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만나는 미학
노영덕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에 본격적인 관심을 가져야겠다고 생각한 것은, 교대 1학년 때, '동서미술'이라는 수업을 들을 때부터 습니다. 학교 다닐 때 미술에 전혀 관심도 없고, 흥미도 없고, 재주도 없어서, 그냥저냥 12년을 보냈더랬는데... 초등학교 선생님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하니, 미술에도 조금 더 흥미를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리고, '동서미술' 수업이 참 좋았습니다. 덕택에 - 과제 때문이긴 했지만 - 간송미술관 전시도 다녀왔고, 불교 미술이나 한국 미술의 여러 작품들을 즐겁게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그래서 그 이후로 틈틈이 이런저런 미술 관련 책들을 읽어내고 있습니다. [오주석의 한국의 미 특강], [한국 미술사 강의 1], [반고흐, 영혼의 편지], [미학 오디세이 1],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1], [개념 미술(한길아트)], [오주석의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1, 2], 그리고 얼마전에는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를 읽었습니다. 그리고 [뜻밖의 미술]이라는 책을 최근에 읽었구요. 그러다가 문학과 지성사에서 나온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를 읽기 시작했는데, 재미나게 읽다가 흐름을 놓쳐서, 그리고 흐름을 놓치니 다시 따라잡기가 어려워서, 다시 도전하기 전에 다른 책을 먼저 봐야겠다 싶어서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을 찾다가 이 책, [처음 만나는 미학]을 우연히 서점에서 보고는 읽기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 되지, 뭐 이런저런 쓸데없는 이야기들을 붙이는가 싶으시겠지만, 실은 책을 읽은 후에 책에 대해서 별다르게 두드릴만한 이야기가 없기 때문이라고 두드리고 싶습니다. 그렇다고 책이 별로였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만약에 위에 주욱 이야기했던 책 중에, 꼭 다시 한 번 읽어야겠다고 한다면 저는, [오주석의 한국의 미 특강]과 [서양미술사] 그리고 이 책을 꼽아서 다시 읽어볼 듯 합니다. 이 책은 읽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도 아니고, 책의 내용이 난해하거나, 문장이 지저분하거나 하지도 않고, 그냥 앉은 자리에서 술술 읽히는 그런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책의 내용은, 말 그대로 미학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고대 그리스의 진, 선, 미에서, 진에 해당하는 부분이 존재론과 인식론의 영역이고, 선에 해당하는 부분이 정의론의 영역이라면, 미에 해당하는 부분이 바로 미학이라고 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책 한 권에 펼쳐두고 있습니다. 그래서, 고대 그리스 시대에서는 진과 선에 종속된 미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면 18세기 이성주의가 발생하면서 인간의 이성에 - 혹은 인간 자신에 - 기댄, 인간으로부터 비롯된 미에 대한 사변은 진과 선에 대한 논의처럼 점차로 독립된 영역을 가지게 되었다라는 내용이 책의 전반적인 흐름입니다. 


그렇다보니, 이 책은 철학과도 그 궤를 같이 하고 있습니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철학자들의 사변의 대상이 되었던 진과 선처럼, 그에 딸린 미에 대해서 많은 철학자들이 이야기하고 밝히고 탐구하고 집중해온 그런 이야기들이 책의 내내 기록되어 있습니다. 책의 미덕은, 다양한 철학자들의 사유를 미학적인 관점에서 소개하고 있는데, 그것이 어렵거나 복잡하거나 한 것이 아니라 술술 잘 읽혀내려간다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책의 구성은, 처음 부분에는 미학에 대한 개관을 하면서 미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저자의 생각을 소개하고 있고, 그 이후부터는 시간의 흐름대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미에 대하여 철학자들은 - 사람들은 - 어떻게 생각해왔는지를 잘 풀어내고 있습니다. 


책의 특징은, 각 장마다 하나 이상의 영화를 소재로 하여, 영화 속의 미학적 관점, 그리고 그런 관점을 사유한 사람들의 사유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입니다. 보지 않은 영화라도 상관 없습니다. 하지만 보려는 영화였다면, 영화의 처음부터 결말까지 모두 이야기하고 있으니 피하는게 좋겠지요. 영화의 줄거리를 간단하게 소개하고, 저자의 생각에 미학이 개입하는 지점이라고 하는 영역을 소개한 후에, 그 이야기를 조곤조곤 이야기합니다. 영화평론이 아니기 때문에, 도입부의 독자의 흥미를 낚아채기 위한 가벼운 도구 정도로 영화를 사용할 뿐이어서 그리 크게 부담스럽게 받아들이지 않아도 무방하리라 생각합니다.


저자의 미학적 관점에 대하여서는, 문외한의 독자이기 때문에 감히 이렇다 저렇다 평가할 수는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다만, 문외한의 길잡이 도서로써 미학이라는 학문에 대해서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책이라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다만 어느 정도의 철학사적 지식이 있다면 더 쉽게 다가설 수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아에드 인 마이오렘 델 글로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