히바리 어머니가 재혼한 남편이 재일교포여서 즉 미소라 히바리 = 재일교포라는 "설"은 여기에서 비롯된 것 같아요.

ChinPei 2010-10-04 11:34   좋아요 0 | URL
일본의 "AKB48" 라는 여자그룹 아세요?
저는 잘 모릅니다. ^^);;;;;
그 AKB48를 기획하고 노래 시도 만들어 준 좀 오타쿠 같은 사람이 秋元康(아키모토 야수시)인데, "가와노 나가레노 요우니"의 시를 만든 것도 이 사람이에요.
난 처음 들었을 때 되게 놀랬어요.
그 사람, 어린 여자 아이들의 노래만 만들 사람이라고 여겨 왔기 때문이죠. ^^

노이에자이트 2010-10-02 21:26   좋아요 0 | URL
한국에선 재일한국인으로 아는 사람이 많아요.연예인이나 운동선수들은 재일한국인이 많다고 해서...장훈이라든가, 역도산 등...음...일본인이라 해도 노래가 좋으면 됐죠.제가 일본어로 불러보고 싶은 노래입니다.미소라 노래...

ChinPei 2010-10-04 11:37   좋아요 0 | URL
사실 일본의 연예인, 운동선수에 재일교포가 많은 건 사실이지요.
다만,그걸 본인이 밝히고 있는 경우도 있고 감추고 있을 경우도 있어서 누가 재일교포인지 잘 알 수 없어요.
운동선수 경우는 이름이 분명 한국인이다고 알 수 있는 사람은 많지만, 연예인 경우는 본명과 연예명(우리나라에서 그렇게 말해요?)이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요.

노이에자이트 2010-10-09 14: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어린 소녀가수들...한국에선 아무래도 모닝구무스메가 유명하지요.아코모토 야수시 이야기를 들으니 놀랍군요.엔카의 고전의 가사와 아이도루 가수...음...
한국에선 나카시마 미카가 유명하구요...유키노 하나는 한국드라마에서 박효신이라는 남자가수가 한국말로 불렀어요.그리고 한국에도 아무로 나미에가 나오는 코카콜라 광고가 나오고 있어요.

ChinPei 2010-10-04 11:39   좋아요 0 | URL
일본에선 BoA가 한국인 라는 걸 몰랐던 사람도 많다고 들었어요.
BoA가 하더 일본말을 잘 해서지요.

노이에자이트 2010-10-05 16:21   좋아요 0 | URL
보아는 얼굴도 이쁘고 외국어에도 능통하고...대단해요.
 
가을이구나!

가을이구나.


가을이라 하면,

단풍(紅葉:코우요우)...초겨울이지만.


달과 억새풀(すすき:수수키)...中秋の名月


일본에선 추석에 억새풀과 경단을 툇마루에 두고 아름다운 달을 즐기는 풍습이 있었어요.

현대 많이 사라졌다 해요. 일본다운 매우 風流한(ふうりゅう:후우류우. "운치있는", "우아한") 풍습이었던데.


송이버섯(松茸:마쓰타케)...되게 비싸요. T^T
가을이 되면 가게에 "진좌하신" 송이버섯을 보고 한숨 쉬는 사람이 많아요. 넘 비싸서...



꽁치(秋刀魚:산마...가을의 칼 같은 생선이라 쓰고 "산마"라고 발음하니. 참 일본어 어렵다.^^)
올해는 흉어라 하네요.



밤(栗:쿠리)



배(梨:나시.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과일.  총각 시절은 가을엔 물 마시는 대신 배를 먹었거든요. ^^)



감.홍시(枾:가키. 나 이것 싫어해요.T^T)



벼베기(稻刈り:이네카리)
사진은 일본 岐阜縣(기후현) 중요무형민속문화재인 高山(다카야마)市의 원형 논 "車田(구루마다)".



코스모스(일본에선 秋櫻:가을 벚나무라 쓰고 "코스모수"라고 읽음.)



운동회(運動會:운도우카이. 올해 명섭, 선화가 다니는 학교 운동회는 9월18일이였으니, 거의 여름이었다. ^^;;;  요즘은 5월, 6월에 하는 학교도 많아요.)




비늘구름(鱗雲:우로코 구모 ... 아, 하늘이 높다...)




기타 뭘 떠올리세요?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인 2010-09-30 08: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을이면 전어. 우리는 꽁치보다 전어를 더 높게 친답니다.

ChinPei 2010-09-30 12:33   좋아요 0 | URL
전어를 일본에선 "コノシロ:코노시로"라고 한다 하네요.
이 생선 몰랐어요. 내가 워낙 생선 이름을 모르기는 하지만, 이 전어는 우리나라 남해에 많이 산다 하지요. 그래서 일본에선 흔히 먹지 않는지도 모르네요.

BRINY 2010-09-30 09: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툇마루가 없어요 ㅠ.ㅠ

ChinPei 2010-09-30 12:34   좋아요 0 | URL
저의 집에도 없어요.
뭐 있어도 우리 집안엔 그런 풍습은 원래 없었지만요. ^^

라로 2010-09-30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멋저요!!
저는 고추잡자리도 떠오르네요,,,그리고 책. 말이 살찌는 계절이라니 말도,,그리고 또 뭐가 있을까요????
원형논도 인상적이고, 억새풀과 달을 함께 보기 좋아한다는 말씀을 하시니 정말 일본인들이 운치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첸페이님!! 가을이에요!!^^

ChinPei 2010-09-30 18:25   좋아요 0 | URL
내가 까먹었어요.
가을이라 하면 방울벌레, 귀뚜라미도 떠오르지요. ^^
억새풀과 방울벌레. 가을의 상징이지요.

노이에자이트 2010-09-30 23: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감과 무화과를 좋아합니다.전라남도 영암이 우리나라 최대 무화과 재배지인데 30여년 전 일본 무화과를 들여와 지금까지 기르고 있습니다.홍시는 제가 가장 좋아하는 과일입니다.

ChinPei 2010-09-30 23:59   좋아요 0 | URL
무화과는 일본말로 "いちじく:이치지쿠"라고 합니다.
내가 어릴 적엔 동네 여러곳에서 무화과 나무를 봤고 멋대로 따 먹었던데(!!...범죄 행위잖아. ^^;;; ), 요즘 보지 않아요.

홍시는 저의 외할머님께서 좋아하셨어요.
특히 곶감을 좋아하셔서, 벌써 35년전인데 문병 갈 때마다 어머니가 곶감을 사고 가셨어요.
그러나 그 땐 할머님께선 죽과 같은 것 이외는 거의 먹지 못하셔서, 우리에게 곶감을 다 나누어주셨지요. (먹지 못하지만 보고 싶어 하셨어요. ...내 희미한 기억이 그렇게 말하네요. ^^)
(난 곶감은 먹을 수 있어요. 감도 절대 못 먹는다는 건 아니고.)

마지막 문병을 가서 2,3개월 지나던 날이었다고 기억하는데 할머님의 장의식 때도 어머니는 곶감을 할머님의 관에 넣았어요. (...? ... 기억이 애매하다...)

노이에자이트 2010-10-01 01:27   좋아요 0 | URL
저는 곶감 단감 홍시 다 좋아합니다.꼴깍! 한국에선 전남지역이 대규모로 무화과를 재배하는 유일한 지역입니다.타지역 사람들은 거의 안 기르죠.일본인들이 무화과를 좋아하더군요.저는 껍질 째 다 먹습니다.냠냠냠...

ChinPei 2010-10-01 16:36   좋아요 0 | URL
무화과가 비교적 쉽게 키울 수 있어서 옛날엔 많이 볼 수 있어죠.
 

인류가 옷을 입기 시작한 건 알몸이 부끄러워서가 아니다.
오히려 옷을 입어 그것이 사회공동체의 상식이 되었기 때문에 남앞에서 알몸이 되기를 부끄럽다고 느끼게 되었다.
이렇듯, "수치심"은 "남과의 차이"에 대한 인식에서 생기는 감정인데, 이 감정은 가끔 "두려움"으로 변할 수도 있다.
"상식으로부터의 일탈"에 대한 수치심과 공포심, 이건 사회의 질서 유지의 전제 조건이기도 하다.

그래서 "상식"은 사람을 억제한다.
그때문에 사람은 많은 경우 "상식"의 접은 들속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즉 거꾸로 말하면 "상식"을 무시하거나 스스로 타개할 수 있는 사람만이 역사에 이름을 새길 큰 일을 한다고도 말할 수 있다.
그 일이 이로운 일이건, 악귀같은 일이건.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hinPei 2010-09-29 14: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는 언제나 "상식"의 접은 우리에서 우왕좌왕 하고 있습니다. ^^
 

일본 "日本釣振興會(그러니까 "낚시를 즐깁시다"라는 집단)"의 HP가 중국 해커에 의해(추측) 내용을 개찬 당하였다.
뜻도 알 수 없는 중국어가 나열하였는데 "釣魚島", "中國領土"라는 단어가 나와 있는 걸로 보아, "釣魚島"문제의 불똥이 튀었다는 건 분명하다. 
"일본"과 "낚시(釣)"를 Keyword로 했던가 보다.


난 일본의 영토 분쟁엔 특별한 관심은 없다.
독도는, 나도 몇십년전부터 우리나라 땅이라고 인식 해 왔으니, 새삼 언급할 필요는 없고.
"釣魚島"인가, "尖閣諸島(센카쿠 쇼토우)"인가 하는 문제는 일본과 중국이 외교적으로 해결하면 되는 일이고.
소련(현재 러시아)에 빼앗겼다 하던 北海道(혹카이도우)의 "北方四島"도 마찬가지.

1945년 이후 일본의 외교 노력이 부족하였고 교만하였다고 하면 그만이지만, 지금 일본 정부가 중국에 당하는 꼴은 한심하다.

그런데 이상하다.
지금 중국이 왜 여기까지 강하게 나서는가?
사실 중국이 경제적으로도 군사력적으로도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거의 강대국이라고 해야 할 상황이니, 나라 힘을 과시하려는 건 어느 정도 이해한다. (싫지만.)
또한 "釣魚島"에 관해서 중국과 일본사이에 어떤 역사적 문제가 있었던지 잘 모르지만, 영토 문제가 나라에 있어서 절대로 양보못하는 문제라는 건 물론 잘 이해한다.
그러나 지금의 중국의 태도에는 그것 뿐이 아닌 다른 문제가 더 있는 듯이 보인다.

내 추측에 지나지 않지만, 혹시 일본의 오키나와 문제에 관련이 있지 않을까?
일본에 민주당 정권이 탄생할 때, 하토야마 전총리는 오키나와의 미군 기지를 오키나와 밖에 이전하겠다고 하였다.
중국은 많이 기대했을지도 모른다.
왜냐?
그건 오키나와의 미군이 타이완(台灣) 방위를 위해 존재하기 때문이다.
타이완을 자기 나라의 고유한 영토라고 주장하는 중국에겐 오키나와의 미군의 존재는 장애로 밖에 보이지 않을 것이다.

즉 역시 추측에 지나지 않지만, 이번 "釣魚島"의 문제는 처음부터 일본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미국에 대한 도발을 목적으로 한 행위가 아닐까?
며칠전부터 중국 해군 감시선이 "釣魚島" 근처에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釣魚島"는 타이완의 바로 북쪽 가까운 곳에 있다.
처음부터 군사력을 타이완 주변에 진출시키기 위한 구실로 이번 문제를 일으켰던 것이 아닐까?
처음은 그런 목적이 없었다 하더라도 지금 이 사건을 이용하고 있지 않을까?

설마 중국이 일본을 군사적으로 공격할 의도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없다고 믿고 싶다),  지금 중국의 위세는 그런 걱정을 일본 온 국민(나를 포함)에게 불러 일으키고 있다.
만일 중국이 일본을 공격했을 때 미국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다.  (미국 본심은 가만히 있고 싶었다 하더라도.)
그렇게 되면 일본 주변에서 전쟁이 일어날지도 모른다.  (설마...) 

지금 그걸 걱정하는 일본 사람은 적지 않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RINY 2010-09-28 16: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설마 설마 하다가 터지고 나서야 후회하는...그런 일은 없어야지요.

ChinPei 2010-09-28 16:50   좋아요 0 | URL
그런데요, 지금 일본 분위기가 좋지 않아요. 중국이 도리에 맞지 않다는 말이 대세를 차지하고 있어요.
중국도 양보하지 않다, 일본도 양보하지 않다 ... 정말 위험한 상황이에요.

노이에자이트 2010-09-28 2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만과 중국은 양안 경제협정을 체결하고 긴밀해지고 있지만 역시 군사적으로는 일체가 되기 힘들지요.올 봄에도 미국이 대만에 무기수출하는 데 대해 중국이 불쾌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구요..최근 중국학자들은 오키나와가 원래 중국영토였다는 논문들을 많이 쓰고 있다고 합니다.이번 센카쿠 열도 갈등을 보면 중국이 너무 노골적이더군요.들소가 밀어붙이듯이...

ChinPei 2010-09-28 21:44   좋아요 0 | URL
오키나와는 1600년 초기까지 중국의 책봉국이었던 걸 일본이 무력으로 변합한 거니까, 중국이 그렇게 말하는데에 근거가 없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논리가 비약하고 있어요. ^^

hanci 2010-09-28 23: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백년전 일본이 청일전쟁, 노일전쟁을 통해 탈아입구를 현실로 만들었듯이, 이젠 중국이 일본과 미국, 그리고까지 EU까지 맞짱을 불사하면서 수퍼 파워를 과시하려는 모습이 참으로 불안합니다. 여전히 중간에서 눈치만 보고 있는 우리는 더욱 불쌍하고요

ChinPei 2010-09-28 23:44   좋아요 0 | URL
hanci님, 저는 오히려 일본과 중국이 싸우고 있는 거니까 중간에 있는 우리나라가 두나라를 화해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닌가고 기대하는데요.

라로 2010-09-29 10: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암튼 정세가 불안한건 사실이죠??
다른 얘기지만 언젠가 번개가 강하게 치던 날
저는 폭격이 일어난 줄 알고 꺤적이 있다니까요,,

ChinPei 2010-09-29 14:49   좋아요 0 | URL
몇년전에 북한이 일본 근처 바다에 미사일을 날렸을 때보다 더 걱정스러워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